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조선 전기는 억불 정책이 관주도로 적극 추진되었다. 역사의 시간적 연속성을 고려할 때 정책적으로 추진되었다 하여도 불교의 사회적 역할이 갑자기 사라지거나 체제가 유교사회로 전환되는 현상은 즉각적으로 나타나지는 않는다. 본 연구는 이 양상을 실증적 사료를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나아가 조선 전기 불사의 후원자 특징을 추출해 보고자 하였다. 불교와 유교의 교체를 위한 이행기에 어떠한 역사적 현상들이 나타났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선 전기 불사 후원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 전기 불사는 도성 및 경기지역에 가장 많이 집중되었다. 유교 국가로의 표방에도 불구하고 사찰을 총괄하는 부서가 필요하였으며, 이 지역 사찰에의 재정적 후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각 불사는 왕실 친인척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왕실은 최상위 재정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 왕실 주도임에 따라 경제적 후원 규모가 크다. 특히, 범종은 대체로 동종으로, 불화는 고급 화풍으로 제작되거나 조영되었다. 넷째, 발원문의 기원 내용은 국왕의 장수, 왕자의 탄생, 무병장수, 망자의 위무 등이었다. 다섯째, 전국적 분포를 일별해 보면 외방에 대한 지원은 상대적으로 빈약하였다. 이상과 같은 조선 전기 불사 후원 양상을 통해 불교가 여전히 사회적 관계망이 유지되었음이 추론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16세기 전반기의 士習과 어촌 심언광의 士習論 = Literati's mores in the early 16th century and Eochon Sim Eon-gwang's theory of literati's mores 朴道植 p. 7-48

고려시대 문인들의 추석 = Chuseok[秋夕] expressed by the writers of the Goryeo Dynasty 나희라 p. 49-77

조선 전기 불사 후원과 후원자 양상 : The sponsorship of Buddhist temple in the early Joseon period : focusing on Gyeonggi-do Province /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황현정 p. 79-116

조선 중기 선물 관행에 관한 경제인류학적 시론 : An economic anthropological approach on gifts during Joseon Dynasty : ritualistic gifts and social reproduction / 의례적 선물과 사회의 재생산 오창현 p. 117-146

을묘왜변의 제주성전투 연구 = A study on the Battle of Jeju Castle in the Eulmyo Japanese Invasion : 사찬자료를 중심으로 정현창, 김병인 p. 147-184

강원도 농촌 공동노동조직의 특성 : Characteristics of Gangwon-do rural joint labor organization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ure' and 'Sogyuri' / 두레와 소겨리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세건 p. 185-228

臨津江·漢灘江流域 古代 關防體系와 河川路 = The ancient national defense system of the Imjingang River & Hantangang River basins and its river routes 백종오 p. 229-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