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논문은 1926년 구활자본으로 나온 〈류황후〉의 보조인물인 비첩 유슈애에 대해 분석해 본 글이다. 〈류황후〉는 적강한 주인공 류태아가 고난을 딛고 황후 자리에 오르는 이야기를 주된 내용으로 삼고 있다. 조금 더 자세히 주요 내용을 살펴보자면 류태아는 어려서 어머니를 잃고 간신의 며느리가 되길 피하려 죽은 사람으로 위장해 살다가 우연한 기회에 태자를 알게 되어 그와 혼인한 뒤 갖은 고난을 겪은 후 황후 자리에 오른다는 이야기이다.
류태아가 황후 자리에 오르는데 혁혁한 공을 세운 인물이 이 글에서 다루어 볼 인물 유슈애인데 유슈애는 바로 류태아의 시비이다. 시비인 유슈애가 자진하여 자신의 주인인 류태아의 신원을 위해 궁으로 들어가 황제의 눈에 들게 되고 황제의 사랑을 바탕으로 삼아 유슈애는 류태아를 괴롭혔던 인물들을 처단, 자신의 주인인 류태아가 누명을 벗고 황후의 자리에 오를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한다.
이 글에서는 다양한 비첩형 인물의 개념 중 종에서 첩이 된 인물에 대해 다루고 있으며 특히 유슈애에 대해 자세하게 살피고 있다. 이러한 비첩형 인물 유슈애는 먼저 서사 내적 측면에서 보자면 사건의 변주적 기능을 이루는 인물이다. 유슈애의 등장이후로 완만했던 사건전개는 급물살을 타게 되고 종국에 류태아는 누명을 벗고 황후 자리에 오르게 된다. 그러한 역할을 주도적으로 수행한 인물이 바로 유슈애이다. 다음으로 서사 외적 측면에서 보자면 시대상을 반영, 사상의 중층적 구현을 이룬 인물이라는 것이다. 유슈애에게서는 중세적 신념을 수호하는 여성의 모습과 근대적 여성의 모습이 모두 보인다. 주인과 국가를 향한 충성심을 내 보이는 데서 중세적 여성의 모습이 보이며 자율적, 능동적, 적극적으로 자신의 일을 처리하는 것 나아가 국가의 개혁을 주장하는 데서 근대적 여성의 모습이 나타난다. 이 작품은 1926년 구활자본으로 나온 작품이고 이 시기는 중세적 가치관과 근대적 가치관이 혼재된 시기이다. 혼재된 가치관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는 인물이 바로 유슈애이다.
비첩형 인물 유슈애는 사건 진행과 전개 속도에 영향을 주는 인물로 자리매김하여 작품을 이끌어 갈 뿐 아니라 작품 내 영향력이 커진 보조인물의 전형을 보여준다. 보조인물이 더는 부수적 인물로서만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나름의 역할을 수행, 비첩형 인물이 작품 내 공고한 영향력을 다지고 있는 모습을 유슈애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유슈애를 통해 중세적 가치관과 근대적 가치관이 혼재된 1920년대라는 특수한 사회적 모습을 효과적으로 보여줬다고도 볼 수 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