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국무총리소속 대일항쟁기강제동원피해조사및국외강제동원등지원위원회, 들리나요? : 열두소녀의 이야기: 일본군위안부 피해 구술기록집, 2013. | 미소장 |
2 | 조시현,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있어서 역사와 법적책임,” 민주법학, 제45권, pp.81-112, 2011. | 미소장 |
3 | 박정애, “열정과 냉정 사이: 일본인 여성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만나는 방법,” 이시카와 이쓰코 지음, 손지연 옮김, 일본군 ‘위안부’가 된 소녀들, 삼천리, 여성문학연구, 제33권, pp.493-516, 2014. | 미소장 |
4 | 김수아,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담론 구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미소장 |
5 | 김정란, 일본군 '위안부' 운동의 전개와 문제인식에 대한 연구 : 정대협의 활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미소장 |
6 | 최현실, “생애사를 통해 본 일본군 ‘위안부’의 삶과 기억의 재구성,” 사회과학연구, 제26권, 제3호, pp.75-101, 2010. | 미소장 |
7 | 강혁민, “내러티브 이론으로 보는 피해자 회복탄력성연구:국가폭력 피해자들의 자전적 내러티브와 고통의의미생성을 중심으로,” 피해자학연구, 제28권, 제3호, pp.1-30, 2020. | 미소장 |
8 | 손행미, “질적내용분석의 이해와 적용,” 대한질적연구학회지, 제17권, pp.56-63, 2017. | 미소장 |
9 | 정진성, 일본군 성노예제,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 미소장 |
10 | 강정숙, “역사용어 바로 쓰기: ‘위안부', 정신대, 공창, 성노예,” 역사비평, 제2권, pp.315-320, 2006. | 미소장 |
11 | 김경일, 강정숙, 송연옥, 손염홍, 신영숙, 정현주, 아시아 일본군 '위안부'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7. | 미소장 |
12 | 이정은, “여성 인권과 세계 평화의 관계: 성 평등과무력 분쟁에 관한 UN ‘1325호 결의안’에 기초하여,”동서철학연구, 제64권, pp.29-58, 2012. | 미소장 |
13 | 이나영, “경계에서 출발해 경계를 넘어: 1990년대일본군 ‘위안부’ 운동의 초국적 연대를 중심으로,” 구술사연구, 제9권, 제2호, pp.191-230, 2018. | 미소장 |
14 | 전지환, 여성과 아동을 위한 월드비전 해외구호 및회복 프로그램, 평화·안보분야에서의 여성의 역할, 유엔안보리 결의 1325호 이행과 국가행동계획수립을위한 토론회 자료집, 서울: 신낙균의원실, 2011. | 미소장 |
15 | 정진성, “전시 하 여성침해의 보편성과 역사적 특수성:일본군 위안부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식,” 한국여성학, 제19권, 제2호, pp.39-61, 2003. | 미소장 |
16 | 도시환,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해결을 위한 국제법적 과제,” 외법논집, 제39권, 제1호, pp.61-88, 2015. | 미소장 |
17 | 전윤정,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 현황과 향후 과제, 서울: 국회입법조사처, 2021. | 미소장 |
18 | 박기묵, “세월호 참사 희생자 부모들의 심리적 외상에 관한 기술적 접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호, 제9권, pp.134-145, 2015. | 미소장 |
19 | R. G. Tedeschi and L. G. Calhoun,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Vol.15, No.1, pp.1-18, 2004. | 미소장 |
20 | 신우정, 임동호, “춤 치유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효과-쉼터거주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2호, pp.158-168, 2018. | 미소장 |
21 | 음영철, “역사적 트라우마의 치료과정-현기영의「순이삼촌」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297-305, 2013. | 미소장 |
22 | 유정, 최남희, “외상후 성장과 내러티브 재구성,”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제11권, 제1호, pp.201-212, 2015. | 미소장 |
23 | 최성호, 정정훈, 정상원, “질적 내용분석의 개념과 절차,” 질적탐구 제2권, 제1호, pp.127-155, 2016. | 미소장 |
24 | Satu Elo, Helvi Kyngἅs,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2, No.1, pp.107-115, 2008. | 미소장 |
25 | 최영철, “궁지에 몰린 ‘제국의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 손배소송 승소, 형사재판 이어져…박유하 교수 “비판을 위한 비판일 뿐,” 주간동아, 2016. | 미소장 |
26 | https://www.nanet.go.kr/main.do | 미소장 |
27 | 권주리애, (일본군 성노예제 피해자) 강일출 : 영화 ' 귀향'의 모티브, 북코리아, 2018. | 미소장 |
28 |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018. | 미소장 |
29 | 권주리애, (일본군 성노예제 피해자) 이옥선 : 만두한 개, 북코리아, 2018. | 미소장 |
30 | 권주리애, (일본군 성노예제 피해자) 김복동 : 기부천사, 북코리아, 2018. | 미소장 |
31 | 권주리애, (일본군 성노예제 피해자) 이용수 : 아이캔 스피크의 주인공, 북코리아, 2018. | 미소장 |
32 | 권주리애, (일본군 성노예제 피해자) 길원옥 : 다시가지 못한 고향 평양, 북코리아, 2018. | 미소장 |
33 | 이정희, 박선영, “탈성매매 여성이 경험하는 회복에대한 질적 사례연구: ‘평범한 삶’을 위해 휘둘리지 않고 버텨내기,” 사회복지연구, 제51권, 제1호, pp.107-137, 2020. | 미소장 |
34 | 안신권,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들의 생애사 연구 :인권과 복지권 분석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미소장 |
35 | 김정화, 일본군 성노예('위안부') 피해자 故 박숙이 할머니 생애사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 미소장 |
36 | S. Cohen, States of Denial: Knowing About Atrocities and Suffering, 2001, 조효제 역, 잔인한국가, 외면하는 대중: 왜 국가와 사회는 인권침해를부인하는가, 파주: 창작과 비평사, 2009. | 미소장 |
37 | 광주광역시, 광주 트라우마 치유 및 재활활동 성과분석 보고서, 광주: 광주광역시, 2017. | 미소장 |
38 | 천정배의원실, 화해와 상생의 시대를 여는 국립 국가폭력 트라우마 치유센터 설립방안 공청회, 서울: 천정배의원실, 2019. | 미소장 |
39 | 최현실, 탈북여성들의 트라우마와 정착지원 방향 연구, 통일부, 201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