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3기 신도시 도시건축통합 마스터플랜의 계획 내용 및 설계 해법에 대한 특징 비교 분석 : 〈과천과천〉, 〈안산신길2〉, 〈수원당수2〉 시범지구 당선작을 중심으로 = The planning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integrated master plan for urban and architecture in 3rd generation new towns : in case of Gwacheon Gwacheon, Ansan Singil 2 and Suwon Dangsu 2 / 한지형 1

Abstract 1

1.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1

1.2. 연구의 목적 및 방법 2

2. 도시건축통합계획을 위한 공간위계별 계획 및 설계 기준 2

2.1. 지역·도시 스케일(U) 3

2.2. 지구·근린 스케일(D) 3

2.3. 블록·가로·건축물 스케일(B) 3

3. 3개 시범지구의 계획조건과 마스터플랜의 특징 4

3.1. 시범지구 여건분석 및 개발방향 4

3.2. 마스터플랜 당선안의 계획 개요 및 주요 내용 7

4. 3개 시범지구 계획 및 설계의 요소와 특성 분석 8

4.1. 공간 위계별 계획 내용 및 설계 해법의 비교 분석 8

4.2. 계획 및 설계 내용의 종합 평가 및 해석 10

5. 결론 11

REFERENCES 12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노인요양시설 화재안전 수준 분석을 위한 시설계획요소 및 유지관리제도 지표 도출 연구 = A study on indicators of facilities planning element and maintenance system for sanatorium for senior citizen 김꽃송이, 강현미, 김충호 p. 3-14

보기
도심부 공중가로 네트워크와 도심 가로 매개를 위한 로비 공간 구성 방식에 관한 연구 = Spatial composition of lobby spaces for the intermediation of skyway networks and urban streets : case analysis of Downtown Minneapolis Skyway System : 미니애폴리스 다운타운의 스카이웨이 시스템을 중심으로 이민지, 백진 p. 15-26

보기
국내외 주택 관련 인증제도의 비교분석을 통한 주택 성능 분야 도출 연구 = Drawing house performance fields by comparatively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housing certification systems 윤성빈, 황성은, 강부성 p. 27-38

보기
도시와 농촌 지역에서 노인단독가구의 거주환경 =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elderly single households in urban and rural areas 정재훈 p. 39-46

보기
부산지역 주거지의 입지 유형 변화 추이에 관한 연구 = Changes in location types of apartment complexes in residential areas in Busan : focusing on location types of apartment complexes : 아파트단지의 입지 유형을 중심으로 김준, 임성훈 p. 47-58

보기
전이공간을 통해 본 마을형 공동체주택의 계획 특성 연구 =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village-type community housing through transitional space : focusing on Myeonmok-dong Doseodang and Hongeun-dong Thirdplace : 면목동 도서당과 홍은동 써드플레이스 사례를 대상으로 김태은, 강예린 p. 59-70

보기
국내 임시주거시설의 특성 및 거주만족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temporary residential facilities and resident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2019 wildfire in Goseong, Gangwon-do : 2019년 강원도 고성산불을 중심으로 이상희, 김봉애 p. 71-82

보기
거주자의 웰빙을 고려한 치유공간으로서 공공임대주택 단지 옥외공간 특성 및 영향 분석 연구 = The features and impact of outdoor environments in public rental housing communities as a healing environment for residents' well-being 이승희, 김석경 p. 83-94

보기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통한 건축 분야 온톨로지 연구동향 분석 = A bibliometric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s of ontology utilization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박종진, 임수영, 김언용, 전한종 p. 95-104

보기
교육시설의 적절한 빛환경 조성을 위한 G-SEED 차양 기준 적정성에 관한 연구 = The appropriateness of G-SEED shade specification for a light environment in educational facilities : comparative verification through a lighting simulation : 빛환경 시뮬레이션을 통한 비교검증 김기림, 이경선, 조혜성 p. 105-114

보기
ZEB 인증을 위한 건축물 에너지 성능요소의 사전검토 방안 연구 = Pre-check method using building energy performance factors for zero-energy building certification of office buildings 엄태윤, 홍준호, 이인혜, 손진웅 p. 115-120

보기
딥러닝 기반 점포 이미지 평가 및 포지셔닝 맵 생성 = Evaluating store image and creating positioning maps based on deep learning : focused on the interior environments of coffee shop brands : 커피 전문점 브랜드의 실내공간을 중심으로 한유진, 이현수 p. 121-128

보기
대학 청소노동자 휴게공간의 폐쇄성, 비가시성, 임시성 = Seclusion, obscurity and impermanence of designated break rooms for janitorial staff on university campuses : an analysis through to the concept of campus commons : 캠퍼스 공유재 개념을 기반으로 김민지, 최춘웅 p. 129-140

보기
조선후기 궁중 진찬(進饌) 내연(內宴)의 구성 변화 =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the royal court Jinchan and internal court in the late Joseon Dynasty 석진영 p. 141-152

보기
흥인지문 일대 성벽의 축조형식과 지형변화 연구 = Construction method of Hanyangdoseong and change of topography around Heunginjimun 김영수, 송인호 p. 153-162

보기
비트라 하우스에 나타나는 리좀형 공간구성의 특징에 관한 연구 = The characteristics of rhizome-type spatial composition appearing in Vitra House 김종성 p. 163-172

보기
1920년대 유럽의 근대 주거 운동과 담론 형성과정 = Modern housing movement and process to discourse in 1920s Europe 봉일범 p. 173-182

보기
대규모 아파트단지 재건축 과정에서의 보존계획 조건에 관한 연구 = Preservation planning issues in the redevelopment process of large-scale apartment complexes : from 'preserving a single apartment building' to restoring the sense of place, a case study of the recent cases in Seoul : '한 동 남기기'에서 기억의 장소성 회복까지, 최근 서울시 사례의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한유진, 박소현 p. 183-193

보기
근대 시기 중국 조계지에 건설된 리식주택의 배치유형 연구 = A study on the layout types of Li House in early-modern Chinese concession : focused on the layout characteristics of Wuhan Lifen House : 우한 리분주택의 배치 특성을 중심으로 김리연, 김승회 p. 195-206

보기
3기 신도시 도시건축통합 마스터플랜의 계획 내용 및 설계 해법에 대한 특징 비교 분석 = The planning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integrated master plan for urban and architecture in 3rd generation new towns : in case of Gwacheon Gwacheon, Ansan Singil 2 and Suwon Dangsu 2 : <과천과천>, <안산신길2>, <수원당수2> 시범지구 당선작을 중심으로 한지형 p. 207-218

보기
외부 베네시안 블라인드의 슬랫 각도에 따른 태양열 취득계수의 불확실성 및 민감도 분석 = Uncertainty and sensitivity analyses on solar heat gain coefficient by slat angle of external venetian blinds 이정윤, 김영섭, 박철수 p. 219-227

보기
해체폐기물 발생량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모델 개발 = Development of machine learning predictive model for forecasting demolition waste generation 차기욱, 홍원화 p. 229-235

보기
학습데이터 크기 변화에 따른 트랜스포머 아키텍처의 여름철 실내온도와 열부하 예측성능 평가 = Evaluation of summer zone temperature and load forecasting performance of transformer architecture according to training dataset size change 최원준 p. 237-246

보기
실내·외 표면 열류에 따라 산출된 외단열 콘크리트 외벽체의 열저항 비교 분석 = Thermal resistance of outside insulated concrete wall according to internal and external surface heat flow 최두성, 문지훈, 이예지, 고명진 p. 247-256

보기
다중 재실자 대상 실시간 착의량 산출 프로세스 개발 = Development of the estimating process for the real-time clothing insulation of multiple occupants 최은지, 윤지영, 김남현, 문진우 p. 257-263

보기
부지특성 반영한 한반도 지반운동 예측식 = Korean region ground motion prediction equation considering site effects 지현우, 한상환 p. 265-272

보기
콘크리트 투수블록의 특성평가를 위한 모사 협잡물의 제안 = Proposal of simulated road scattering dust on the properties of concrete permeable blocks 박준서, 양근혁 p. 273-278

보기
젤라틴을 유기물 바인더로 활용한 친환경 복합체의 배합에 따른 재료 특성 = Material properties of eco-friendly composite using gelatin as an organic binder according to the mix proposition 박지윤, 이종구 p. 279-285

보기
건설현장 CM 기술인력의 역량 수준 분석 및 향상방안 = An analysis on performance level status of construction managers in construction field and its improvement measures 신원상, 이준용, 손창백 p. 287-294

보기
CM회사 기술인력의 수급 관련 제도 활용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 An analysis on the utilization of manpower supply-demand in CM technical personnel and its improvement measures 안종혁, 고찬영, 손창백 p. 295-305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