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미국 포스트모더니즘 작곡가 존 존(John Zorn, 1953~)과 그의 소프라노와 두 명의 드러머를 위한 〈황진이(Hwang Chin-Ee)〉(1997)에 드러난 ‘한국 여성’의 음악적 재현을 문화 전유의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존은 음악사에서 뛰어난 음악적 감각과 예술성, 혁신적인 어법을 창출한 작곡가로 평가받아왔다. 하지만 그가 아시아 여성의 ‘성(sexuality)’을 소재로 음악에 다루는 것은 ‘아시오필리아(Asiophile)’의 성향을 비추면서 모순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존의 〈황진이〉에서는 황진이 본래의 모습과는 달리 미숙하거나 야만적인 여성상을 그려내어 캐릭터에 대한 심각한 왜곡이 드러난다. 저자는 이러한 왜곡이 그간 동양 여성을 바라보는 백인 남성의 관음적 시선을 그려내는 오리엔탈리즘뿐만 아니라 강도 높은 ‘문화 전유’의 증거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 글은 미국 포스트모더니즘 작곡의 맥락에서 존의 작품 안에 실험적 시도가 있음에도 실제 악기 편성, 가사, 사운드에 문화 전유의 양상이 드러나며, 더 나아가 20세기 후반에도 서구 중심적인 시야가 존재함을 밝히는 데에 주안점을 둔다.

This study examines the cultural appropriate inherent in the musical representation of Korean women in Hwang Chin-Ee (1997) by American postmodern composer John Zorn (b. 1953). Many music scholars have praised Zorn for his outstanding musical ability and artistry. However, his musical treatment of Asian women’s ‘sexuality’ contradicts his innovative tendencies. In the piece, Hwang is one of the most famous gisaeng of the Joseon Dynasty, and noted for her exceptional beauty and intellect. However, Zorn’s portrayal of her as immature and brutal, is a gross misrepresentation. I assert that his distortion combines cultural appropriation with orientalism, which depicts a sensual gaze toward an Asian female from the perspective of a white male. In the context of American postmodernism, this paper examines musical and lyrical appropriation in Zorn’s work although it uses an experimental setting; this illuminates the Western-centered view that still exists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집단 트라우마의 사회적 애도 치유를 위한 영화적 접근 : A cinematic approach to collective trauma and its social mourning cure : Jiseul and Jeju Prayer / <지슬>과 <비념>의 분석을 중심으로 김소연 p. 5-24

서사 해석 방법론 관점에서 프레드릭 제임슨의 『정치적 무의식』 다시 읽기 = A narrative interpretation methodology of Fredric Jameson’s The Political Unconscious 권호창 p. 25-44

프랭크 L. 라이트의 유기체주의적 건축과 철학적 영향 = Frank L. Wright's organicism and its philosophical background 김정혜 p. 45-68

안나 마리아 판 슈르만의 미술작품을 통해 살펴본 여성 지식인의 자의식 = Representation of self-consciousness as a female intellectual in Anna Maria van Schurman's work 김소희 p. 69-91

예술과 기술의 만남, 인공지능의 현대무용 적용 :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odern dance : the subject and intermediary of Beyond Black / <비욘드 블랙> 창작의 주체와 매개를 중심으로 백진주, 박주초 p. 93-114

무용심리 및 상담 교육 인식에 대한 사례연구 = A case study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dance psychology and psychology consulting education 오유진 p. 115-136

바르테니에프 펀더멘털에 기반한 태평무의 몸적 체험 및 움직임 원리 탐색 = The movement principles of Taepyeongmu in the perspective of Bartenieff fundamentals 이정민 p. 137-164

『장자』 관점에서 보는 한국춤의 생태심미와 마음과 몸 수련에 관한 연구 : Zhuang Zi, the ecological beautiful of Korean dance and training the mind and body : Yangsaengju Pojeong Haewoo / 「양생주」 포정해우를 중심으로 이화진 p. 165-182

1930년대 현악영산회상 <타령>의 가야금 선율 연구 = Gayageum melodies in the 1930s Hyeonag Yeongsanhoesang Taryeong 김진경 p. 183-202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아바타 활용 치료적 음악활동에 관한 예비연구 = A preliminary study on the use of metaversial avatars in therapeutic musical activities 김경록, 박혜영 p. 203-228

미국 포스트모더니즘 작곡가 존 존의 음악에서 문화 전유된 한국 여성 : The cultural appropriation of Korean woman in postmodern America : John Zorn’s Hwang Chin-Ee for Two Drummers and a Female Soprano (1997) / 두 명의 드러머와 여성 소프라노를 위한 <황진이>(1997)를 중심으로 손민경 p. 229-251

문화정책의 관점에서 본 동시대 음악도시 형성에 대한 고찰 = Cultural policy and the construction of a contemporary music city 유사원 p. 253-276

초등학교 학부모의 예술 사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arts private tutoring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이송하 p. 277-301

청소년의 무용활동 참여가 자아존중감, 주관적 행복,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youth participation in dance activities on self-esteem, subjective happiness, and community consciousness 박선우 p. 303-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