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사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문법 학습에 대한 인식 연구 : 대학 내 학문 목적 학습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f advanced Korean learners' perception of grammar learning : focused on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in university
본 연구의 목적은 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문법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데에 있다. 특히 본고에서 주목한 학습자들은 국내 대학에 입학하여 본격적으로 전공 및 교양 영역에서 학문을 수행하고 있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다. 정부 및 각 대학 기관의 유학생 확대 정책에 따라, 국내 대학에서 수학하고 있는 학문 목적 학습자들의 증가 추세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대학의 주요 구성원으로서 자리잡은 이들이 학문을 원활하게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 중 하나는 한국어라는 언어적 요인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들이 대학에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고, 학문적 맥락에서의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글쓰기나 발표 등 특정 학문적 기능에 집중한 교육 뿐만 아니라 그러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재료인 언어 지식을 충분히 습득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고급 수준에 이른 학습자들은 문법을 형식적 지식 학습으로 인식하거나, 이미 문법 능력은 어느 정도 보유했다고 간주되기 때문에 문법 학습에 대한 비중이 점차 경감되는 양상을 보인다. 그런데 이렇게 문법 학습을 정체할 경우, 문법 능력의 정체로 이어질 수 있고 이는 학습자들이 부정확한 한국어를 양산하거나 학문적 과제를 원만하게 수행하는 데 장애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고급 숙달도의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라도 대학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학문적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언어의 유창성과 정확성에 기여하는 문법에 대한 지속적이고 연속적인 학습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실제 외국인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고급 이상의 숙달도를 획득한 후에도 문법 학습을 지속하고 있는지, 문법 학습의 필요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대학의 학문 수행 과정에서 문법 능력이 얼마나 요구된다고 생각하는지 등을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하였다. 인식 조사는 국내 대학 중 외국인 유학생 규모가 상위 10위 안에 드는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다양한 국적과 전공의 학습자들이 인식 조사에 참여하게 되었다. 인식 조사 결과, 외국인 학부생들은 자신의 문법 능력이 낮다고 인식하였으며, 대학에 입학한 이후에도 여전히 한국어 문법 학습이 필요함을 절감하고 있었다. 또한 일반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에서 익히는 고급 수준의 문법과는 차별화되는, 즉 학문적 맥락에서 필요한 문법 항목들에 대한 요구를 보였다. 따라서 향후 이와 같은 인식과 요구를 반영하여 학습자들의 학문적 한국어 능력을 뒷받침하는 문법 교수가 반드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대학 입학 전에 배웠던 일반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의 난이도 배열 순서에 따른 문법 항목 추출이 아니라, 대학에서 필요한 문법 항목을 기준으로 하여 별도의 문법 학습 시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학문적 과제를 수행할 때 문법에 지속적으로 주목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하고 유창한 한국어를 토대로 성공적인 학업 수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견인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