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연암 박지원의 교육관과 공부론 = The educational view and the theory of study of YeonAm, Park Jiwon 박수밀 p. 9-40
한국 실학과 미래 세대 교육 = Silhak education for future generations 신항수 p. 41-63
교수요목기~제2차 교육과정기 한국사 교과서 실학 서술 = A description of 'Silhak' in Korean history textbooks during the second curriculum 송치중 p. 65-100
제3~6차 교육과정기 『국사』 교과서의 실학 서술과 특징 = Practical description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history textbooks in the 3rd to 6th curriculum in Korea 조건 p. 101-127
제7차 교육과정기~2018 개정 교육과정기 한국사 교과서의 실학 서술 : A description of Silhak in Korean history textbooks during the 7th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focusing on Korean history in high school / 고등학교 한국사를 중심으로 서인원 p. 129-172
교육과정 개정을 앞두고 살펴보는 실학 교육의 현황과 전망 = The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Silhak(實學) education ahead of curriculum revision 박진동 p. 173-207
조선후기 求貿를 통한 동물류 교역의 실태와 의미 = The actual condition and meaning of species of animals through Gumu trade in the late Joseon Period 이승민 p. 209-239

月坡居士 趙鼎九의 生涯와 活動 = The life and activities of Jo Jung-gu, the Wolpa Geosa (月坡居士) 오경후 p. 241-268
텍사스 혁신주의와 미국 보수주의의 등장 = Texas progressivism and the rise of conservatism in America 유회명 p. 269-298

역사과 교육과정 거버넌스 사례로 보는 교과서 발행제 = The textbook publishing system as an example of history and curriculum governance 황현정 p. 325-354
여성청소년 직업교육과 독일사회의 모성담론 : Vocational education for women and youth and motherhood discourse in German society : centering on German society at the turn of the century / 세기 전환기 독일사회를 중심으로 최선아 p. 299-324

Discussion and improvement plan for the integration of social studies in Korean secondary schools : 대한민국 중등학교 사회과 통합 담론과 개선방안 : 고등학교 <통합사회>를 중심으로 / focusing on the textbook of high school <integrated social studies> Park, Jae Young p. 393-427
창의융합 발표토론 프로그램(CCEP)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esentation and Discussion(CCEP) 김춘식, 윤경순 p. 429-454
교사의 평화통일 연계 역사수업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history class experience of teachers' peaceful reunification 최예솔 p. 355-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