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한국의 최대 교역국인 중국은 최근 몇 년간 사치품 구매 빈도와 액수가 급증하여 세계 사치품 시장의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에 사치품을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중국 성인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여 사치품 구매의도에 초점을 두어 그들의 사치소비 의도를 진단하고, 사치품 구매의도를 결정하는 영향요인으로 소비성향과 제품가치평가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선행연구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405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를 사용하여 Cronbach’ α계수, t검증, 일원분산분석과 던컨사후검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치품 구매 경험이 있는 중국 성인소비자는 사치품 구매에서 ‘자기만족’을 기준으로 삼는 소비성향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사치품의 가치평가에서 ‘심미성’을 가장 높게 평가하였다. 이들 변인은 다른 변인들을 통제했을 때 사치품의 구매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밝혀졌다. 즉 최종적인 분석에서 사치품 구매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자기만족 소비성향이었으며, 그 다음은 심미성과 고가성의 제품가치평가 변인이었다.

사치품 구매에서 자기만족을 기준으로 삼으며 사치품이 지니는 심미성과 고가성을 높이 평가하는 소비자일수록 추후 사치품 구매의사가 높기 때문에 이를 반영한 사치품 마케팅전략 수립이 요구된다. 또한 사치품 구매의도에서 소비성향과 제품가치평가의 역할과 기능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 소비자의 만족을 극대화하는 사치품 소비생활 지침에 대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중국과 한국 사치품 소비시장의 경제적 성장 및 확대를 가져오는 사치품 수요 증가 방안 모색에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C2C 거래의 소비자 문제 유형 연구 : A study on the types of consumer issues in C2C transactions : using a text mining approach /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중심으로 최소영, 이욱, 황혜선 p. 1-26

소비자의 주관적 경험이 의료서비스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subjective experiences of medical service on purchase intent 조인숙, 오상도 p. 27-48

정량적 지표가 쾌락적 소비를 정당화할 수 있는가? : Do specifications justify hedonic consumption? : the specification effect of an environmental value-related attribute / 환경 가치를 나타내는 속성의 지표화 효과 장서윤, 안희경, 신현상 p. 49-65

COVID-19 전후 소비지출패턴의 변화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changes in consumption patterns before and after COVID-19 : 소비지출증감에 따른 가계유형화를 중심으로 이수진, 한다혜 p. 67-91

로봇 vs 사람, 누구의 실패가 더 부정적일까? : Robots vs. human, whose failures are more negative? : the effects of service employees and failure types on customer behavioral intention / 서비스 종업원의 실패유형이 고객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청림 p. 93-112

온라인 소비자의 소비 성향이 제품 선택 속성에 대한 고려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online consumers' consumption orientation on product attribute considera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 중저가 기능성 화장품 시장을 중심으로 유문조, 김준환 p. 113-127

중국 성인소비자의 소비성향과 제품가치평가가 패션 사치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nsumption propensity and product valuation on the intention to purchase luxury goods in China Zhou Han, 홍은실 p. 129-156

중고거래 플랫폼 이용동기에 따른 만족도와 재이용의도 : The effects of factors of use motives for second-hand transaction platform on use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s : focused on the Danggn Market / 당근마켓을 중심으로 유현정, 심영, 신재호 p. 157-176

소비자 참여형 CSR에서 조절적합성이 고객의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Effect of regulatory fit on participation intention to consumer participatory CSR : focusing on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pro-social motivation / 친사회적 동기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라서, 오상도, 정선호 p. 177-189

당혹성 제품의 구매지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The factors that affect purchase deferral in context of purchasing embarrassing product : focusing of effect of consumer's self-control and moderating role of product usage subject and message framing / 소비자의 자기통제와 사용 주체 및 메시지 프레이밍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지현, 김한구 p. 191-210

아바타 동일시가 메타버스 게임평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vatar identification on metaverse game evaluation :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risk / 지각된 위험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상철, 김상훈, 안성숙 p. 211-232

암묵적 자기 이론이 자기결함을 경험한 소비자의 제품유형 평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implicit self theory and self-deficits on evaluation on compensatory product(vs. adaptive product) 전은미, 엄금철 p. 233-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