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詞’라는 장르는 중국에서 시작된 韻文으로, 宋으로부터 한반도에 유입되어 高麗와 朝鮮을 거쳐 近代에 이르기까지 꾸준하게 창작되었다.

詞가 中國에서 起源되었고 漢字를 이용하여 창작되었기에 일부 朝鮮詞는 中國詞를 次韻하거나 또는 詞句를 직간접적으로 인용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塡詞되었다. 이런 흔적들을 찾아 분석한다면 中國의 어떤 詞作들이 朝鮮 文人들에게 읽혔는지, 또 그들이 唐宋詞人 중 누구를 選好했는지를 알 수 있으며, 中國 詞籍의 輸入 내역도 밝혀낼 수 있을 것이다.

舞曲으로 시작되었던 「南鄕子」는 唐五代에서는 單調가 유행하였고, 兩宋의 「南鄕子」體는 雙調 56字로 이루어진 馮延巳의 「南鄕子(細雨濕流光)」體가 主流를 이루었다. 이 詞牌 역시 다른 詞牌들과 마찬가지로 朝鮮에 유입되었고, 朝鮮의 문인들은 주로 追和나 唱和의 방법으로 「南鄕子」를 수용하였다. 朝鮮의 첫 번째 「南鄕子」는 1503年 섣달 하순 安東 士民이 지은 작품으로, 이 작품은 後世에 지어진 어떤 追和作 「南鄕子」 보다도 정확한 詞律로 塡詞된 작품이었다.

본 연구는 唐宋詞가 高麗‧朝鮮詞에 끼친 영향을 알아보는 연속 연구 중의 하나로 朝鮮詞 「南鄕子」에 나타난 中國詞의 영향을 밝혀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南鄕子」를 연구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朝鮮詞에서 그 작품이 차지하는 총량은 크지 않지만, 수용되는 과정에서 詞牌의 誤認과 變體의 출현 등 다른 詞牌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현상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词形成于唐代而极盛于宋代, 在高丽时期流传到朝鲜半岛, 从11世纪到20世纪, 一直保存着文人填词的风气。

朝鲜的≪南乡子≫始于1503年, 朝鲜词人主要用双调56字的 冯延巳「南鄕子(细雨湿流光)」体填过此调, 喜欢用追和的方式来次宋词人或者明词人的词韵, 表达被追和对象仰慕之情, 与此同时要炫耀自己的文才。

词和诗最大的不同是有词牌。每个词牌有“调有定句, 句有定字, 字有定声”的规则, 则句子的长短, 平仄的安排, 韵位的设定, 都由词牌来决定。

可惜的是在朝鲜词坛里没有普及适当的词谱, 他们难以掌握词牌的一些规律, 以致没能在中国词谱上进行本地化改造, 而只能通过按 “依样画葫芦”的方式来填词。所以他们填的≪南乡子≫露出了不少格律上的漏洞, 这是大都朝鲜词无法避免的弱点。

本稿以文献实证主义的文学硏究爲硏究方法, 对唐宋词对朝鲜≪南乡子≫的影响进行探讨, 以助于寻找出朝鲜词受容模式的线索。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온라인 중국어문 교육 콘텐츠 제작과 협업 : Collaborate with the production of online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contents : focusing on the collaboration platform / 협업 플랫폼을 중심으로 박정원 p. 1-32

从西方修辞学看徐志摩的演讲 : Xu Zhimo’s speech viewed from Western rhetoric : centered on the speech at Beijing Zhenguangying theater on May 12, 1924 / 以1924年5月12日在北京真光影戏院的演讲为中心 黄坤阳, 罗敏球 p. 33-66

劉勰과 韓愈의 文學觀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Liu Xie and Han Yu’s literary point of view 김동진 p. 69-95

朝鮮의 「南鄕子」에 보이는 中國詞의 影響 = The influence of Chinese Ci on Chosun’s Nanxiangzi 류기수 p. 97-125

“由蘇入杜” : “You Su Ru Du”(由蘇入杜) : Shen Wei’s(申緯) approach to Du poems / 申緯的杜詩取法路徑 徐寶余 p. 127-157

章学诚的『文选』论研究 = A study on Zhang Xuecheng’s 『Selection of Literary Works』 李胜超, 崔秢僔 p. 159-188

한·중 실록에 기록된 소설의 개념 및 인식 = The study on concepts and perceptions of novels through the annals of Korea and China : 조선·명·청을 중심으로 이지한 p. 189-232

『中州集』 ‘小傳’에 담긴 元好問의 詩學적 見解 고찰 = The study on the poetic theory of “The Biographical Outline(小傳)” within Yuan-Haowen(元好問)’s “Zhong Zhou Ji(中州集)” 지세화 p. 233-274

중국의 외교정책과 식량안보 : China’s foreign policy and food security : focusing on role change of soybean as strategic resource / 전략자원으로서 대두의 역할 변화를 중심으로 김도훈 p. 277-306

중국의 녹색발전 정책 연구 : A study on China’s green development policy : focusing on the green manufacturing system construction project / 녹색제조시스템(绿色制造体系) 건설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김혜진 p. 307-336

中國數字金融監管的法治化展望 = Prospects for legalization of digital financial regulation in China 胡敬謙, 文哲珠 p. 337-365

조직 내 사회적 교환관계가 긍정심리자본, 직무열의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in organizations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ork engagement and innovative behavior : focused on local workers of Korean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in China / 재중 한국 중소기업 중국 현지 근로자를 대상으로 윤성환 p. 367-404

중국인의 대기오염에 대한 인식 : Chinese perception of air pollution : the case of Hebei Province / 하북성 사례 김상욱 p. 407-428

19세기 貴州 소수민족 사회 목재 교역 분규의 해결 과정 = The resolution of conflicts on timber trade in Guizhou in 19th century : 伸鳴과 伸帖을 중심으로 남민구 p. 429-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