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예비교사의 미술수업 설계, 수정, 실행과정 및 평가의 전반적 과정을 관찰함으로써 수업에서 출현하는 구체적 사건과 현상을 주목하고 분석 및 해석을 수행하는 질적 연구이다. 특히 미술 교과의 단원 중 표현 수업만을 중심으로 연구 범위를 대상을 한정하여 해당 수업을 수행하는 예비교사의 미시적 상황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교사의 미술 지도와 실기 시범은 학생들의 표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예비교사들은 특정 미술 장르나 내용에 대한 고정관념을 갖고 있으며 지도 과정에서도 반영되고 있었다. 표현의 구체적인 방법을 가르칠 수 있다면 일부 학생들의 실제적인 표현력 신장에 도움을 준다. 상상 표현 영역처럼 사실주의적 기준을 벗어나는 표현에서 예비교사들은 그림의 지시적 정보와 조형적 판단 사이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수업의 구성을 위한 교과 지식의 습득과 이해의 부족에서 비롯된 여러 가지 오류가 예비교사의 수업에서 다수 나타난다. 밝혀진 예비교사의 수업 특성을 개선하는 과정을 통해 미술교육의 전문가로 성장할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미술의 우열 판단에 관한 철학적 탐색 : A philosophical exploration on the judgment of the superiority and inferiority in art :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art underachievement / 미술학습부진의 존재 가능성 고찰 공완욱 p. 1-26

윤두서의 <채애도(採艾圖)>와 문인정신 : Yun Doo-seo's Chae Ae-do (採艾圖) and literary spirit : focusing on the discussion of genre painting / 풍속화 논의를 중심으로 김백균 p. 27-43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흥미의 위치 = The position of interest in art curriculum 김정선 p. 45-68

미술영재의 작품 제작과 사고 과정 = A study on artwork production and thinking process of art talented students 김정희 p. 69-92

미술동아리 운영 현황 및 성과 분석 = Current status and outcome analysis of the art club 김효희, 안지연 p. 93-125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핵심 역량 고찰 : A review on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2022 revised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 : focusing on aesthetic sensibility competency, identity competency, and community competency / 심미적 감성, 정체성, 공동체 역량을 중심으로 박수정, 송명길, 공완욱, 이미희, 이하림, 전수현 p. 127-166

고등학교 미술교과서 미디어아트 영역의 개선 방안 제안 : Proposal of improvement the media art unit of high school art textbooks : focusing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2015 개정 교육과정 중심으로 송민경, 김미경 p. 167-196

스튜디오 싱킹 방법론(Studio-Thinking)을 활용한 탐구 중심 미술관교육 프로그램 개발 = Action research on an inquiry program based on studio-thinking in art museum education 안아영, 양진이, 김형숙 p. 197-221

초등 예비교사의 미술 교수 역량 참여관찰 연구 = A study on the participant observation of primary pre-service teachers to improve teaching competency of art 안인기 p. 223-250

2015 개정 중학교 미술교과서 분석을 통한 디자인 영역의 개선방안 연구 = A study on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design area based on the analysis of middle school art textbooks under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윤혜리, 김효정 p. 251-278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조각 감상 활동이 작품 해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culpture appreciation activities of using storytelling on art interpretation 임송희, 류재만 p. 279-312

초등학생의 생태소양 함양을 위한 사운드스케이프 융합예술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oundscape-based convergence arts education program to cultivate eco-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정은주, 김정효 p. 313-345

존 듀이의 경험의 성격 = The characteristics of John Dewey’s conception of experience 허정임 p. 347-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