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대선 토론 담화에서 나타나는 말차례 끼어들기와 반응하기 현상 연구 = A study on the turn–taking interrupting and response phenomenon appearing in the presidential debate discourse 박순형, 최지현 p. 1-37
트위터 담화의 의사소통 요소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elements of communication in Twitter discourse 최화니 p. 39-79
문화 핵심어 '팔자'와 운명관에 대한 민속 화용론적 연구 : The ethnopragmatic study on cultural key word ‘Palja’ and the view of destiny in Korean : related to personal disasters / 개인적 재난과 관련하여 이정애 p. 81-112
'감'과 '해장'의 사전 뜻풀이와 방언형 고찰 = A study of the explanation of ‘Gam’ and ‘Haejang’ in Korean dictionary and dialect 서정섭 p. 113-141
한·중 이동동사 '들다' 및 '入(rù)/進(jìn)'의 다의관계 대조 연구 =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polysemy of Korean and Chinese movement verb ‘deulda’ and ‘rù/jìn’ 文亚东 p. 143-173
프랑스국립도서관(BnF) 소장 능엄경(楞嚴經) 권9, 10 기입 묵서 연구 = A study on written characters of the materials of Neungeomgyeong(楞嚴經) volume 9, 10 kept in Bibliotheque Nationale de France(BnF) 하정수 p. 175-216

명말청초 중국 소설에 드러난 경계적 공간으로서 조선의 형상화 = Description of Joseon as a border space in the late Ming Dynasty and early Qing Dynasty period Chinese novels 권대광, 오자봉 p. 217-251
『옥류동일기(玉流洞日記)』를 통해 본 근대전환기 젊은 유학자의 일상 경험과 세계 인식 = Daily experience and worldview of a young Confucian scholar i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백진우 p. 253-292

牧隱 自詠詩에 투사된 自我 글쓰기 = Self-writing projected on Mok Ŭn’s Jayoung poetry 강동석 p. 293-316
『규합총서(閨閤叢書)』 내용 구성의 특징과 문화(文化) 교육 자료로의 의미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composition of the Gyuhapchongseo(閨閤叢書) and its cultural(文化) education materials 조성윤 p. 317-340
기형도 시에 나타난 도시인의 방어기제 연구 = A study on the defense mechanism of urban people found in GI Hyeong-do’s poetry 송지선 p. 341-369
채만식 초기소설에 나타난 가족주의 부정에 따른 자아 표상 연구 = A study on self-representation according to denial of familism in Chae Man-sik's early novels 윤수미 p. 371-399

『휘청거리는 오후』에 나타난 행복의 억압 양상과 정동 정치 = The suppression of happiness and the politics of affect in The Staggering Afternoon 김미영 p. 401-434
디아스포라 서사의 '바리' 변주 : Variation of <Bari story> in diaspora narrative : a comparative study of 『Comfort women』 and 『Baridegi』 / 『바리데기』와 『종군위안부』를 중심으로 박선양 p. 435-459

김기진의 예술대중화론 제기 목적 : The purposes of Kim Ki-jin's art-popularization theory : rethinking of Kim Gi‐jin's art‐popularization theory. 1 / 김기진의 예술대중화론 재고. 1 현순영 p. 461-500
심연수 저작물 논란의 쟁점과 맹점 = Issues and blind spots in the controversy over Yeon-soo Shim's works 권선영 p. 501-527
이미륵 독일 한국학의 보편적 이상향 : Mirok Li's universal utopia in German Korean studies : the great fugue begins only in Nirvana / 거대한 푸가는 니르바나에서 시작한다 이태숙 p. 529-556
이중모음 /ㅢ/의 발음 오류 양상과 특성 : Pronunciation error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iphthong /ㅢ/ : focusing on Vietnamese Korean learners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안성민 p. 557-578
중국 문화소의 한국어 번역 사례 연구 : A study on the Korean translation method of the Chinese cultureme : focusing on the text of the Chinese and Korean speeches / 중·한 연설문 텍스트를 중심으로 李璐 p. 579-602
<봉산탈춤>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연구 = A study for educational meaning in <Bongsantalchum> 정한기, 김미라 p. 603-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