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和銅6年(713)에 國·郡·郷의 行政地名을 二字·嘉名으로 改訂하도록 한 好字二字令의 실시 이후 통일된 地名表記가 가능하게 되었지만, 地名의 漢字 音訓에 있어서 萬葉集 등의 音訓과는 다른 異形的인 읽기를 만들어 낸 것으로 볼 수 있다. 本稿에서는 元和本和名類聚抄 郡·鄕名을 대상으로 먼저 地名表記에 사용된 漢字의 音訓이 萬葉集의 音訓과 다른 異形을 찾아내어, 같은 地名에 대하여 和名類聚抄 異本, 木簡, 日本書紀, 古事記, 延喜式, 姓氏録, 霊異記 등의 諸文獻에서 보이는 異表記와 比較하여 地名이 어떻게 二字化되어 갔는지를 考察해 보았다. 1音節地名의 二字化에는 원래 읽기에서 漢字를 追加한 경우가 많으며, 多音節地名의 二字化에서는 원래 地名에 사용된 漢字를 省略하여 表記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好字二字令에 의한 무리한 地名 二字化의 影響으로, 地名의 漢字 音訓에 있어서 萬葉集 등에서는 보이지 않는 異形的인 읽기가 생겨난 것으로 볼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継承日本語における丁寧体と普通体の習得について = A study on the acquisition of the Japanese polite form and the plain form as a heritage language by Korean-Japanese bilingual children 川口慶子 p. 25-43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キングアプローチ(SNA)による研究会の創立と実践研究 = Founding of an academic society and practical research using the social networking approach (SNA) 検校裕朗 p. 45-60

한일사전에 나타난 동형다품사의 어휘정보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vocabulary information of multiple parts of speech appeared in Korean-Japanese dictionaries 高恩淑 p. 61-79

학습자중심수업을 통한 '좋은 수업'의 방향성 탐구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good teaching’ through learner-centered classes : based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self-reflection / 학습만족도와 자기성찰에 근거하여 權寧成 p. 81-97

日本で働く卒業生のキャリア初期における学びの過程 : Learning process in the early career stage of a graduate working in Japan : focusing on negotiation of meaning / 意味の交渉に注目して 寺田恵理 p. 99-117

コロナ禍における日韓遠隔国際交流 : Remote international exchang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a practical report focusing on “Connections among Students” / 「学生間のつながり」に注目した実践報告 持田祐美子 p. 119-140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일본어교육연구 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the trends of Japanese education using textmining methods : focusing on 2012~2021 Korean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Japanese Education / 2012년~2021년 『일본어교육연구』 한국어논문을 중심으로 成玧妸 p. 141-160

일제강점기 한국 신문에 나타난 '朝鮮人' 표현 양상 =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朝鮮人 (Joseonin)” that appeared in Korean newspape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헤드라인(headline)을 중심으로 尹榮珉 p. 175-188

動詞テ形の習得プロセスにおける特殊拍の発音 : Production of special morae in the learning process of the verb te-form : focusing on the usage of Korean learners / 初級韓国人学習者の特殊拍の使用実態に着目して 沈希津 p. 161-174

好字二字令에 의한 和名類聚抄 地名表記의 二字化에 대하여 = About using two letters in place names of Wamyosyo by the law : 元和本和名類聚抄의 郡·鄕名을 中心으로 李成根 p. 205-225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風の歌を聴け)』 한국어 번역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Korean translation of Haruki Murakami’s novel Hear the Wind Sing 趙惠淑 p. 227-242

「音声のメタ言語能力」の構築を目指した教師教育の試み : An attempt of teacher education toward construction of “Metalinguistic Ability on Pronunciation” : learning through discussion between a Japanese language teacher and a supporter / 韓国人日本語教師と支援者による意見交換の場から生まれた学び 千仙永 p. 243-260

日本漢字音 字音形의 창출요인에 관한 比較音韻史的 연구 : A study on the creation factors of consonant type in historical phonology on Sino-Japanese through comparison of Chinese characters from other countries : a comparative study of the Hyo(效) group / 效攝을 중심으로 李相怡, 宋在漢 p. 189-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