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한국 다문화사회에서 다문화 인재 양성 전략의 성공 여부는 교육적인 비전공유 및 적극적인 교육 행정지원이 함께 이루어질 때 효과성은 극대화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아세안 교류 증가에 따른 결혼이민자들을 활용한 국제친화형 다문화 인재 양성 특성화 방안을 지역 기관과 교육 연계성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한국사회에서 아세안 국가 출신 결혼이민자들에 대한 국제친화형 다문화 인재로서의 양성 교육 방법의 성패 여부는 한국 정부의 다문화정책과 결혼이민자들의 적극적인 의지가 관건이다. 아울러 지자체 및 민간단체의 비전 공유와 지역 대학기관의 교육서비스가 실시간적으로 지원되는지, 그 여부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Korean multiculture society is a key issue for the creation competent and talented human resources for the productiion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how to characterize and the specialized marriage immigrant womenpower training system for global-friendly multicultural tallent of Korea-ASEAN on exchange increase with global competitiveness. The success of multi-disciplinary education will be maximized when cooperation with the responsible ministry, the active will of the ministry, the exchange increase vision of the university, and real-time and active administration are support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analysis of demand and supply of the human resources in the multiculture society, we found out that the multiculture society requires Specialized marriage immigrant womenpower training system for Global-friendly multicultural tallent of Korea-ASEAN on exchange increase who has the creativity, practical applicption ability, and the international competenc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지역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이탈 문제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issue of foreign students' dropout of local collage : 부산지역 K대학교 베트남 어학연수생을 중심으로 구지은, 박형준 p. 1-29

고용허가제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체류기간 연장의 필요성과 가족동반이주의 문제점 및 효과 = The necessity of extending the sojourn period for foreign workers under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and the problems and effects of family immigration 김미경 p. 31-49

적대와 환대를 넘어서는 무관심의 포용, 쿰다 = CUMDA, embracing indifference beyond hostility and hospitality 김준표 p. 51-69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프랑스 난민 신청(인정)자 대상 특수목적언어교육(FOS)의 변화와 의의 = A study of the significance and change of special purpose language education (FOS) for French asylum seekers (acknowledgement) in the post-corona era : Thot학교, JRS, Accueil et Avenir(환대와 미래) 다문화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장니나 p. 71-88

우즈베키스탄인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for Uzbekistan Korean learners 장미선, 이숙진, 남은영, 박혜란 p. 89-105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생활적응과정에 관한 모형 : A model study on the adaptation process of married migrant women to Korean life : focusing on Vietnamese migrant women / 베트남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전혜경 p. 107-142

아시아공동체론과 세계시민 교육을 통한 대학생들의 의식변화 연구 = A study on the change of university students' consciousness through Asian community theory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정기영, 히라나카 유카리, 조희주 p. 143-165

한 아세안 교류 증가에 따른 국제친화형 다문화 인재 양성 특성화 방안 = A study on the specialized marriage immigrant womenpower training system for global-friendly multicultural tallent of Korea-ASEAN on exchange increase 황미혜 p. 167-185

(A) comparative analysis of cultural trade in Korea and China and countermeasures for China's cultural trade development = 한중 문화무역 비교분석 및 중국 문화무역 발전을 위한 대책 Shen Lei p. 187-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