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리듬 이해 교육 연구 : 김소월의 〈진달래꽃〉, 〈초혼〉, 〈산유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Korean modern poetry rhythm comprehension education for Chinese Korean learners : focused on Kim So-Wol's Azalea(진달래꽃), the Spirits of the Dead(초혼), Sanyuhwa(산유화) / 왕임창 1

I. 서론 1

II. 리듬을 활용한 한국 현대시 교육의 이론 3

1. 한국 현대시 텍스트에서의 리듬 3

2. 리듬 인식을 활용한 한국 현대시 교육의 원리 5

3. 리듬 인식을 활용한 한국 현대시 교육의 의의 12

III. 리듬 인식을 활용한 한국 현대시 읽기의 양상 14

1. 조사의 설계 14

2. 한국 현대시 이해를 위한 리듬 인식의 양상 16

3. 한국 현대시 이해에 학습자 리듬 인식의 영향 22

IV. 리듬 인식을 활용한 한국 현대시 교육의 설계 24

1. 리듬 인식을 활용한 한국 현대시 교육의 목표(생략) 24

2. 리듬 인식을 활용한 한국 현대시 교육의 내용 24

3. 리듬 인식을 활용한 한국 현대시 교육의 방법 26

V. 결론 29

참고문헌 30

Abstract 33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언어에 투영된 중한 음식문화 특징 =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and Korean food cultures in language mapping 강보유 p. 57-82

보기
中國 北京大學圖書館 古籍分館 所藏 한글 文獻에 對한 考察 = A study on the Hanguel collections in the rare books branch of Peking University Library 왕단 p. 83-109

보기
언어복지 제도의 새로운 접근을 위하여 = For a new approach to the language welfare system 이삼형 p. 111-130

보기
설득적 글쓰기와 정서 표현 글쓰기에 나타난 표현 양상 : Expression analysis in persuasive writing and emotional expression writing : focusing on books and lectures by Kang Wonguk and Kim Minsik / 강원국·김민식의 저서와 강연 분석을 중심으로 권순희, 김여흘, 신소연, 안병현, 원보람 p. 131-170

보기
의사소통 기반 한국어 문법의 교육 방향성 일고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Korean grammar education based on communication 조형일 p. 171-197

보기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에 나타난 이북 표상 분석 = Analysis of North Korean marks in the drama <Crash Landing on You> 오현아 p. 199-228

보기
김수영 시에 나타난 자유(自由)의 의미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freedom in Kim Soo-young's poetry 남민우 p. 231-263

보기
기본 학력으로서 초등학교 저학년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의 영역과 내용 구성을 위한 고찰 =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areas and achievement levels of digital media literacy in the lower elementary school as basic education 정현선 p. 265-291

보기
국어과 교육과정 용어로서 '진정성'의 의미 = The meaning of "authenticity" in the national Korean language curriculum 구영산 p. 293-317

보기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 현대시 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on teaching a Korean contemporary poet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second language : focusing on comparison with previous resear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mother tongue / 국어 교육 연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오지혜 p. 319-355

보기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북방의식에 대한 중국인 학습자의 이해 양상 연구 : Research on Chinese participants' understanding of the northern spirit that appears in Korean modern poems : Chinese participants with advanced education levels /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왕녕 p. 357-419

보기
디지털 환경에서 문학의 소통 맥락 변화와 문화교육의 방향 = Change in the communication context of literature in the digital environment and the direction of cultural education 박주형 p. 421-452

보기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비판적 문식성에 기반한 한국문화 교육 연구 : Korean cultural education based on critical literacy for married migrant women : the use of modern poetry and havruta method / 현대시와 하브루타 활용을 중심으로 박성 p. 453-501

보기
박재삼 시의 <흥보가> 변용(變容)에 대하여 = On the transfiguration of <Heungbo-ga> in the poetry by Jae-sam Park 김종철 p. 505-540

보기
예비 교사의 '교육 의사소통' 역량 제고를 위한 교과목 설계 및 운영 방안 = A study o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a course for improving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민병곤 p. 541-568

보기
국제 바칼로레아(IB) 교사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탐구 = Exploring curriculum design for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teacher education 김호정 p. 569-606

보기
시조의 영역(英譯) 불/가능성과 영역(英譯) 시조의 정체성 = The (im)possibility of translating Sijo into English and the identity of Sijo in English translation 고정희 p. 607-633

보기
기차와 이광수 : Train and Lee Kwangsu : examining the novel Mujeong through the railroad / 철도로 바라본 「무정」 윤대석 p. 635-659

보기
국어 교사 양성을 위한 사범대학 교육과정 CQI 분석 및 함의 : CQI analysis of college of education's curriculum for Korean teachers : focused on grammar teaching competency / 예비 교사의 문법교육 실행 역량 강화의 측면에서 남가영 p. 661-702

보기
장르적 인식으로서의 시적 표현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poetic expression as genre-based cognition : focused on Gilles Deleuze's theory / 들뢰즈의 이론을 중심으로 김민재 p. 705-738

보기
암묵지의 형성을 위한 시 창작 체험 교육 시론(試論) = Poetry cr[e]ating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acit knowledge" 김혜진 p. 739-761

보기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리듬 이해 교육 연구 : A study on the Korean modern poetry rhythm comprehension education for Chinese Korean learners : focused on Kim So-Wol's Azalea(진달래꽃), the Spirits of the Dead(초혼), Sanyuhwa(산유화) / 김소월의 <진달래꽃>, <초혼>, <산유화>를 중심으로 왕임창 p. 763-796

보기
정서 이해를 위한 해석소통 중심의 시 교육 연구 : A study on poetry education focused on interpretative communication for understanding emotions : focused on Baek Seok's Namshinuiju Yudong Park Sibongbang and Palwon-Seohaengsicho 3 / 백석의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팔원(八院)-서행시초3」을 중심으로 김민지 p. 797-827

보기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읽기 반응 연구 : A study on the reading response of modern Korean poetry by Chinese learners : focus on the comparison of response text between Korean and Chinese learners / 한·중 학습자의 반응텍스트 비교를 중심으로 김소연 p. 829-862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