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외상 후 성장 개념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외상 후 성장의 지식구조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1996년에서 2018년 사이에 출판된 국외논문 중 외상 후 성장 키워드를 사용한 논문을 Web of Science에서 검색하여 1,780편의 논문에 1,659개의 키워드가 6,343회 등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최종 분석을 위한 총 322개의 키워드를 선택하였다. 가장 많이 등장한 키워드는 ‘외상 후 성장’,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암’, ‘트라우마’ 순이었다. 총 322개의 노드 중 175개의 노드로 정리하여 ‘암, 만성/중증 질환 및 장애에서 외상 후 성장’, ‘외상 후 성장 관련심리적 변수 및 심리 치료’, ‘죽음의 맥락에서 외상 후 성장’, ‘외상 후 성장의 인지 메커니즘’ 및 ‘대리 외상 후 성장’의 5개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정량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외상 후 성장의 지식 구조에 대한 체계적인 개요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Posttraumatic growth literature has been rapidly expanding in multiple academic discipline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knowledge structure of posttraumatic growth utilizing a network analysis. Papers published between 1996 and 2018 were searched on the Web of Science, focusing on terms related to posttraumatic growth. One thousand six-hundred and fifty-nine keywords were published 6,343 times in 1,780 papers; thus, a total of 322 keywords (5,195 appearance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network analysis and network visualization tool used were NodeXL and PFnet, respectively. The keywords which appeared the most frequently were "Posttraumatic growth," followed by "Posttraumatic Stress Disease," "Cancer," and "Trauma." A total of 322 nodes have been reduced to 175 nodes and divided into a total of five groups. The five groups were "Posttraumatic Growth in Cancer, Chronic/Serious Illness, and Disability," "Posttraumatic Growth-related Psychological Variables and Psychotherapy," "Posttraumatic Growth in the Context of Death," "Cognitive Mechanisms of Posttraumatic Growth," and "Vicarious Posttraumatic Growth." This study provides a systematic overview on the knowledge structure of posttraumatic growth by quantitatively network analysi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In the COVID-19 situation, factors affecting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이순영, 홍주영 p. 1-8

코로나 19로 인한 간호대학생의 교내임상실습 불안, 의사소통능력 및 간호전문직관간의 관계 = Relationships among nursing students' anxiety, communication skills, and nursing professionalism about on-campus clinical practice due to COVID-19 김도희, 이원진, 강민지, 강지연, 김나래, 김서영, 김성아, 박성은, 배선미 p. 9-16

안전한 Lora 네트워크를 위한 블록체인(A-PBFT) 기반 인증 기법 = Blockchain (A-PBFT) based authentication method for secure Lora network 김상근 p. 17-24

임상실습을 경험한 일 지역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이 인간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empathy abilit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n person-centered care of nursing students in the region who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임세미, 염영란 p. 25-32

아르곤 상압플라즈마를 이용한 CNT 코팅 공정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CNT coating process using argon atmospheric plasma 김경보, 이종필, 김무진 p. 33-38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증상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 효과 : The effect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on depressive symptom in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정재훈 p. 39-49

성인 입원 환자의 낙상전후 건강상태 관련 특성의 차이 = Differences in health status-related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falls in adult hospitalized patients 김묘연, 이미준, 소혜은, 윤병선 p. 51-59

Knowledge structure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외상 후 성장 지식구조 연구 : a network analysis JooYeon Shin, Sunyoung Kwon, Ka Ryeong Bae p. 61-69

COVID-19 격리 해제 이후 농촌 여중생의 정신건강 영향요인 = Factors influencing the mental health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rural area after COVID-19 quarantine lifts 한숙희, 강문희 p. 71-77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독거 당뇨병 노인의 자살사고 관련 요인 = Related factors of suicide ideation in elderly people with diabetes mellitus living alone in rural area 강문희, 안유진 p. 79-86

V4와 에너지 플랫폼 규모화를 통한 2차 전지 제조 기술 확대 방안 = A study on the expansion of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technology through the scale of V4 and energy platform 서대성 p. 87-94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에 한국 청소년의 신체활동과 불안 = Physical activity and anxiety of adolesc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South Korea 최혜선, 신미아 p. 95-101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농촌 거주 중년 남성의 노화 불안 영향요인 = The influencing factors on aging anxiety of middle-aged men in rural area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강문희, 곽동현 p. 103-111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 태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 The effect of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n depression of multicultural adolscent :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유혜영, 백진아 p. 113-120

코로나19 상황에서 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 영향요인 = The influence factors on nursing practice by clinical nurses (in the COVID-19 situation) 박은희 p. 121-129

가족 내 의사결정 태도가 청소년의 인권의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decision-making attitudes within the family on the human rights awareness of adolescents :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김정희, 최연선 p. 131-136

RPA의 지각된 위험요인이 수용갈등 및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s of perceived risk factors of RPA on acceptance conflict and acceptance intention : RPA experience, gender, and ICT industry as control variables / RPA경험, 성별, ICT업종을 통제변수로 송선정, 유연우, 김상봉 p. 137-146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aggression in adolescents : the mediating role of grit / 그릿의 매개효과 신명옥, 방해순 p. 147-156

어린이 교육용 모바일 앱 인터랙티브 내러티브 디자인이 학습몰입도 증진,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design for interactive narrative app, a mobile app for children's education, on enhancement of learning immers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use 구오칭, 한현석 p. 157-167

피트니스센터 트레이너의 긍정심리자본이 감정노동, 직무능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fitness center trainers on emotional labor and job ability 서재명, 김도진 p. 169-176

교사의 비판적 의식이 다문화 청소년 학교폭력 귀인 및 학교적응 예측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eachers' critical consciousness on attribu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school adjustment prediction 김태선, 이주, 신주연 p. 177-186

노인의 일상생활 동작수행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elderly's ability to perform daily activities on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 우울감의 매개효과 중심 윤미라, 이미애 p. 187-196

선천성 장애인의 재활서비스 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affecting the cost of rehabilitation services for people with congenital disabilities 이현주 p. 197-207

Objective evidence for the effectiveness of single-session treatment with a spinal thermal massage device : 척추온열마사지기기의 1회 치료의 효과에 대한 객관적 증거 : 선행 연구 / a pilot study / Yeong-Il Na, Si-Yun Kim, Seung-Min Baek, Jong-Hoo Lee p. 209-218

보석 대체품을 활용한 주얼리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jewelry design using alternative gem : focused on jewelery design research trends and customer preference / 주얼리 디자인 연구 동향 및 고객 선호도를 중심으로 장진희 p. 219-224

블렌디드 러닝 기반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전문심폐소생술 지식, 수행 능력,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simulation education based on blended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knowledge, performance, learning satisfaction to ACLS 이경희 p. 225-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