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상 후 성장 개념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외상 후 성장의 지식구조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1996년에서 2018년 사이에 출판된 국외논문 중 외상 후 성장 키워드를 사용한 논문을 Web of Science에서 검색하여 1,780편의 논문에 1,659개의 키워드가 6,343회 등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최종 분석을 위한 총 322개의 키워드를 선택하였다. 가장 많이 등장한 키워드는 ‘외상 후 성장’,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암’, ‘트라우마’ 순이었다. 총 322개의 노드 중 175개의 노드로 정리하여 ‘암, 만성/중증 질환 및 장애에서 외상 후 성장’, ‘외상 후 성장 관련심리적 변수 및 심리 치료’, ‘죽음의 맥락에서 외상 후 성장’, ‘외상 후 성장의 인지 메커니즘’ 및 ‘대리 외상 후 성장’의 5개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정량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외상 후 성장의 지식 구조에 대한 체계적인 개요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Posttraumatic growth literature has been rapidly expanding in multiple academic discipline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knowledge structure of posttraumatic growth utilizing a network analysis. Papers published between 1996 and 2018 were searched on the Web of Science, focusing on terms related to posttraumatic growth. One thousand six-hundred and fifty-nine keywords were published 6,343 times in 1,780 papers; thus, a total of 322 keywords (5,195 appearance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network analysis and network visualization tool used were NodeXL and PFnet, respectively. The keywords which appeared the most frequently were "Posttraumatic growth," followed by "Posttraumatic Stress Disease," "Cancer," and "Trauma." A total of 322 nodes have been reduced to 175 nodes and divided into a total of five groups. The five groups were "Posttraumatic Growth in Cancer, Chronic/Serious Illness, and Disability," "Posttraumatic Growth-related Psychological Variables and Psychotherapy," "Posttraumatic Growth in the Context of Death," "Cognitive Mechanisms of Posttraumatic Growth," and "Vicarious Posttraumatic Growth." This study provides a systematic overview on the knowledge structure of posttraumatic growth by quantitatively network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