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십대 청소년 데이트 폭력 예방프로그램의 개발 연구 = A study on program development for prevention of the teenage dating violence 허인영 p. 1-31

부모의 양육차원이 청소년의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parenting dimensions on adolescents' internalizing &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 a multilevel meta-analysis : 다층메타분석 박선희, 김빛나, 김영희 p. 33-67
국내 외 청소년 비폭력 대화 중재프로그램 후향적 동향분석과 고찰(2010-2022) = Retrospective trend analysis and review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youth non-violent dialogue intervention programs (2010-2022) 김원순 p. 69-88
청소년기의 내·외현적 자기애와 우울의 관계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of the adolescents :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이강애, 이양희 p. 89-112
동물교감교육 집단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사회정서역량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animal communion education group program on youth social-emotional competencies 신동윤 p. 113-134
청소년의 자기애가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adolescents's narcissism on the school violence behavior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need for approval : 타인인정요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고수연 p. 135-161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이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종단적 매개효과 검증 = Longitudinal mediated effects of self-esteem on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game addiction of out-of-school adolescent : application of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의 적용 이택호, 이재윤 p. 163-183

메타버스 내 아동·청소년 대상 범죄에 관한 연구 = Crimes against children and juveniles in the metaverse : a content analysis of newspaper : 신문기사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이혜진, 신인수 p. 185-226

중학생의 사이버불링 피해경험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와 지지적 부모 양육태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Effects of cyberbullying victim experience on suicidal ideation among middle-school students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upportive parenting attitude 나지훈, 성혜연, 이성규 p. 227-256
대학생의 내적통제, 학업몰입 및 시간관리행동의 관계 = The relation among internal locus of control, learning flow and time management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metacognition : 메타인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선민, 조윤영, 이은정 p. 257-280
외상경험 대학생의 정서조절양식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styles of trauma-experienced university student on their posttraumatic growth : mediating effect of deliberate rumination and emotional self-disclosure : 의도적 반추와 정서적 자기노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수연, 안귀여루 p. 281-310
아동·청소년의 장애인 차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Explor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discriminatory behaviors by children and adolescents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조재환, 이은영, 김나영, 이진혁 p. 311-338
청소년의 스마트폰용 자녀안심 앱의 사용경험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n the experience of adolescents using parental control apps for smartphones 정한별, 문성호 p. 339-363
한국 청소년 후기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life in late Korean youth :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2019 and 2021 before and after COVID-19 : 코로나19 전, 후인 2019년도와 2021년도 비교를 중심으로 주은선, 이주은, 박선우, 조민서, 안호원 p. 365-392
코로나19 상황에서 아동·청소년의 일상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내용분석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f child and adolescent' daily life experienc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a content A 이영애, 황옥경, 노은선 p. 393-421
청소년기 종교활동의 의미와 영향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meanings of religious activity and its effects 오정헌 p. 423-445
다문화청소년의 무단결석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ruanc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김희찬, 최성헌 p. 447-472
상대평가와 고등학생의 심리적 적응 유형 = Exploring different types of psychological adjustment of high school students in relation to relative grading : a latent profile analysis : 잠재프로파일 분석의 적용 전희정 p. 473-495

학교 밖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낙인감과 우울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out-of-school adolescents' depression :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arental support through ego-resilience : 자아탄력성을 통한 부모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채혜영, 장은애, 정현희 p. 497-517

참고문헌 (6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재량(2015).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 정신건강, 스마트폰중독, 자살생각의 관계 연구 : 자아 탄력성과 가정 건강성의 조절효과.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 기은광(2021). 코로나19 전후, 중고등학교 청소년 삶의 만족도 및 관련 요인에 대한 분석. 글로벌사회복지연구, 11(1), 73. 미소장
3 기은광, 조민식(2021). 성취만족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 전후, 주거점유 형태, 교육 정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적질연구, 5(4), 45-71. 미소장
4 김명자, 손은령(2018). 청소년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교생활적응의 종단적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5(9), 1-20. 미소장
5 김미숙, 김안나(2020). 1인가구의 세대별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비교 연구. 한국학교. 지역보건교육학회지, 21(1), 15-31. 미소장
6 김윤나·이희연(2020). 코로나19 이후 청소년 삶의 변화와 소년보호정책적 함의. 소년보호연구, 33(2), 1-27. 미소장
7 김재희, 박은규(2016). 청년의 성인초기 발달과업 성취유형이 사회적 고립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7(3), 257-284. 미소장
8 김정현(2015). 대학생의 진로성숙도,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녕감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9 김종운, 양민정(2014). 대학생의 애착과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2), 283-299. 미소장
10 김지현, 최영준(2021). 코로나 19 시기 가족관계 만족도 변화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남성 가사분담의 역할을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70), 101-132. 미소장
11 박영신, 김의철(2008). 한국 청소년의 삶의 질과 인간관계. 교육심리연구, 22(4), 801-836. 미소장
12 박지혜, 이영선(2018). 이러닝 학습에서 실재감,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3(11), 229-238 미소장
13 박효은, 조항, 정난희(2021).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생의 불안과 우울에 대한 조사연구. 연구방법논총, 6(3), 255-278. 미소장
14 백유미(2017).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대학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몰입의 조절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5), 490-496. 미소장
15 보건복지부(2021). 2021년 1분기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결과 발표. URL: http://www.mohw.go.kr 미소장
16 보건복지부(2021). 「2021년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분기별 결과 발표. URL: http://www.mohw.go.kr 미소장
17 서미, 정익중, 이태영, 김지혜, & 윤민지(2018). 후기 청소년 심리· 정서적 지원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26(1), 207-232. 미소장
18 서정아, 성윤숙, 홍순구, 권일남. (2021).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청소년정책 대응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389. 미소장
19 손진희(2020). 코로나19 상황에서 청소년의 학습권에 관한 연구. 법과인권교육연구, 13(3), 87-112. 미소장
20 연은모, 최효식(2020). 잠재계층성장모형을 적용한 다문화 가정 자녀의 성취동기 변화 유형 및 예측요인 탐색: 학업성취 수준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2), 404-414. 미소장
21 우수명(2015). 마우스로 잡는 SPSS 22. 서울 출판사 인간과 복지. 미소장
22 윤동환, 한승훈(2022). IPA를 활용한 팬데믹 환경에서 대학생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36(1), 85-99. 미소장
23 이기언·최성광(2021). 코로나19 상황에서 초·중·고 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학교생활, 가정생활, 일상적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5(3), 171-182. 미소장
24 이래혁(2021). 코로나 19 불안과 스트레스의 관련 요인: 인구학적 특성 및 거주지역 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1(6), 71-80. 미소장
25 이상록(2020). 동기부여와 인간개발, 자기관리형 인간의 탄생: 1970~80년대 한국에서 인간개발 담론과 ‘성과주체’ 생산. 역사비평, 132, 193-231. 미소장
26 이은환(2021). [정책제안] 코로나-19 멘탈데믹 경고. 월간 공공정책, 187, 53-58. 미소장
27 이순행(2015). 자원봉사활동 참여가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인권복지연구, 17, 57-88. 미소장
28 이정현(2022). “코로나 시대 대학생들, 벙커 속 안전-낙오 공포 함께 경험”.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20211060000004 미소장
29 이해영, 유하나(2015). 후기청소년의 체형 인식, 대인관계 문제 및 영적 안녕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10), 327-335. 미소장
30 이현민, 김욱진(2018). 일인가구의 대인관계와 삶의 만족 및 우울의 구조적 관계. 사회복지연구, 49(3), 147-177. 미소장
31 임수현. 코로나19로 인한 학교 수업 방식의 변화가 교사 수업, 학생 학습, 학부모의 자녀 돌봄에 미친 영향.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2020. 미소장
32 임안나, 박영숙(2017).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3), 675-682. 미소장
33 임윤서(2021). 비대면 시대의 관계맺기: 대학생들을 통해 본 청년들의 인간관계 변화와 공감교육을 위한 질적 탐색. 사회과학연구,29(2), 126-181. 미소장
34 장숙경, 김민정(2020).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경험과 성향적 낙관성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단절 및 거절 도식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2(1), 339-364. 미소장
35 장휘숙(2000). 애착과 대학생의 정체감 발달 (1).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3(2), 115-130. 미소장
36 조남희, 권려원(2021).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융합정보논문지, 11(7), 155-163. 미소장
37 조은정, 이기학(2004).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 경험이 대인관계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통제소재를 매개변인으로-. 상담학연구, 5(3), 583-595. 미소장
38 조혜영(2013). 대학재학 후기청소년 세대의 사회적 위치 및 정체성 인식에 관한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15(2), 367-393. 미소장
39 질병관리청. 2022. 2022년 12월 17일 코로나19 통계자료. URL: https://ncov.kdca.go.kr 미소장
40 차은아(2009). 청년기 부정적 자아개념과 인간관계 부적응에 대한 성경적 상담. 서울: 총신대학교 상담대학원. 미소장
41 천희창, 김지영(2021). 코로나-19 상황에서 대학생의 성격강점이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역경후 성장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6(4), 739-761. 미소장
42 최영출(2018). 소득수준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분석: 이항로짓분석의 활용. 한국자치행정학보, 32(3), 1-19. 미소장
43 최지욱(2021). 코로나19가 성인 및 소아청소년에 미치는 영향과 지원 방안. 신경정신의학, 60(1), 2-10. 미소장
44 최지은, 이지원, 정다빈, 이해나, 김현경(2020). 학교 밖 청소년의 심리· 사회적 발달궤적과 성인초기 적응 여부에 따른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3(1), 37-52. 미소장
45 통계청(2017). 사회조사. URL: https://www.kostat.go.kr 미소장
46 통계청(2019). 사회조사. URL: https://url.kr/qdhlfn 미소장
47 통계청(2021). 사회조사. URL: https://url.kr/iyex2g 미소장
48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2021). 코로나19 이후 1년, 청소년 정신건강 변화 기록. 미소장
49 Arnett, J. J. (2000). Emerging adulthood: A period of development from the late teens through the twenties. American Psychologist, 55, 469- 480. 미소장
50 Arnett, J. J. (2006). G. Stanley Hall's Adolescence: A Centennial Reappraisal: Introduction. History of psychology, 9(3), 165-171. 미소장
51 Arnett, J. J. (2015). Emerging Adulthood.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52 Cherian, R. M., & Kohli, Y. (2022). Analysing the Shift in Aspirations among Adolescents during Covid-19 Pandemic. CHILDREN FIRST, 55, 65-71. 미소장
53 Côté, J., & Bynner, J. M. (2008). Changes in the transition to adulthood in the UK and Canada: The role of structure and agency in emerging adulthood. Journal of Youth Studies, 11, 251-268. 미소장
54 Erickson, E. H. (1994).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미소장
55 Heider, F. (1985). The psychology of international relationship. NY: Psychology Press. 미소장
56 IWGYP(Interagency Working Group on Youth Programs)(2016). Pathways for youth: Strategies plan for federal collaboration. IWGYP. 미소장
57 Levinson, D. J. (1998). The seasons of a woman’s life: A fascinating exploration of the events, thoughts, and life experiences that all women share. Ballantine Books. 미소장
58 Maslow, A. H. (e-book) (2012). A theory of human motivation. Starting Publishing LLC. 미소장
59 Mason, R., & Faulkenberry, G. D. (1978). Aspirations, achievements and life satisfac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5(2), 133-150. 미소장
60 Rice, K. G., FitzGerald, D. P., Whaley, T. J., & Gibbs, C. L. (1995).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examination of attachment, separation-individuation, and college student adjustment.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3(4), 463-474. 미소장
61 Rogowska, A. M., Kuśnierz, C., & Ochnik, D. (2022). Correction: Rogowska et al. changes in stress, coping styles, and life satisfa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waves of the COVID-19 pandemic: A longitudinal cross-lagged study in a sample of university students. J. clin. med. 2021, 10 , 4025. Journal of Clinical Medicine, 11(1), 276. 미소장
62 Seiffge-Krenke, I., & Gelhaar, T. (2008). Does successful attainment of developmental tasks lead to happiness and success in later developmental tasks? A test of Havighurst's (1948) theses. Journal of adolescence, 31(1), 33-52. 미소장
63 Shanas, E.(1979). The family as a social support system in old age. The Gerontologist, 19(2), 169-174. 미소장
64 Shin, D. C., & Johnson, D. M. (1978). Avowed happiness as an overall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ife. Social indicators research, 5(1), 475-49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