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아마두 쿰바의 옛이야기』는 여러 면에서 의미 있는 책이다. 아프리카 구술 유산을 문자화한 네그리튀드 1세대 작품인 이 책은 어릴 적 작가가 듣고 자란 세네갈의 전승 민담을 묶은 것이다. 서문에서 작가는 자신의 역할을 축소하고 아마두 쿰바를 이야기의 ‘주인’으로 내세우지만, 그것은 독자가 읽는 이야기가 구술된 이야기라는 환상을 심어주려는 의도의 소산이다.
비록 아프리카 전통 민담에 많은 것을 빚졌지만 이 책은 전래 민담을 전사(轉寫)한 문헌이 아니라 새로운 맥락에서 이야기를 가공한 한편의 문학 작품이며, 디오프는 구술에서 기술로의 이행 과정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누구보다도 먼저 그리고 예리하게 간파해낸 작가이다. 『옛 이야기』는 아프리카 고유의 구술성을 어떻게 외래의 문자 문학 속에 껴안을 것인가에 관한 고심을 드러내며 아프리카 근대 문학이 형성되어 나가는 과정을 엿보게 한다.
Cet article se propose de retracer le travail de réécriture chez Birago Diop. En intitulant son recueil les Contes d’Amadou Koumba, l’auteur semble s’effacer derrière le griot Amadou Koumba à qui il attribue le statut d’auteur : Diop nous dit avoir recueilli les contes racontés par Amadou Koumba.
Force est de constater que, malgré cette fausse modestie, Diop n’est pas un simple scribe qui s’est contenté de transcrire et de traduire en français les récits de Koumba, mais il est à considérer comme le véritable auteur des textes qu’il a publiés.
En effet, Diop a bien compris que l’écrit n’obéit pas aux mêmes lois que l’oral. Le passage de l’oral à l’écrit impose aux contes une transformation profonde tant sur le plan formel que structural. On voit bien que les contes écrits par Diop diffèrent sensiblement des versions orales : il a ‘tissé’ ses propres contes. On y décèle plusieurs procédés, plusieurs stratégies d’écriture consistant à habiller le conte oral africain selon des normes littéraires de l’écriture occidentale : absence de formules traditionnelles d’ouverture et de clôture qui définissent habituellement le conte traditionnel, emploi de plusieurs types de structures, complexité du système narratif, etc. Ce travail de réécriture que propose Diop permet de réfléchir sur les rapports qu’entretiennent la tradition orale et l’écriture moderne en Afrique.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Diop, Birago, Les Contes d’Amadou Koumba, Paris : Fasquelle, 1947 ; Paris : Présence africaine, 1961. | 미소장 |
2 | Diop, Birago, Les Nouveaux contes d’Amadou Koumba, Paris : Présence Africaine, 1958. | 미소장 |
3 | Aron, Paul (et al.), Le dictionnaire du littéraire, Paris : PUF, 2002. | 미소장 |
4 | Azarian, Viviane, |
미소장 |
5 | Chevrier, Jacques, |
미소장 |
6 | Copans, Jean & Couty, Philippe, Contes wolof du Baol, Paris : Union générale d’éditions, 1976. | 미소장 |
7 | Dérivé, Jean, |
미소장 |
8 | Diop, Samba, Oralité africaine : Entre esthétique et poétique, Paris : L’Harmattan, 2011. | 미소장 |
9 | Gay-Para, Praline, |
미소장 |
10 | Kane, Mohamadou, Essai sur les contes d’Amadou Coumba : du conte traditionnel au conte moderne d’expression francaise, Dakar : NEA, 1981. | 미소장 |
11 | Kane, Mohamadou, Roman africain et traditions, Dakar : NEA, 1982. | 미소장 |
12 | Kesteloot, Lilyan & M’Bodj, Cherif (éd.), Contes et mythes wolof, Dakar: NEA, 1983. | 미소장 |
13 | Lebrun, Monique, |
미소장 |
14 | Mouralis, Bernard, Les Contes d’Amadou Koumba : Birago Diop, Paris : Bertrand-Lacoste, 1991. | 미소장 |
15 | Mouralis, Bernard, 미소장 |
|
16 | Nyembwe, Tshikumambila, 미소장 |
|
17 | Okpewho, Isidore, African Oral Literature : Backgrounds, Character, and Continuity, Bloomington : Indiana University Press, 1992. | 미소장 |
18 | Semujanga, Josias, Dynamique des genres dans le roman africain, Paris : L’Harmattan, 1999. | 미소장 |
19 | Senghor, Léopold Sédar, |
미소장 |
20 | Simonsen, Michele, Le Conte populaire, Paris : PUF, 1984. | 미소장 |
21 | Tollerson, Marie Sherrod, Mythology and Cosmology in the Narratives of Bernard Dadié & Birago Diop : A Structural Approach, Washington DC : Three Continents Press, 1984. | 미소장 |
22 | 선영아, 「비라고 디옵의 ‘아마두 쿰바의 이야기들 Les Contes d’Amadou Koumba’에 대한 한 연구 : 이야기와 소설의 중간지점」, 『프랑스문화예술연구』, 71, 2020, pp. 74-97.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