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한국 다문화사회에서 다문화 인재 양성 전략의 성공 여부는 교육적인 비전공유 및 적극적인 교육 행정지원이 함께 이루어질 때 효과성은 극대화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아세안 교류 증가에 따른 결혼이민자들을 활용한 국제친화형 다문화 인재 양성 특성화 방안을 지역 기관과 교육 연계성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한국사회에서 아세안 국가 출신 결혼이민자들에 대한 국제친화형 다문화 인재로서의 양성 교육 방법의 성패 여부는 한국 정부의 다문화정책과 결혼이민자들의 적극적인 의지가 관건이다. 아울러 지자체 및 민간단체의 비전 공유와 지역 대학기관의 교육서비스가 실시간적으로 지원되는지, 그 여부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Korean multiculture society is a key issue for the creation competent and talented human resources for the productiion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how to characterize and the specialized marriage immigrant womenpower training system for global-friendly multicultural tallent of Korea-ASEAN on exchange increase with global competitiveness. The success of multi-disciplinary education will be maximized when cooperation with the responsible ministry, the active will of the ministry, the exchange increase vision of the university, and real-time and active administration are support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analysis of demand and supply of the human resources in the multiculture society, we found out that the multiculture society requires Specialized marriage immigrant womenpower training system for Global-friendly multicultural tallent of Korea-ASEAN on exchange increase who has the creativity, practical applicption ability, and the international competency.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