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메타버스 기반 교양한국어 교과목 개설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메타버스를 활용한 한국어 교수·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조사하고 실제 수업에 시범 적용함으로써 교육과정 개발의 구체적인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메타버스는 가상세계에서의 실재감 높은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의 몰입도와 이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교육 매체로서 최근 언어 교육에서도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메타버스에 대한 한국어 학습자들의 친숙도와 선호도, 기대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소재 A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534명을 대상으로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메타버스를 활용한 경험과 이해도는 낮은 반면, 메타버스라는 새로운 교육 매체를 활용한 한국어 교과목 개설에는 높은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의사소통 기능 중 말하기와 연계한 교과목 개설에 가장 큰 기대를 보이고 있었다. 이에 A대학의 말하기 분반을 대상으로 메타버스를 활용한 시범 수업을 실시하고 학습자 반응 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자들은 수업 운영 면에서 메타버스를 전면 온라인으로 활용하기보다는 오프라인 또는 온·오프를 병행한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을 선호하였으며, 친숙한 학교 공간이나 한국의 상징적인 공간을 실제적으로 구현한 메타버스에서 학습하기를 원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의 교양교육 평가지표에 대한 문제 진단 및 제언 = Diagnosis and suggestion for general education evaluation indicators of basic competency assessment for universities 김혜영, 김인영, 지현배, 전경애 p. 11-25

학생 관점의 교양교육 인식, 요구와 만족, 그리고 선택요인 분석 = The perception, needs, satisfaction, and subject selection factor of general education from the s[t]udents' perspective 곽은주, 정지언 p. 27-45

교양교육 발전방향에 관한 교원의 인식 탐색 = A study on professors' perception on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general education 한송이, 박상훈, 이재창 p. 47-66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고등학교 교양교육 강화 방안 = The strengthening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high schools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손승남 p. 69-81

고등교육 환경변화에 따른 대학 가치 재탐색을 위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rethinking the values of university with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higher education 서재영, 이상은 p. 83-101

‘방법적 지식’으로서의 역량과 OECD 역량기반 교육론의 자기모순 : Competencies as ‘know-how’ and self-contradict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theory : based on the discussions of Ryle, Oakeshott, and Polyani / 라일, 오크쇼트, 폴라니의 논의에 기반하여 장제형 p. 103-118

효과적 이타주의 실천을 위한 역량 교육 = Competency education for effective altruism practice 최용호 p. 119-129

<고전 읽기와 토론> 강좌에서 논증적 질문 역량 개발을 위한 QBL-수업모델 사례연구 = A study on developing QBL-MODEL in the debate classroom for liberal education at university 오진영 p. 131-147

‘정보활용역량’ 강화를 위한 글쓰기 수업 : Writing lessons to strengthen ‘information utilization competency’ : focused on a team project using the Allo app / Allo 앱을 활용한 팀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이수경 p. 149-164

매체와 청중 전환에 따른 논지 진술 전략의 변화 양상 고찰 :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argument statement strategy according to the media and audience transition : focusing on the ‘rebuttal’ in both the discussion scripts and the essay after a debating among college students / 대학생들의 발표 토론과 최종 입장문에 나타난 ‘반박하기’를 중심으로 박경우 p. 165-182

메타버스 기반의 교양한국어 교과목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인식 연구 = A study on foreign students’ perception of metaverse-based Korean language course as general education 김민경, 심지연, 류선숙 p. 183-195

대학 영어 회화 수업 학습자들의 번역기 사용에 대한 인식 관련 연구 = The perception of the use of the English automatic transl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English conversation classes 메디슨 리 p. 197-206

대학 비대면 기초과학 수업에서의 고강도 상호작용 중심 수업 사례 = Case study on class to strengthen interaction in a non-face-to-face basic science course in university : 일반화학 수업 중심으로 황은경, 신종호 p. 207-225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 증진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ways to promot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in content utilization-centered classes : focusing on the remote model of J university’s xClass / J 대학 xClass 원격수업모형 중심으로 이난 p. 227-243

플립러닝 기반 전공기초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의 학습자 행위주체성에 관한 혼합연구 = A mixed study on the student agency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basic subject class of major based on flip learning 문희진, 김영순 p. 245-259

대학생의 음악교양교육을 통한 생활적응 영향 요인 연구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university students' life adaptation through music liberal arts education : focused on music interest, education satisfaction, and stress coping strategy / 음악흥미도, 교육만족도, 스트레스 대처 전략을 중심으로 한수정, 한경훈 p. 261-275

역량기반교육을 위한 인성 교과목의 평가과제 및 평가도구 개발 : Development of performance tasks and evaluation tools for personality subject in competency-based education : <Personality and Communication> course in J university / J대학 <인성과 소통> 교과목을 중심으로 최경애, 이영선 p. 277-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