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에서는 조선조 문인의 왕안석 및 그의 신법에 대한 평가를 전면적이고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부정적 평가가 主流이나, 그 장점도 함께 제시하여 실체를 파악하려는 균형적 안목도 나타나고 있다. 조선의 사대부 문인들은 왕안석 신법의 실패를 조선의 정치, 경제발전의 반면교사로 삼고자 했다. 그들은 新法의 순수한 취지 그 자체를 의심하지는 않았다. 그들은 중국의 역사서나 朱熹의 왕안석에 대한 비평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그러나 이에 매몰되지 않고 왕안석 및 그의 신법에 대해서 조선의 君臣과 문인 자체의 감식안으로 파악하고 있다. 일부 문인의 개혁의지도 이와 관련된다. 이에는 왕안석에 대한 평가와 해석 속에 내재되어 있는 민생안정 추구, 救國의 열정 등의 정신적 가치가 들어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磻溪 柳馨遠의 實理論과 經世學 = A study on the practical principle theory and the modification theory of Yu Hyeong-weon 全聖健 p. 5-31

조선 후기 화가의 재발견 : A study on the grape painting and life of Hyu Dang Lee Gye-ho / 휴당 이계호(1754~1833)의 생애와 포도도 연구 姜榮珠 p. 33-72

조선조 문인의 王安石 및 그의 新法에 대한 평가 = Evaluation on Wang Anshi’s personality and his new policies by Joseon Dynasty literati 曺圭百 p. 73-103

『덕혜입문』의 판본별 대역어 비교 연구 :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ranslated Sino-Korean words in the two editions of The Gate of Virtue and Wisdom / 제3·4장에 수록된 한자어를 중심으로 林茶英 p. 105-133

『신생활』 이후의 신생활사 : New Life Society(新生活社) after ‘New Life’ : a fragment of the socialist mass publishing movement in the first half of the 1920s / 1920년대 전반기 사회주의계열 대중출판운동의 편린 金賢珠, 趙正允 p. 135-167

극예술연구회 <앵화원> 공연의 특성과 무대 형상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stage performance of 〈Vishnyovyi Sad〉 produced by Geugyesuryeonguhoe 金南奭 p. 169-197

식민지시기 책시장의 동향과 지식·문학의 관계. The trend of the book market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 Kore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literature. 4, Literature marketplace under dirigisme in the first half of the 1940s / 4, 1940년대 전반기 통제주의 아래에서의 문학시장 柳石桓 p. 199-235

중국에서 아리랑의 역사적 존재 양상 : Arirang’s historical existence in China : from ‘Arirang of Joy’ to ‘New Arirang’ / 「기쁨의 아리랑」에서 「새 아리랑」까지 鄭雨澤 p. 237-272

냉전기 한국 부조리극의 검열 패러디 : The parody of censorship in Korean absurd plays during the Cold War : focusing on plays banned in 1975 / 1975년 공연 금지된 연극을 중심으로 李承姬 p. 273-307

제2차 국내혁명 서사와 조선족의 국민적 정체성 = Narration of the 2nd domestic revolution and Chinese Koreans’ national identity 李海英 p. 309-340

한국SGI 회원의 종교적 가치관과 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 Study of religious values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Korea SGI members 諸点淑 p. 341-3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