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오늘날 노년의 삶 문제는 전지구적 문제가 되어 가고 있다. 인류의 기대 수명은 계속해서 늘고 있고, 세계 여러 나라가 빠르게 고령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역시 예외가 아니다. 그런 탓에 노년의 삶을 지탱할 수 있는 사회적 안전망을 구축하는 일은 우리 사회의 뜨거운 화두이다. 하지만 그런 정책적인 노력에 앞서 더 근본적으로 생각해 봐야 하는 문제는 노년의 삶에 대한 우리의 인식이다. 노인 혐오 현상이 보여주듯 노년의 삶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문제 해결을 어렵게 만들기 때문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노년의 삶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벗어나는 것이야말로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노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의 뿌리는 노화 자체에 대한 혐오다. 늙고 병들어 사멸해 가는 과정에 대한 두려움과 혐오가 그것이다. 이러한 노화 혐오는 인류 문명이 시작된 이래로 끊임없이 지속해 온 것이기도 하다. 하지만 오늘날의 노화 혐오는 과거의 그것과는 다르다. 전통 사회에서 노화는 혐오스러운 것이기는 했지만 피할 수 없는 숙명과도 같은 것이었다. 따라서 노화에 저항한다는 것은 부질없는 일로 여겨졌다. 하지만 오늘날 노화에 저항하는 일은 그렇게 무의미한 일이 아닌 것처럼 보이기 시작했다. 이 글의 목적은 오늘날 변화하고 있는 노화 혐오의 양상 변화를 해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의 시간성 개념이 변화하고 있는 현실을 살펴볼 것이다. 비록 이러한 작업이 우리 사회가 부딪친 문제에 대한 직접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는 못하더라도, 왜 그 문제의 해결이 쉽지 않은지를 이해하는 데는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기후위기와 생태전환을 위한 도가(道家)의 생태성 탐색 = On Taoist ecology for climate crisis and ecological turning 김백희 p. 1-18

한국 개신교 교파(단)기관지에 나타난 생태 인식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ecological awareness in Korean Protestant denomination's newspaper 김종만 p. 19-52

종교와 생태적 태도의 관계 : Religion and ecological attitudes : implications from the religious governance in the US / 미국 사례를 통한 종교거버넌스의 고찰 김현경, 송재룡 p. 53-73

슈바이처의 새로운 기독교 이해와 생태론 = Schweitzer’s new understanding of Christianity and ecology 서동은 p. 74-92

종교기반 시민생태운동에서 협동조합주의의 역할에 관한 비판적 고찰 : A critical study on the role of cooperativism in the religious-based civil ecological movement : focusing on the Catholic church of Korea / 한국천주교를 중심으로 유광석 p. 93-111

연기(緣起) 사상과 생태적 실천의 관계 탐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dependent origination and ecological practice : focusing on the conversion / 회심을 중심으로 이명호 p. 112-137

도가·도교철학의 환경·생태철학 연구 현황과 전망 : The research status and prospect of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hilosophy of the Daoism : focusing on Daoism philosophy of the Korean academia / 한국 도가·도교철학계 연구를 중심으로 이진용 p. 138-160

왕부지의 困卦 『大象傳』 풀이와 그 君子觀 고찰 = A study on Wang Fuzhi's interpretation of 'Daesangjeon(⼤象傳)' of Gon-gwae(困卦) and his view of Gunja(君⼦) 김진근 p. 161-185

정보 기계로서의 생명 : Life as an information machine :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e philosophy of information / 구성적 정보 철학 관점에서 박충식 p. 186-211

마르크스주의 이론에서 지배의 강제적 차원과 이데올로기의 관계 : The correlation between coercive factors of domination and ideology in Marxist theory : focusing on the transmission and acceptance of ideology / 이데올로기의 전달과 수용을 중심으로 이기라 p. 212-234

북송 진단 역학의 본원론 고찰 = An investigation on Chen Tuan’s discussion of the fundamental and origin of the universe in the Zhengyi Xinfa : 『정역심법』을 중심으로 이대승 p. 235-256

조력존엄사에 관한 철학적 성찰 : Philosophical reflection on the assisted death with dignity : focusing on the difference from the Medical Care Act for Life Prolongation / 연명의료결정법과 차이를 중심으로 이은영 p. 257-276

호모 파티엔스(Homo Patiens)를 위한 보에티우스의 행복론 : Boethius’ theory of happiness for Homo Patiens : in Boethius’ Consolation of Philosophy, book Ⅱ and Ⅲ / 『철학의 위안』 2, 3권을 중심으로 장미성 p. 277-301

임금의 규범적 개념과 정당성 연구 : A study on the normative concept and justification of wages : what is a justified wage / 정당한 임금은 무엇인가? 장운혁 p. 302-321

막스 호르크하이머(Max Horkheimer)의 후기철학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late philosophy of Max Horkheimer : focusing on the concept of 'the Longing for the entirely Others' / '아주 다른 것에 대한 동경(憧憬)' 개념을 중심으로 전석환 p. 322-344

재일조선인의 이동(mobility) 경험과 기억으로 본 난민 감시와 처벌 = A study on refugee surveillance and punishment focusing on the mobility experience and memories of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김치완 p. 345-367

비동기 사회의 시간성 교란과 노화 혐오 = Disconcertion of temporality in asynchronous society and the gerontophobia 박승억 p. 368-386

옛 경춘선 서울권 폐역(廢驛)의 기록화와 활용안 = A study on the record and application of the closed station in Seoul area Gyeongchun Line 오준호, 정두호 p. 387-402

지역 대학축제의 기억과 기록화 작업 : Memory and recording of the university festival : focusing on universities in Chuncheon, Gangwon-do / 강원도 춘천 소재 대학을 중심으로 유춘동, 신성환 p. 403-420

Syntactic incorporation analysis for Korean case-less items in Korean Yoo, Yong Suk p. 421-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