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고전소설 결연징표의 현대적 변용 연구 : A study on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the token of a match in Korean classic novels : focusing on the token of a match in K-dramas / K-drama를 중심으로 노보윤 p. 7-38
韓國 自撰碑誌의 변곡점과 그 배경 : A study on the inflection point and background of the Korean self-written epitaph : with the discussion of Korean and Chinese self-written epitaph / 韓中 自撰碑誌의 상호조감을 겸하여 안득용 p. 39-89
<화정선행록>의 창작 방식 연구 : A study on the creation method of Hwajeongseonhaengrok : focusing on the novelization patterns and methods of historical figures / 역사 인물의 소설화 양상과 방식을 중심으로 주수민 p. 91-116

조선 초 과거 제도 논쟁을 통해 본 시학의 가치 = Value of poetics through the controversy of the public examination system of the early Joseon Dynasty 주지영 p. 117-144
손창섭의 단편 애정 세태소설 속 결혼 모티프와 인물 연구 : A study on the marriage motifs and characters in Son Chang-seop's short love story novels : focusing on 「The Truth of Love」, 「The Nullification of Love」, and 「The Unforgettable Past」 / 「애정의 진리」, 「애정무효」, 「잊을 수 없는 과거」를 중심으로 강유진 p. 147-170
'바보' 서사의 특이성과 정치성 : Peculiarity and politics of "Babo" narrative : focusing on Toji by Pak Kyongni / 박경리 『토지』를 중심으로 김연숙 p. 171-194
80년대생 여성 서사에 재현된 인정 투쟁 : A study on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reproduced in the narratives of women born during the 80's : focusing on <Hummingbird> and <Kim Ji-young, Born 1982> / 영화 <벌새>와 <82년생 김지영>을 중심으로 김윤희 p. 195-221
지옥에 나타난 파국적 상상력과 실재의 일상화 = A study on the catastrophic imagination and the routinization of the real in TV drama <Hell> 박명진 p. 223-252
정지용 시에 나타난 동물 이미지 연구 = Animal images in the poems of Jung Ji-yong 이희문 p. 253-284
박용철 시론의 의미 연구 : Meaning of Park Yong-cheol's poetics : focusing on the concept of "national literature and art" / '민족문예' 개념을 중심으로 정은기 p. 285-310
근대 문학에 재현된 ‘여성-살인’의 서사 = The narrative 'female's death' in Korean modern novels : 김동인, 염상섭 작품을 중심으로 조영란 p. 311-344
성(性) 역할 반전 유토피아의 조건과 한계 = A study of conditions and limitations of sex role reversal utopia : 샬럿 퍼킨스 길먼, 『허랜드』와 문윤성, 『완전사회』를 중심으로 진설아 p. 345-367
박상륭의 '몸의 우주'론 연구 : Park Sang-ryong's "universe of the body" : focusing on early novels / 초기 소설을 중심으로 최면정 p. 369-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