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안경광학과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역량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e of ophthalmic optics students / 이옥진 ; 이승원 ; 권오주 1

[요약] 1

서론 1

대상 및 방법 2

결과 및 고찰 2

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2

2. 안경광학과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역량 2

결론 7

REFERENCES 7

[요약] 9

Appendix :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역량에 관한 설문지 10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키워드 네트워크를 적용해 분석한 한국안광학회지의 연구동향 변화 = Changes in research trends in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analyzed by applying key word network 정수아, 김현정 p. 215-225

보기
안경광학과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역량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e of ophthalmic optics students 이옥진, 이승원, 권오주 p. 227-237

보기
온도 및 습도 노출에 따른 안경렌즈의 표면 및 특성 변화 = Temperature and humidity-associated surface and characteristic changes of ophthalmic lenses 황소담, 강지애, 허수연, 박미정, 김소라 p. 239-246

보기
안경광학과 학과계열 분류의 타당성 분석 = Feasibility of the Korean classification of the department of optometry 심현석, 김소라, 강성수, 이기석, 박경희, 김대종, 권오현, 김상현 p. 247-252

보기
반복적인 저온 노출이 써클 소프트콘택트렌즈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repeated exposure to low temperatures on circle soft contact lenses 정원영, 윤선미, 이주연, 김소라, 박미정 p. 253-262

보기
조절스트레스와 조절유도량에 따른 측정 AC/A ratio의 변화 = Variations in the measured AC/A ratio depending on accommodative stress and spherical powers for accommodative induction 노재현, 유동식, 문병연, 김상엽, 조현국 p. 263-267

보기
디지털 기기 사용으로 인한 안정피로의 관리 = Management of eye strain caused by digital devices use 최재선, 김정미 p. 269-280

보기
태블릿 PC를 통해 구현된 증강현실 영상 속 이동하는 시표와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 시표가 이동하는 영상 관찰시 나타나는 눈의 조절력 변화에 관한 연구 = Changes in accommodative responses between the moving target video viewed with augmented reality and the real-time moving target viewed with a tablet PC camera 문세준, 길민지, 박상일, 강현구 p. 281-286

보기
가상현실(VR) 게임 이용 시 안경과 콘택트렌즈 간의 피로도 및 몰입감 변화에 관한 연구 = Study on changes in fatigue and immersion between glasses and contact lens wearers when using virtual reality games 강현구, 김연호, 박유찬, 홍형기 p. 287-296

보기
가상현실 영상 시청이 안구 건조와 시력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Effects on ocular dryness and optical quality when watching movies using a virtual reality device 이진웅, 홍형기 p. 297-304

보기
난시검사법에 따른 완전교정의 효용성 평가 =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full-correction according to the refraction tests for astigmatism 최현동, 이준선, 장욱, 박미정, 김소라 p. 305-311

보기
안경조제가공 오차와 광학적 성능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Correlation between optometric dispensing errors and optical performance 김범준, 강현구, 박상일 p. 313-319

보기
각막 형상이 눈물막 파괴 시간과 위치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corneal shape on tear film destruction time and location 장예진, 강현구, 김수강, 박상일 p. 321-326

보기
구강건조증 및 안구건조증의 자가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influencing self-recognition of dry mouth and dry eye 강현구, 정유연 p. 327-333

보기
경남 차상위계층의 시각적 삶의 실태 연구 = Study on the realities of quality of life in vision of the low income group in Gyeongnam 김정숙, 배현주, 서재명 p. 335-340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