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1949년에 설립된 동방학연구소의 연구 활동과 그 성격을 살펴봄으로써 『동방학지』 간행 68년과 200호를 맞는 시기에 국학연구원의 진전 방향을 모색해 보는 것이 이 글의 작성 취지이다.

동방학연구소는 한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의 역사, 문화, 언어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동방학연구소에서 동방은 중국의 동쪽인 우리나라를 의미하고, 동방학은 한국학을 말한다. 『동방학지』의 창간 목표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변 나라의 문화를 연구하여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신문화를 수용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

동방학연구소는 『국고총간』을 간행하였다. 『국고총간』은 『고려사』 영인을 시작으로 한국학 연구와 그 주변 나라에 대한 이해를 위한 기본자료와 희구한 자료를 영인한 것이었다. 『동방학지』에는 표지 마크는 고구려의 고분에서 출토된 삼족오를 배경으로 한다. 삼족오는 태양 속에 사는 세발 달린 까마귀를 가리키는데, 고구려를 비롯한 북방 문화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상징적 동물이다.

동방학연구소가 북방 연구를 중시한 것은 조선후기 학파인 소론과 그 계승자인 정인보의 영향이다. 소론은 양명학 연구와 고구려 발해사 중심의 북방 지역 연구를 활발히 전개하였는데, 정인보는 소론이었고 양명학과 한국 고대사의 북방 연구를 진행하였다. 민영규는 정인보의 양명학과 북방 연구를 계승하여 동방학연구소의 연구사업을 수행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동방학연구소의 학술 활동과 정인보의 학풍 계승 = Academic activities of The Institute of Far Eastern Studies and the succession of Jeong Inbo’s academic traditions 도현철 p. 29-60

'식민지 국학'의 학제(制·際)적 위치 : The location of “colonial national learning” : wandering among national literature, Korean study, sinology and Kangaku / 국문학, 조선문학, 동양학, 그리고 한학 이용범 p. 61-87

중일전쟁시기 상하이 흥아건국운동의 주장과 문학(1939~1941) : The argument and literature of the movement for Asiatic regeneration and national reconstruction in Shanghai under Japanese occupation (1939~1941) : re-reading of Chinese occupied literature from an East Asian perspective /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중국 점령지 문학 다시 읽기를 위한 시론 송가배 p. 89-119

동아시아론과 마이너리티 : East Asian discourses and minorities : the search for multi-issued politics through the redefinition of “Affective Memory” / '감정기억'의 재정의를 통한 다중쟁점정치의 모색 신지영 p. 121-163

연세대학교 국학자료실 소장 위당문고 자료의 성격과 가치.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Widangmungo(爲堂文庫) kept in Yonsei University. 2, Introduction and analysis of Jeong Doo's early manuscripts 『Joneon(存言)』, 『Daehakseol(大學說)』, and 『Jungyonghae(中庸解)』 / 2, 하곡 정제두의 초기 필사본 『存言』 『大學說』 『中庸解』의 소개와 분석 임미정 p. 165-195

18세기 후반 조선의 수해 이재민 보고 방식의 체계화와 恤典 시행 = Systematization of investigation and compensation for flood victims in late 18th-century Joseon 김미성 p. 197-227

중화와 민족 사이 : On the boundary between Zhonghua(中華) and ethnicity : a Confucian Jeong Yagyong' theory of civilization and the consciousness of Dongin (東人) / 유학자 정약용의 문명론과 동인(東人) 의식 백민정 p. 229-257

김성숙의 민족운동 전략과 정치이념의 특징 = A study of Kim Seong-suk's national movement strategy and political ideology of characteristics : '한국적' 사회민주주의 이념의 역사적 형성 과정 初探 신주백 p. 259-295

극예술연구회 공연작 <인형의 가>의 무대 형상화와 무대디자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tage formation and stage design of <Et dukkehjem>, a performance by Geugyesuryeonguhoe 김남석 p. 297-329

'항미원조'(抗美援朝)와 중국조선족 문학의 형성 : 'Resisting U.S. aggression and aiding North Korea' and the formation of Korean-Chinese literature : taking the example of students’ magazine of Yanbian University Gae Gan / 연변대학교 학생문예지 『개간』(開墾)을 예로 석길매, 최창륵 p. 331-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