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대학원 파견교사로 구성된 연구진이 학교의 지역연계 교육과정과 학교와 마을의 연계를 지원하여 학교의 지역연계 교육활동 개선에 목적을 둔 실행연구이다. 연구진은 단위학교 교육과정 안에서 지역연계 교육활동을 활성화하고, 교사들이 학교 밖 마을과 연계하는 활동을 지원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진은 학교의 지역연계 교육과정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지역연계 교육과정 제공, 온라인 지도 제작(지역 교육자원 지도화), 마을주민과의 연결 지원 등의 활동을 학교 현장 교사들과 함께 실행하였다. 실행연구 결과 파견교사의 지역연계 교육활동 지원이 학교가 지역연계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데 도움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파견교사가 단위학교를 지원하고 지역교육 전문가로서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파견교사의 참여 실행연구를 통해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파견교사의 학교 지원 활동은 파견교사의 역할과 파견연수의 의미를 새롭게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대학원 파견교사들이 교사로서 쌓아온 전문성과 지역 학교의 지원이 필요한 부분이 매칭되어 학교 교육활동 개선에 도움을 준 활동이라는 데 의미가 있다. 셋째, 파견교사의 참여실행연구는 대학원 교육과정을 학교 현장과 더욱 긴밀하게 연계시킬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ion research process on support of regionally-linked curriculum in schools conducted by graduate school dispatched teachers, and to examine the role of dispatched teachers in regional educational cooperation and the implications of practice research on regionally-connected education. To this end, the research team composed of trainees dispatched to the graduate school carried out support activities to activate regional-linked educational activities within the school curriculum and to encourage teachers to step outside the school and connect with the village. Specific support activities include provision of regional-linked curriculum materials, online map production (local educational resource mapping), connection of villagers, and support for village feasts. As a result of this action research, the support for regional-linked educational activities by dispatched teachers not only helped schools to operate regionally connected curriculum, but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for dispatched teachers to support unit schools and grow as experts in local education. The following are the implications obtained through the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of dispatched teachers. First, the school support activities of dispatched teachers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role of dispatched teachers and rethink the meaning of graduate school training. Second, it is meaningful as an activity that helped to improve school education activities by matching the areas that needed support from local schools with the expertise that graduate school dispatched teachers have accumulated as teachers. Third, the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of dispatched teachers has the meaning of linking the parts learned at the graduate school with the school fiel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내가 되고 싶은 교사'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변화 분석 = Analysis of prospectiv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teacher I want to be' 조덕주 p. 1-30

교원양성 교육내용, 수업 활용 준비도와 교수활동 간 관계 분석 =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training contents, readiness for class use, and teaching activities : 저경력 교사를 대상으로 김민조, 이호준 p. 145-173

사범대학교 학생의 수업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normal university students' perspective on the class : focusing on comparison before and after COVID-19 / COVID-19 전후 비교를 중심으로 오세라, 최성욱 p. 31-60

초등학교 저경력교사의 교육실습 지도 경험 연구 = A study on the teaching practicum instructing experience of the low-care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김봉선, 박수정 p. 61-89

학교풍토, 교사 전문적 학습공동체, 교사 전문성 개발, 학생 학업성취도의 구조관계 분석 = The structural analysis of school climate,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유하원, 김수연, 장재홍 p. 175-199

중등학교 학교장의 스트레스 원인과 대처 탐색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tressors and coping strategies in secondary school principal 황재운 p. 91-115

그림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picture books 이승은 p. 201-230

학교조직 혁신성, 동료교사 혁신성, 교사협력 사이의 구조적 관계 탐색 : Examination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chool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collective teacher innovativeness, and teacher collaboration : an application of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다층구조방정식 모형의 적용 윤익상 p. 117-144

고등학교 교사 직무만족도와 예측요인 탐색 = Exploring high school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predictors 국준봉, 이재덕 p. 315-341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의 발달이 학생의 비인지적 성취에 미치는 효과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on students’ non-cognitive skills : focusing on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 경기교육종단연구(GEPS)를 중심으로 배정현 p. 231-260

민선교육감 이후 교육전문직원 유형과 역할 변화 탐색 = Exploration of the types and roles of the educational supervisor after the elected superintendent of education 김성천 p. 343-372

맞춤형 교육을 위한 교사의 학습분석 기반 대시보드 활용과 인식에 대한 연구 = A study of teachers’ use and perception of learning analytics based dashboard for customized education 도재우, 어정인, 나용재, 김수진 p. 261-289

학교상담자 소진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 A meta-analysis of school counselors’ burnout focused on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 개인 및 환경요인을 중심으로 전성은, 강영신 p. 291-314

대학원 파견교사의 지역연계 교육과정 지원 실행연구 = Action research on support for regional linked curriculum by teachers dispatched to graduate schools 신철균, 고낙원, 고영남, 김평강, 이상모, 함진숙, 김명희 p. 373-398

교사 리더십 연구동향 분석(2016~2021) =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n teacher leadership(2016∼2021) 박수정, 조하영, 유진설 p. 399-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