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일반계 고등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미결정 관계에서 역기능적 진로사고 매개효과 검증 = Mediating effect of dysfunctional career thin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indecision of ordinary high school students 윤주선, 전주성 p. 5-27
교육실습이 초등교사 성장에 부여하는 의미 : The meaning of teaching practicum on the growth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a cooperating teacher / 한 실습 지도교사의 경험을 통해 이정표, 서순식, 정선미 p. 29-54
한국, 중국, 일본의 초중등학교 비교과 교육과정 비교 = An analysis of non-subject curricula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national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a 김진숙 p. 55-72
채점자질의 적용이 영어 자동채점 모델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scoring features on the accuracy of the automated scoring model of English 신동광 p. 73-91
혁신학교 정책에 대한 다차원적 IPA 분석 = Multidimensional IPA analysis of the innovation school policy 김현욱 p. 93-110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 enacting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education in the U.S. : 미국에서 다문화 사회 정의 교육을 실천하려는 한국인 유아 교사교육자들의 경험과 딜레마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focusing on their dilemmas Ghim, Hyeyoung, Jun Eun Jeong, Ryu Yeonghwi p. 111-129
중국 조선어문 과정에서 판소리의 교육적 적용 : Expering Pansori application scheme in Chinese Korean language curriculum : take the 「Jeok Byuk Ga」 / 「적벽가」교육 연구를 중심으로 황정봉 p. 157-173
이야기 그림책 활용 영어교육을 위한 독자 반응 분석 준거 구안 = Suggesting a framework of reader-response aspects for English language instruction using story picture books 김태은 p. 175-193
초기 사립 혁신학교에서 혁신문화 정착 과정에 대한 문화기술지 : An ethnographic paper on the settlement process of innovative culture at private innovation schools in the early period : characteristics of ambivalence / 양가성(ambivalence)의 특성 정세환 p. 195-216
대학원 과정 특수교육 전공생의 학습장애 학생 지도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한 기초 연구 : A pilot study to improve instructional competencies of graduate students for teaching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 based on syllabus content analysis / 강의계획서 분석을 중심으로 정평강, 이예다나, 연준모 p. 217-236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평가에 대한 일고찰 = An exploration for evaluation of the 2022 revised elementary moral curriculum 이경원, 박영주, 김완수, 강희원 p. 237-263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교사 몰입을 매개로 ICT 수업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teachers' digital literacy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school principals on teachers’ innovative teaching behavior with ICT mediated by teacher engagement 이보영, 송해덕, 김연경 p. 265-291

교사의 전문적자본과 교사효능감 관계 분석 :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professional capital and self-efficacy : based on the interaction effect of generation / 세대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임선빈, 강충서, 모영민 p. 293-319
교사의 교육 ODA 수행 경험의 특징 탐색 =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performance in educational ODA experience 양지윤, 김현진 p. 321-339
교사의 적응적 실행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 A literature review on adaptive practice of teachers : focusing on network analysis /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김희경, 김예진 p. 341-367

대학교원의 성역할 인식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nder role recognition scale for university faculty 최현옥, 박주령 p. 435-451
국악교육 사상에 담긴 생태전환적 가치와 적용 방향 = Ecological transformation value and application direction in the ideas of Gugak education 김아현 p. 369-392
중학생 협동역량의 발달궤적과 부모양육태도, 또래관계, 교사관계의 동시효과와 지연효과 = Middle school students' trajectory of cooperative competence : contemporaneous and lagged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 peer relationships,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모화숙, 박소영 p. 393-412

예비전문상담교사 교육실습 개선을 위한 델파이 연구 = A Delphi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racticum for pre-service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정하윤, 조항 p. 413-434
CIPP 평가모형 기반 의과대학 CQI 프로그램 개선 연구 = A study regarding improvement of the CQI program in medical school based on the CIPP evaluation model 이애화 p. 131-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