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루만의 예술체계이론에 나타난 예술 코드로서의 미와 추 = Beauty and ugliness as the codes of Art in Luhmann's theory of art system / 박영욱 1

[Title] 1

[목차] 2

I. 서론 3

II. 체계로서의 예술 그리고 코드와 프로그램 4

III. 예술의 프로그램과 코드로서 미/추 8

IV. 자기프로그래밍으로서의 예술과 미/추 13

V. 결론 18

참고문헌 20

국문초록 21

Abstract 21

초록보기

본 논문은 루만이 제시한 예술의 고유한 기능과 특성을 미/추라는 예술 코드의 의미를 통해서 밝히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루만의 이론을 집약하는 개념은 ‘체계’이며, 예술 또한 하나의 체계이다. 루만에 따르면 모든 체계는 작동을 위하여 고유한 코드가 필요한데, 예술의 코드는 다름 아닌 미/추다. 루만의 이러한 주장은 미를 더 이상 예술의 기준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현대예술의 관점으로 볼 때 시대착오적인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루만이 제기하는 미/추 코드는 이러한 현대예술의 상황을 전제하고 있을뿐더러, 루만은 예술과 비예술을 구별하고자 하는 임무를 지닌 현대예술의 상황에서는 예술의 독자적인 코드가 더욱 더 요구되는 것으로 전제한다. 본 논문은 루만이 제기한 미/추 코드의 특성을 그가 강조하는 예술만의 독자적인 프로그램과의 관련성을 통해서 살핌으로써 그의 예술론이 지닌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레비 브라이언트의 포스트휴먼 매체생태론과 동시대 예술의 생태적 실천 연구 = Study on Levi Bryant’s post-human media ecology and ecological practices of contemporary art 배혜정 p. 5-23

보기
루만의 예술체계이론에 나타난 예술 코드로서의 미와 추 = Beauty and ugliness as the codes ofArt in Luhmann’s theory of art system 박영욱 p. 25-44

보기
사진과 반-역사 : Photography and contre-history : from photo-drawing of Duck Hyun Cho / 조덕현의 사진-드로잉으로부터 정재준 p. 45-65

보기
미술관 소장품 전시와 '큐레이터로서의 작가 : Exhibitions of museum collections and 'The Artist as Curator' : focusing on 'Artist’s Choice' at the museum of modern art / 뉴욕 현대미술관의 '아티스트 초이스'를 중심으로 현시원 p. 67-90

보기
세 가지 변증법-한국 추상미술의 역사와 역사주의 : Three dialectics-history of Korean abstract art and historicism : focusing on the abstract art discourse from 1960’s to 1980’s / 1960년대-1980년대의 추상미술 담론을 중심으로 홍지석 p. 91-107

보기
천칠봉 풍경화의 양식적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stylistic properties in the landscape paintings of Chun Chil Bong : 비원파 활동을 중심으로 장원 p. 109-126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