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산업 현장에서 축적된 기술과 전문성을 갖고 있는 시니어의 창업은 사회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시니어를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기에 코로나19로 인해 변화된 일자리 사회구조와 최근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고금리 및 글로벌 공급망 문제 등으로 불안 요인과 불확실성이 증폭된 경제 상황 속에서 시니어의 주요한 창업역량 변수들이 창업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예비창업자 개인 심리적 특성인 마인드셋의 관점에서 성장 마인드셋과 고정 마인드셋이 시니어 창업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창업자의 심리적 특성을 마인드셋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창업분야에 적용하려고 시도하고 실무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마인드셋의 구성 요인인 성장 마인드셋, 고정 마인드셋과 창업역량의 기술적 역량, 네트워크 역량, 자금조달 역량이 시니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창업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성장 마인드셋과 기술적 역량은 창업의도에 정(+)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성장 마인드셋과 기술적 역량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창업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고 시니어 창업에 있어 성장 마인드셋과 기술적 역량이 중요한 변수임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의 정책적 시사점을 준다. 시니어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첫째, 창업자 교육 시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창업자의 심리적 특성인 성장 마인드셋 특성에 부합한 맞춤형 창업교육 등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기술 역량과 전문성을 갖춘 시니어 창업에 대해서는 저금리의 정책금융 확대 등 정부지원 확대로 기술창업의 저변확대가 요구된다. 셋째 시니어에게 축적되어있는 전문성과 기술력을 퇴직 후에도 창업에 연계될 수 있도록 퇴직 전부터 창업 프로그램의 제공 등 창업을 준비할 수 있는 제도적 시스템의 지원이 필요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창업초기투자 촉진을 위한 한국형 SAFE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 Policy of surging investment to early startups via boosting up SAFE in Korea 박진, 양영석 p. 1-12

관계인사 영입이 코스닥 기술특례기업 IPO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presence of related personnel effects on the IPO of special listed firms on KOSDAQ market : based on the signal effect of third-party social recognition / 제3자 사회적 인정의 신호 효과를 바탕으로 김기용, 고영희 p. 13-24

스타트업의 스케일업 창업생태계 구성요소의 IPA 분석 = IPA analysis of the components of the scale-up entrepreneurial ecosystem of startups 윤혜미, 남정민 p. 25-37

스타트업 대상 정부 R&D 지원금의 벤처 투자 유도 효과 = The signaling effect of government R&D subsidies on inducing venture capital funding 홍슬기, 배성주 p. 39-50

맞춤형 창업교육을 중심으로 한 대학창업지원의 발전방향 제언 : Proposals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universities’ start-up support centering on customized start-up education : focusing on in-depth interviews of D university students who received on-campus business consulting / 교내 비즈니스 컨설팅을 받은 D대학교 대학생들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안혜진, 이승하 p. 51-70

재도전 소상공인의 역량모델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ompetency modeling of micro entrepreneurs recovering from failure 임진혁, 박성희, 김재형, 채연희 p. 71-88

시니어의 성장·고정 마인드셋과 창업역량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seniors’ growth·fixed mindset and entrepreneurial ability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ntrepreneurship efficasy[실은 efficacy] / 창업효능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이재열, 하태관 p. 89-104

제도적 환경이 종업원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institutional environment on the employees' start-up intention : the mediating role of risk taking / 위험감수성의 매개 역할 고영우, 이종건 p. 105-114

디지털 플랫폼 참여 소상공인의 흡수역량이 시장 반응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Impact of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absorptive capacity of participating in digital platform on market response : the moderating effect of vicarious learning and experiential learning / 대리 학습과 경험적 학습의 조절 효과 분석 김주희, 김영신 p. 115-125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직무열의가 주도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engagement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job engagement on proactive behavior 박은혜, 김미희 p. 127-140

전통시장 상인의 심리적 특성과 역량요인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The effect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mpetency factors of traditional market merchants on business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government support policies 김다희, 하규수 p. 141-158

학습지향성 및 혁신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ing orientation, innovative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ntrepreneur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innovative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relevance / 혁신성의 매개효과와 경력연관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주헌 p. 159-174

온라인 예술 플랫폼 기업 사례 : Analysis of online art platform cases : analysis of business model / 비즈니스 모델 분석 조종혁, 배태준 p. 175-193

프로스포츠 산업 조직 구성원의 역량에 따른 관리자의 역할 : The effects of manager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NBA and KBL teams : the moderating role of player capabilities / 미국프로농구(NBA)와 한국프로농구(KBL)의 감독과 선수단 전력 수준에 관한 실증연구 분석 정태성, 김필수, 이상현, 이상범 p. 195-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