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차세대영재기업인의 고유특성 중 하나인 창업동기의 발달적 변화에 따른 집단유형을 도출하고, 그에 대한 기업가 역량의 변화를 종단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차세대영재기업인 종단연구의 중학교 패널자료(2015년~2020년)를 활용하였다. 혼합성장모형 분석결과, 창업동기 변화양상에 따른 유형은 3개 유형(창업동기 증가형, 창업동기 고수준 유지형, 창업동기 감소형)을 확인하였다. 3개 창업동기 유형을 구분하는 개인특성, 환경특성, 창업관련특성의 예측변인을 살펴보기 위해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컴퓨터 전공 희망이 ‘창업동기 증가형’과 ‘창업동기 고수준 유형’을 예측하였고, 특허출원경험이 많을수록 ‘창업동기 증가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희망전공계열이 의·약학과 기계일수록 ‘창업동기 감소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고, 교육원 참가이유가 창업지식습득을 위한 것일수록, 선택한 진로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지지가 높을수록, 창업에 대한 관심이 있을수록 ‘창업동기 고수준 유지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3개 창업동기 유형에 따른 기업가 핵심역량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다집단 성장혼합모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창업동기 증가형’ 의 변화추이가 기업가 핵심역량의 변화추이를 가장 긍정적으로 예측하여, 영재를 대상으로 한 창업교육에서 창업동기 증진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차세대영재기업인의 창업동기 변화양상과 기업가 핵심역량의 변화추이 =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the changing of core competencies in next generation gifted entrepreneurs : 혼합성장모형과 다집단 성장혼합모형을 이용한 종단연구 한윤영, 권재기 p. 463-488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SW영재학급 교육프로그램의 개선 효과 탐색 : Exploring the improving effects of the SW gifted class education program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 focusing on learning motivation and career orientation / 학습동기와 진로성향을 중심으로 이재호, 류지영, 송용준, 예홍진, 장준형, 전미란, 전우천, 진석언, 정홍원 p. 447-462

영재학생의 진로발달 수준에 대한 메타분석 = Meta-analysis on the career development of gifted students 강지연 p. 431-445

초등학생들의 영재학생에 관한 은유적 표상 = Elementary students’ metaphorical representations of gifted students 김세찬, 황효정, 이준기 p. 407-430

과학영재 대학생의 질문에 대한 인식 분석 : A study on KAIST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 of questions in lectures / KAIST 학부 재학생을 중심으로 김영민, 최진수 p. 383-406

자신의 신념과 모순된 정보에 직면할 때 나타나는 중학교 과학영재학생의 동기화된 추론 : Motivated reasoning of science-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when confronting incongruity : in exploring the period of a pendulum / 진자의 주기 탐구 과정에서 강지훈, 김지나 p. 351-381

과학고등학교의 사회통합전형 학생선발에 대한 고찰 = Policy implications for affirmative action in science high schools 이영주, 최진수 p. 335-350

영재교육참여자의 상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f counseling experiences among gifted education youth participants 박은선, 김진숙 p. 301-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