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This article studies on the context of the intertextuality of the image of Lady Macbeth around Leskov’s novel Lady Macbeth of Mtsensk District. The intertexual interpretation of Lady Macbeth produces the portrait of the era concerning the woman problem which has been raised as one of the most critical issues of the society in the periods of new changes.

The image of Lady Macbeth who has burned up as the incarnation of human desire and has fallen from the pang of conscience, from the novel Lady Macbeth of Mtsensk District (1864) of Nikolai Leskov, through the opera Lady Macbeth of Mtsensk District (1930) of Dmitri Shostakovich to the film Lady Macbeth (2017) of William Oldroyd, has been transformed in the new images of the women which were deeply saturated by the Weltanschauung of their eras.

In the Leskov’s novel Lady Macbeth of Mtsensk District the emancipated sexuality and the free desire of Katerina Izmailova who represented the most oppressed social class, women in Russia of the 1860s, imply the awakening of the consciousness of the liberated people breaking the social oppression and moving forward to the liberation and the freedom. The opera Lady Macbeth of Mtsensk District of Shostakovich has changed Katerina from the portrait of the people who were destructively powerful but benighted into the portrait of the awakened modern woman of the 20th century. In the film Lady Macbeth (2017) the portrait of Lady Macbeth painted from the heroine Catherine projects the frustrating reality of the women suffering from the threat of the lie about the end of feminism in the era of the post-feminism.

The portrait of each Lady Macbeth who has struggled for her own identity under the violence and oppression of her society shows the shape of the conflict between the social absurdities and the individual desire for the freedom in her era. In this respect interesting is the genealogy of all these Lady Macbeths who have been described by Leskov, Shostakovich and Oldroy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고골의 물질세계와 「마차」 박미정 p. 7-30

『죽음의 집의 기록』에 나타난 옷의 상징성 손재은 p. 31-53

현대 러시아 문학에 나타난 '부재의 형이상학' : 티무르 키비로프(Т. Кибиров)와 드미트리 프리고프(Д. Пригов)의 창작을 중심으로 송정수 p. 55-90

도스토옙스키와 T. S. 엘리엇의 기독교 시평(時評) 비교 : 교회-국가 관계를 중심으로 이경완 p. 91-122

시대의 '불편한' 초상, 므첸스크군의 맥베스 부인 : 레스코프의 소설 『므첸스크군(郡)의 맥베스 부인』, 쇼스타코비치의 오페라 『므첸스크군(郡)의 맥베스 부인』, 올드로이드의 영화 『레이디 맥베스』를 중심으로 차지원 p. 123-161

트레디아콥스키의 언어 이론의 변화 양상 연구 길윤미 p. 163-188

러시아어 РАЗ구문의 의미구조 연구 백경희 p. 189-214

러시아어에서 공간 지향 개념 <위>의 은유적 확장 : 전치사 НАД를 중심으로 임수영 p. 215-241

안드레이 모구치와 충돌의 미학 : 볼쇼이 드라마 극장(БДТ) 작품을 중심으로 김주연 p. 243-264

러시아 현대미술의 의미와 방향 : 모스크바 행동주의와 논스펙타큘러 아트 조규연 p. 265-295

니체와 러시아 종교철학 운동 : 구신주의와 건신주의 천호강 p. 297-326

남·북캅카스의 언어상황 비교 정경택 p. 327-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