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머신러닝에 AE 신호를 적용하기 위한 Burst 신호 추출 및 특징개발 = Burst signal extract and features analysis for using acoustic emission in machine learning / 이정준 ; 정덕영 ; 박동희 ; 최병근 1
초록 1
Abstract 1
1. 서론 2
2. 머신러닝 적용을 위한 특징 분석 2
2.1. AE 신호의 특징 2
2.2. 특징기반 머신러닝 3
2.3. AE 신호를 특징기반 머신러닝에 적용하기 위한 고려사항 3
3. AE 신호의 머신러닝 적용기술 개발 4
3.1. Burst 신호 추출 기술 개발 4
3.2. Burst 신호의 특징 개발 5
4. 실험 및 적용 결과 6
4.1. Pencil Lead Break Test 6
4.2. Burst signal 추출 결과 7
4.3. 특징기반 머신러닝 적용 결과 7
5. 결론 8
Author contributions 8
References 8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Y. S. Joo, S. H. Lim, H. S. Eom and J. H. Kim, 2003, “Acoustic Emission Technology and Application”,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 미소장 |
2 | J. H. Kim, J. S. Kim, J. Lee, N. G. Kwag and B. Y. Lee, 2009, “The Basic Study on the Method of Acoustic Emission Signal Processing for the Failure Detection in the NPP Structur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29(5), 485-492. | 미소장 |
3 | F. W. Sebastian, B. Stefan and D. Söffker, 2019, “Experimental Results of Acoustic Emission Attenuation Due to Wave Propagation in Composites”, Annual Conference of the Prognostics and Health Management Society, 11(1), 821. (https://doi.org/10.36001/phmconf.2019.v11i1.821) | 미소장 |
4 | Y. S. Lee, 2011, “Detection of Multiple Leak Locations in Underground Water Supply Pipes”,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spring conference, 128-129. | 미소장 |
5 | K. R. Park et al., 2022, “Feature Analysis of Acoustic Emission Signals for Diagnosis of Loosened Bolt in Tubular Steel Tower”,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32(2), 195-203. (https://doi.org/10.5050/KSNVE.2022.32.2.195) | 미소장 |
6 | D. Y. Cheong, B. H. Ahn, D. H. Park, H. J. Kim and B. K. Choi, 2019, “Feature-based Trend Monitoring of Vibration Signals According to Severity of Gear Tooth Breakag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29(1), 199-205. (https://doi.org/10.5050/KSNVE.2019.29.2.199) | 미소장 |
7 | M. Ohtsu, 1995, “Acoustic Emission Theory for Moment Tensor Analysis”, Research in Nondestructive Evaluation, 6, 169-184. | 미소장 |
8 | M. G. R. Sause, 2016, In Situ Monitoring of Fiber-Reinforced Composites, 242, Appendix. | 미소장 |
9 | V. Barat et al., 2021, “Empirical Approach to Defect Detection Probability by Acoustic Emission Testing”, Applied Sciences, 11(20), 9429. (https://doi.org/10.3390/app11209429) | 미소장 |
10 | H. T. Yu, T. H. Min, H. J. Kim, S. G. Kang and B. K. Choi, 2021, “Feature Analysis Based on Acoustic Emission Signal Processing for Tubular Steel Tower Condition Monitoring”,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31(1), 195-202. (DOI:10.5050/KSNVE.2021.31.2.19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