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회화 미학의 관점에 따라 장영화 건축가와 승효상 건축가의 주거 건축 작품에서 전통의 형태적, 내용적 적용 방식과 표현 방법을 분석하고 중국회화 미학에서 형신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두 건축가가 주거 건축설계에서 무엇을 더욱 중시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장영화와 승효상의 건축 작품 중 전통성이 반영된 주거 건축작품을 각각 3개씩 선정하여 분석을 진행한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장영화와 승효상의 건축이론을 살펴보고 건축 미학에서의 형식미학과 내용 미학에 대해 알아본다. 이를 통하여 건축의 형적 요소 및 신적 요소를 도출한다. 둘째, 형신의 기원 및 발전과정과 중국회화 미학에서 형과 신의 관계를 살펴보고 형신 관계의 특징을 도출한다. 셋째, 분석 방법과 분석기준을 설정하고 분석의 틀을 도출한다. 넷째, 중국회화 미학의 관점에 따라 장영화와 승효상의 주거 건축 작품을 비교 분석한다. 분석 결과, 두 건축가 모두 주거 건축 설계과정에서 전통의 형적 요소보다 신적 요소를 더욱 중시하고 형태적 모방 보다는 전통의 내면적 특징을 활용하여 현대적 건축에서 전통성을 표현하였다. 동양의 미학과 이론이 중시되는 시대적 상황에서 본 연구가 전통의 계승 방법에 대한 담론을 형성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하면서 현대 주거 건축에서 전통성의 표현 방법 및 적용 방식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현대의 주거 건축에서 전통성의 표현은 그 표면에 나타나는 형태적 요소에만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전통의 내면적 특징을 바탕으로 전통성을 구현해야 하며, 전통의 형태를 추구하여 전통 주거 건축을 그대로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전통 주거 건축의 특징을 해석하여 자신만의 방식으로 표현해야 한다. 다시 말해 전통성의 표현 과정에서 중형보다는 중신, 즉 형태보다는 내용을 더욱 중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피터 브뢰헐의 작품 <네덜란드 속담>에 묘사된 배설의 의미와 현대미술과의 연결성 = The meaning of excretion depicted in Pieter Bruegel’s Netherlandish Proverbs and its relation to contemporary art 강결, 고경호 p. 1-14

조르주 바타이유의 위반의 사유로 바라본 비정형과 현대미술 = Analysis of formless and contemporary art through Georges Bataille’s concept of transgression 강나영, 박일호 p. 15-28

빛과 공간을 통한 유사자연과 숭고의 예술 = Pseudo-nature and sublime art through light and space 강태환 p. 29-40

에른스트 헤켈의 자연물 도해에 나타난 조형원리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 A study on fashion design by applying the formative principle shown in the illustrations of natural objects by Ernst Haeckel : focusing on the slash technique / 슬래쉬 기법을 중심으로 관기흠, 이세리 p. 41-62

순환 패션을 위한 소재 중심 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material-driven design process for circular fashion 권성하 p. 63-76

학령기 남아의 하반신 체형 분석 : A study on the lower body types of school-aged boys : focusing on height sections according to size marking / 치수표기에 따른 키 구간을 중심으로 김민정 p. 77-88

장애인을 위한 마이데이터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UI 디자인 = MyData-based mobility service UI design for the disabled 김보람, 조성환 p. 89-104

문화 차이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아트 조형언어 인식 비교 : Comparison of the perception of formative elements on digital media art by cross‐cultural differences : focused on Korean, Chinese, and Australian / 한국인, 중국인, 호주인을 중심으로 김세화 p. 105-117

시간성에 입각한 공공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public design based on temporality 김소현, 이진숙 p. 119-130

커뮤니티 아트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공유개념도 연구 : Exploring a consensus map for sustainability of community arts : focused on the case of Beachcombing / 비치코밍 사례를 중심으로 김주현 p. 131-14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영역 및 디자이너의 핵심 역량 분석을 통한 교육 방향성 모색 = Exploring the communication design education direction through analysis of its domain and required designer competencies 김지현, 황일경, 이지선, 송현지, 김소연 p. 143-155

소형 태양광 인버터 디자인 개발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design development of a small solar inverter 김진수, 한상윤 p. 157-175

포뮬러 E 시청자 분석을 통한 흥미 유형 연구 = Study on the types of interest through audience analysis of Formula E 박기용, 김지윤 p. 177-194

한글 타이포그래피의 변칙 분해 배열 : Irregular disassembled arrangement of Hangeul typography : focused on researcher’s works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박우혁 p. 195-206

NFT 미술 현황에 대한 국내 작가 인식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Korean artists on the status of NFT art 박현희 p. 207-221

의태의 전략과 인격화한 캐릭터를 통해 구축하는 웹사이트 디자인 : Website design built through the strategy of mimicry and personified characters : focused on website Party in a Box / <파티 인어 박스>를 중심으로 배민기 p. 223-238

웹 그래픽에 나타난 디지로그의 특징 : Characteristics of digilog in web graphics : focusing on the recent web design trend case analysis / 최근 웹디자인 트렌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백대은 p. 239-254

공간구문론 기반 대학캠퍼스 공용공간의 도로 접근성 분석 및 평가 : Analysis and evaluation of road accessibility of university campus public space based on space syntax : the case of Gwangju Campus of Chonnam University / 전남대학교 광주캠퍼스를 중심으로 사린, 우완성, 정정호 p. 255-270

네일디자인 전개를 위한 디자인스케치 단계의 체계화를 위한 연구 = A study on the systematization of design sketch steps for the development of nail design 설현진 p. 271-282

조선시대 왕실 패문재경직도 제작 의미 = Paemunjae Gyeongjikdo for Joseon royal court 송민수 p. 283-294

한·중 풍속화의 시각적 유머의 발생유형 = The occurrence type of visual humor in Korean and Chinese genre painting 왕소우, 유동관 p. 295-308

반려견주들의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모바일 서비스 제안 : Proposing a mobile service for the revitalization of local communities for dog owners : focusing on Gyeongchunseon Forest Road in Nowon-Gu / 노원구 경춘선숲길을 중심으로 유은, 이산하, 김지현, 최연이 p. 309-322

그라데이션 기법을 통한 색채 이미지 표현연구 : A research on the expression of color images through the gradation technique : focused on the works of Fernand Léger / 페르낭 레제의 작품을 중심으로 유현수, 안진의 p. 323-334

기술수용모형, 몰입이론, 계획된 행동 이론을 결합하여 모바일 숏폼 앱 사용자의 사용 의사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ser’s will to use short video software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low theory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 taking Chinese TikTok users as an example / 중국 틱톡 사용자를 대상으로 이박양 p. 335-347

투명 재질의 특성에 따라 혼합 재구성한 뉴 미디어아트 사례 연구 =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recombined characterisitcs of transparant materials in new media 이시아, 김형기 p. 349-363

리좀의 관점에서 본 닉 케이브의 사운드수트 = Nick Cave’s soundsuit in the perspective of rhizome 이주영, 주보림 p. 365-382

참여적 디자인 픽션 : Participatoy design fiction : speculative design method for investigating publicity / 공공성 탐색을 위한 추측적 디자인 방법 이지혜 p. 383-402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관점으로 바라본 김환기의 점화 연구 = A study on dot painting by KimWhanki From the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of Merleau-Ponty 이혜미, 안진의 p. 403-415

텍스트 시각화 방식의 디지털 어노테이션 서비스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of digital annotation service in text visualization : based on e-book readings in humanities / e-Book에서의 인문학 독서를 바탕으로 임진솔, 최종훈 p. 417-428

디자인 씽킹 교육이 대학생의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design thinking education on university student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skills 임채연, 박영심 p. 429-440

카니발 이론 관점에서 본 배틀로얄 게임 분석 : An analysis on battle royale game from the perspective of carnival theory : focused on Game For Peace / <화평정영>을 중심으로 장함교 p. 441-452

영화 <블랙스완>에 나타난 과정 중의 주체와 모성의 예술적 승화 = The subject in process and artistic sublimation of the mother in Black Swan 정연이 p. 453-466

왜곡과 중첩을 통한 사진 표현 연구 : The study on photographic expression through distortion and overlap : focused on the exhibition Insect eyes-The origin of sight / <곤충의 눈-시선의 기원> 전시를 중심으로 정윤영, 주도양 p. 467-481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리브랜딩 전략 : Rebranding strategies of luxury fashion brand : focusing on rebranding strategies of Gucci / 구찌의 리브랜딩 전략을 중심으로 조윤수 p. 483-506

패션 브랜드 버버리의 아트 컬래버레이션 전략 연구 = A study on art collaboration projects in fashion brand Burberry 조윤수 p. 507-524

(A) cognition study of cultural product design based on Q-method = Q-방법에 기반한 문화 제품 디자인 인지 연구 Minglei Zheng, Hyunsuk Han p. 525-540

20대 여성의 마스크와 모자 설계를 위한 얼굴 및 머리 형태 유형화 = Types of face and head for mask and hat design in 20s women 차수정 p. 541-555

20대 비만 여성의 몸통 유형별 보디스 원형 비교 = Comparison of bodice prototype by torso type of 20s obese women 차수정 p. 557-570

고령자와 일반인의 겨울철 도시공원 평가 요소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evaluation factors of urban parks in winter season between the elderly and the general public 청스징, 김용구 p. 571-586

무경험자의 체험 평가 변화 추세 연구 : A study on the change trend in the experience evaluation of non-experienced people : focusing on smartwatches for children aged 10~12 / 10~12세 어린이의 스마트워치 중심으로 최동결, 김용구 p. 587-602

책 표지 디자인의 시각 기호 분류체계 제안 : Development of classification system model of visual signs in book cover design : focused on George Orwell's 1984 book cover design / 조지 오웰의 『1984년』책 표지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최장섭 p. 603-616

중국회화 미학의 형신론을 기반으로 중국과 한국의 주거 건축의 전통성 표현에 관한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expression of traditionality of Chinese and Korean residential architecture based on the theory of form and spirit in Chinese painting aesthetics : focusing on Zhang YongHe and Seung H-Sang’s residential architecture / 장영화와 승효상의 주거 건축을 중심으로 현걸, 김남효 p. 617-638

프랑스 미술 아카데미의 교육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ducation of the French academy of fine arts : focused on the education of the 17th century French academie royale de peinture et de sculpture / 17세기 프랑스 왕립 회화, 조각 아카데미의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현정아 p. 639-652

MZ세대가 골프웨어를 선택하는 속성과 브랜드 충성도 간의 영향관계 :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between the attributes of generation MZ’s golf wear selection and the brand loyalty :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image / 브랜드 이미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형미라, 한정민, 강혜승 p. 653-668

선의 풍격을 중심으로한 다기세트 디자인 제안 = A Zen style design for a tea set combination 호영곤, 한상윤 p. 669-688

실내 공간디자인에서 베이비 스키마 조형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baby schema design in interior design 황정석, 조택연 p. 689-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