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此山 裵전은 조선 후기 김해출신 문인이자 서화가로 젊은 시절 서울에서 오랫동안 활동하였다. 그가 집필한 『此山筆談』에는 소설로서의 면모뿐만 아니라, 報恩·忠孝·開化사상이 농축되어 문인사상가로서 그의 면모가 더욱 두드러진다. 이런 점이 그가 서화가뿐만 아니라 문인으로 조명받는 이유이기도 하다.

한 인물을 이해하고 알기 위해서는 다각도의 고찰이 필요한 것처럼 차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차산의 삶과 交遊를 시작으로 그가 남긴 한문 소설인 『차산필담』의 구성과 내용을 소개하고, 그 속에 함의된 그의 사상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차산필담』에는 報恩·忠孝·開化 思想이 주류를 이룬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퇴계 活人修養과 도다 廣宣流布의 相關連動 = A correlative linkage between human cultural activation of Toegyee and Dharma wide spread of Doda 김용환 p. 7-37

21세기 생태환경 문제에서 인간에 대한 해석과 그 역할 : A study on interpretation of humans and the roles in the ecological environment problem of the 21st century : with Toegye Lee Hwang and Murray Bookchin at the center / 퇴계 이황과 머레이 북친을 중심으로 안유경 p. 39-70

퇴계 학문의 성격과 학술사적 의의 = The nature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oegye learning 김영우 p. 71-91

李退渓における病との共生 = Coexistence with disease in Yi Toegye 片岡龍 p. 93-107

蘇軾對李滉詩歌的影響研究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u Shi on Yi Hwang's poetry 李燕 p. 109-138

주희와 왕수인의 미발과 靜의 관계 및 그 공부설 비교 = Zhu Xi and Wang Suiren’s views on the relationship the not-yet aroused state of mind & heart and the quiet, and self-cultivation at the state and the quiet 이종우 p. 139-162

천인심성합일지도로 본 태극도설의 의미와 교육적 함의 = The meaning of TàiJíTúShuì vieweb by TiānRénHéYīZhīTú and educational implication 서명석 p. 163-186

儒의 의미 재고를 통한 부정적·긍정적 고찰 = Negative and positive consideration through reconsideration of meaning of Confucianism 정태준 p. 187-210

雪嵒 權玉鉉의 喪禮 儀節 = A study on the Sanglye rituals of Seolam Kwon Ok-hyeon 정길연 p. 211-238

『此山筆談』에 함의된 裵전의 사상 = Baejeon's ideas implicated in Chasan Pildam 성해준 p. 239-268

홍익인간·풍류도와 한류의 문화윤리적 성찰 = Hongik Ingan·Pungryudo and Korean wave’s cultural and ethical reflection 최용성, 정미경 p. 269-291

『천부경』의 수리철학적 해석 = Mathematical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of the Cheonbugyeong 김태화 p. 293-322

후지와라 데이카(藤原定家)의 詩語 평가와 미의식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assessment of poetic diction and aesthetic consciousness in Fujiwarano Teika : focused on 『Miyagawa-Utaawase』 / 『미야가와 우타아와세(宮河歌合)』를 중심으로 안수현 p. 323-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