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은 1926년 구활자본으로 나온 〈류황후〉의 보조인물인 비첩 유슈애에 대해 분석해 본 글이다. 〈류황후〉는 적강한 주인공 류태아가 고난을 딛고 황후 자리에 오르는 이야기를 주된 내용으로 삼고 있다. 조금 더 자세히 주요 내용을 살펴보자면 류태아는 어려서 어머니를 잃고 간신의 며느리가 되길 피하려 죽은 사람으로 위장해 살다가 우연한 기회에 태자를 알게 되어 그와 혼인한 뒤 갖은 고난을 겪은 후 황후 자리에 오른다는 이야기이다.

류태아가 황후 자리에 오르는데 혁혁한 공을 세운 인물이 이 글에서 다루어 볼 인물 유슈애인데 유슈애는 바로 류태아의 시비이다. 시비인 유슈애가 자진하여 자신의 주인인 류태아의 신원을 위해 궁으로 들어가 황제의 눈에 들게 되고 황제의 사랑을 바탕으로 삼아 유슈애는 류태아를 괴롭혔던 인물들을 처단, 자신의 주인인 류태아가 누명을 벗고 황후의 자리에 오를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한다.

이 글에서는 다양한 비첩형 인물의 개념 중 종에서 첩이 된 인물에 대해 다루고 있으며 특히 유슈애에 대해 자세하게 살피고 있다. 이러한 비첩형 인물 유슈애는 먼저 서사 내적 측면에서 보자면 사건의 변주적 기능을 이루는 인물이다. 유슈애의 등장이후로 완만했던 사건전개는 급물살을 타게 되고 종국에 류태아는 누명을 벗고 황후 자리에 오르게 된다. 그러한 역할을 주도적으로 수행한 인물이 바로 유슈애이다. 다음으로 서사 외적 측면에서 보자면 시대상을 반영, 사상의 중층적 구현을 이룬 인물이라는 것이다. 유슈애에게서는 중세적 신념을 수호하는 여성의 모습과 근대적 여성의 모습이 모두 보인다. 주인과 국가를 향한 충성심을 내 보이는 데서 중세적 여성의 모습이 보이며 자율적, 능동적, 적극적으로 자신의 일을 처리하는 것 나아가 국가의 개혁을 주장하는 데서 근대적 여성의 모습이 나타난다. 이 작품은 1926년 구활자본으로 나온 작품이고 이 시기는 중세적 가치관과 근대적 가치관이 혼재된 시기이다. 혼재된 가치관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는 인물이 바로 유슈애이다.

비첩형 인물 유슈애는 사건 진행과 전개 속도에 영향을 주는 인물로 자리매김하여 작품을 이끌어 갈 뿐 아니라 작품 내 영향력이 커진 보조인물의 전형을 보여준다. 보조인물이 더는 부수적 인물로서만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나름의 역할을 수행, 비첩형 인물이 작품 내 공고한 영향력을 다지고 있는 모습을 유슈애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유슈애를 통해 중세적 가치관과 근대적 가치관이 혼재된 1920년대라는 특수한 사회적 모습을 효과적으로 보여줬다고도 볼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사회적 맥락, 체면 위협 행위와 사과화행 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ntext, face threatening behavior and apologizing behavior 김귀화, 왕흔, 이찬규 p. 5-32

20세기 전후기 영동군(永同郡) 동리명(洞里名)의 변천 양상 고찰 = A study on aspects of change in village names in Yeongdong-gun(永同郡) between the early and late 20th century 성희제 p. 33-61

한국어 조건 관계 연결어미와 태국어 대응 표현 대조 연구 = A contrastive study on Korean conditional connective endings and Thai correspondence expressions 씨나롯 낫타완, 이금영 p. 63-88

이중주어문의 생략어 복원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solution of zero anaphora in double subject constructions 이정은 p. 89-121

국어 '이다'와 중국어 '시(是)'의 대조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이다' and Chinese '是' : a study on the correspondence pattern of '이-' and '是' of 'adverb+이다' and the theory of 'copula' / ‘부사+이다’의 ‘이-’와 ‘시(是)’의 대응 양상 및 계사설 고찰 중심으로 이지연 p. 123-153

일본어의 한글 표기 및 그 운율의 리듬분석을 통한 새 교육 방안 연구. New education method based on Hangul notation of the Japanese language and rhythmic analysis on the prosody thereof / 2 정원수 p. 155-194

<숙향전>의 근원설화 <숙향이굴> 전설 : Sukhyangyigul legend, original tales of Sukhyangjeon : focusing on the name of a place and content comparison in the two works / 두 작품에 나타난 지명과 내용 비교를 중심으로 김순재 p. 195-220

克齋 魚允績(1847~1933)家 한글편지에 나타난 서간도 망명가족의 삶 = The life of a family in exile in Seogando depicted in the Hangul letters of Geukjae Eo Yun-Jeok(1847~1933)'s family 문희순 p. 221-249

미디어 리터러시 확장을 위한 고전소설의 역할 = The role of classical novels in the expansion of media literacy 송주희 p. 251-272

<옹고집전>의 타자화 기법과 인물의 정체성 확립 = Onggojipjeon's otherization technique and establishment of character's identity 이윤희 p. 273-297

지방자치 시대 충청지역 한문학 연구 현황과 향후 과제 = Current state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research in Chungcheong province and future works 이향배 p. 299-329

<류황후>의 비첩형(婢妾型) 인물 연구 = A study on a slave concubine character of Empress Ryu 지민재 p. 331-358

재일조선인 시에 나타난 트랜스내셔널의 특징 및 의미 =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ransnationals in Korean-Japanese poetry 강회진 p. 359-377

소설 「큐티클」 속 청년 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 및 낙관주의 오류에 관한 연구 : A young consumer's decision-making process and optimism bias in the novel, Cuticle : from the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of humanities and consumer financial planning / 소비자재무설계와 인문학의 학제적 관점에서 박주영, 김정숙 p. 379-403

1970년대 소설의 여성을 바라보는 세 가지 시선 = Three perspectives on women in novels in the 1970s 백윤경 p. 405-430

오탁번의 「굴비」와 김동인의 「감자」에 나타난 주체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subject pattern of Otakburn's 「Gulbi」 and Kim Dong-in's 「Gamja」 : focusing on the subject of transaction corresponding to existence / 실존에 상응하는 거래의 주체를 중심으로 유현승 p. 431-467

메타에듀의 실천적 방법 연구 : A study on the practical method of MetaEdu : design of non-credit education based on game mechanics / 게임 메커닉스 기반 비교과 교육과정 설계 이용욱 p. 469-494

해외 대학 한국어 전공 과정 내 국내 교환학생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학습 동기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how Korean studies exchange student programs in overseas universities affect the learning motivation and attitude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 focusing on the case of the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curriculum at the University of Sheffield in the UK / 영국 셰필드대학교 한국학과의 교육과정 사례를 중심으로 김수은, 곽새롬 p. 495-529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문법 학습에 대한 인식 연구 : A study of advanced Korean learners' perception of grammar learning : focused on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in university / 대학 내 학문 목적 학습자를 중심으로 류선숙 p. 531-559

한국어 초급 교재에 나타난 중국어 대조 번역 오류 연구 : A study on Chinese contrast translation errors in Korean elementary textbooks : focusing on fidelity and readability / 충실성과 가독성을 중심으로 李璐 p. 561-582

비대면에서의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non-face-to-face self-reflective writing education 한주희 p. 583-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