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Anterior communicating artery (ACoA) aneurysms may rarely lead to oculomotor nerve palsy. We present here interesting cases in which isolated unilateral adduction paresis mimicking internuclear ophthalmoplegia (INO) was one of the symptoms of suspicious impending ruptured aneurysm of the ACoA. Careful neurologic examination is crucial for early discrimination with INO and oculomotor pals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약물과용두통 : Medication-overuse headache : diagnostic criteria, epidemiology, and treatment / 진단기준, 역학, 치료 박홍균, 조수진 p. 1-10

인지프로그램이 지역사회 정상 인지기능을 가진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cognitive programs on cognitive functions of the elderly with normal cognitive functions in the community : based on the program 'Connect Memories' / '기억을 잇다'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박성현, 최세나, 김지혜, 김재연, 허재혁 p. 11-17

우리나라 응급의료 중진료권별 급성 뇌졸중 진료수준 : Quality of acute stroke care within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in Korea : proposal for severe emergency medical center / 중증응급의료센터를 위한 제언 이경복, 이지성, 이정윤, 김준엽, 정한영, 김성은, 김종욱, 김도연, 이건주, 강지훈 [외] p. 18-30

봉입소체근염의 증례를 통한 임상, 병리학적, 혈청학 고찰 = A case of inclusion body myositis with clinical, pathological and serological consideration 박영은, 강민성, 신진홍, 김대성 p. 31-34

핵사이안근마비로 오인된 통증성 내전마비를 동반한 파열이 임박한 앞교통동맥동맥류 = A case of anterior communicating artery aneurysm impending rupture presenting with isolated painful adduction palsy mimicking ischemic internuclear ophthalmoplegia 고지희, 김민주, 강사윤, 강지훈, 오정환, 최재철, 이정석, 송숙근, 강철후, 김홍전, 임종국, 김중구 p. 35-38

지주막하공간을 침범한 석회화신경낭미충증에 의한 국소뇌전증 지속상태 = Calcified neurocysticercosis that invaded the subarachnoid space presenting as focal status epilepticus 이재용, 한선규, 형성욱, 김대윤, 성민재 p. 39-43

비타민B12 결핍과 관련된 가역보행장애 = Eversible gait disturbance due to vitamin B12 deficiency 윤동민, 채솔, 김진옥, 최교민, 문연실 p. 44-47

불법적인 마약 투여의 과거력이 있는 환자에서 발생한 항NMDA수용체뇌염 = Anti-N-methyl-D-aspartate receptor encephalitis in illicit substance use 성의현, 강일모, 김홍일, 이혜선, 박진석 p. 48-51

반복되는 상지 심부정맥혈전증을 동반한 급성뇌경색의 원인 = The etiology of acute stroke with experience of repeated upper extremity deep vein thrombosis 이창주, 이동건, 이민아, 황병욱, 김주혜, 문혜서, 임성철, 안성환 p. 52-55

급성 고암모니아뇌병증의 가역적 돌발파억제양상 = Reversible burst-suppression pattern of acute hyperammonemic encephalopathy 윤지은, 김형지, 강민경, 조수현, 이동환, 박종무, 권오현, 윤병우, 이효영, 홍윤희 p. 56-59

다양한 임상표현을 보인 OPA1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한 가족 증례 = A familial case presented with various clinical manifestations caused by OPA1 mutation 이준호, 강재호, 서영덕, 은정익, 황현영, 류성영, 장준석, 박진세 p. 60-63

미세색전신호를 동반한 Percheron동맥 관련 양측성 시상경색증 = Bilateral thalamic infarction related to artery of percheron with microembolic signal 이한림, 김예린, 신병수, 강현구 p. 64-67

MTHFR과 연관된 고호모시스테인혈증에 의해 유발된 신경계증상 = Neurological manifestations of MTHFR-related hyperhomocysteinemia 강민성, 안준우, 김소현, 석흥열, 박진성 p. 68-72

전이악성종양으로 오인된 파종크립토코쿠스증 = Disseminated cryptococcosis mimicking multiple metastatic malignancy 김근영, 이서현, 김근태 p. 73-75

경막동정맥샛길과 동반된 지속등자동맥의 울혈에 의한 박동이명 = Pulsatile tinnitus caused by engorged persistent stapedial artery with dural arteriovenous fistula 한선규, 형성욱, 이재용, 선우문경, 유현정 p. 76-78

당뇨병케톤산증 환자에서 발현한 국소간대발작 = Focal clonic seizure manifested in diabetic ketoacidosis 박수민, 이정주, 유일한, 김용수, 강규식, 이웅우, 김병건 p. 79-81

레비티라세탐으로 유발된 횡문근융해증 = A case of levetiracetam-induced rhabdomyolysis 김현기, 이혜선, 김홍일, 성의현, 김영서 p. 82-84

미세다발혈관염과 연관되어 발생한 다발뇌경색 = Multiple cerebral infarction associated with microscopic polyangiitis 김홍일, 성의현, 이혜선, 고성호, 이규용, 최호진 p. 85-87

기저동맥박리에서의 고음영CT초승달징후 = High attenuate CT crescent sign in basilar artery dissection patient 이창주, 이동건, 이민아, 황병욱, 김주혜, 문혜서, 안성환 p. 88-90

저나트륨혈증으로 유발된 뇌들보팽대의 세포독성병터 = Cytotoxic lesions of the splenium of corpus callosum (CLOCC) induced by hyponatremia 하장완, 황시현, 최민영, 김승주, 조은빈, 정희정, 정승욱, 양태원 p. 91-93

뇌 MRI에서 중간소뇌다리 신호 변화를 보이는 증례들 = Differential diagnosis of middle cerebellar peduncle signal changes on brain MRI 장상현, 채솔, 윤동민, 임성민, 윤수진 p. 94-95

임상 추론 : Clinical reasoning : a 62-year-old woman presenting with ptosis and diplopia / 눈꺼풀처짐과 복시로 방문한 62세 여자 김영서, 이학승 p. 96-104

참고문헌 (1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Lee HS, Yang TI, Choi KD, Kim JS. Teaching video NeuroImage:isolated medial rectus palsy in midbrain infarction. Neurology 2008;71:e64. 미소장
2 Kim JS. Neuro-ophthalmologic findings in acute stroke. J Neurocrit Care 2010;3:96-107. 미소장
3 White JB, Layton KF, Cloft HJ. Isolated third nerve palsy associated with a ruptured anterior communicating artery aneurysm. Neurocrit Care 2007;7:260-262. 미소장
4 Mayer PL, Awad IA, Todor R, Harbaugh K, Varnavas G, Lansen TA, et al. Misdiagnosis of symptomatic cerebral aneurysm. prevalence and correlation with outcome at four institutions. Stroke 1996;27:1558-1563. 미소장
5 Smith JW, Cogan DG. Internuclear ophthalmoplegia; a review of fifty-eight cases. AMA Arch Ophthalmol 1959;61:687-694. 미소장
6 Edlow BL, Hurwitz S, Edlow JA. Diagnosis of DWI-negative acute ischemic stroke: a meta-analysis. Neurology 2017;89:256-262. 미소장
7 Zee DS, Hain TC, Carl JR. Abduction nystagmus in internuclear ophthalmoplegia. Ann Neurol 1987;21:383-388. 미소장
8 Balossier A, Postelnicu A, Khouri S, Emery E, Derlon JM. Third nerve palsy induced by a ruptured anterior communicating artery aneurysm. Br J Neurosurg 2012;26:770-772. 미소장
9 Okamura K, Morofuji Y, Izumo T, Sato K, Fujimoto T, Horie N, et al. Ischemic stroke as a warning sign of impending aneurysmal rupture: a report of two cases. NMC Case Rep J 2021;8:85-88. 미소장
10 Sehba FA, Friedrich V. Cerebral microvasculature is an early target of subarachnoid hemorrhage. Acta Neurochir Suppl 2013;115:199-20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