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태현, 유홍식 (2014). 언론의 자살사건 보도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제3자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소통학보, 23, 174-208. |
미소장 |
2 |
국가통계포털 (2021). 연도별 자살사망률. https://kosis.kr에서 2022년 5월 27일 인출. |
미소장 |
3 |
김경희 (2021). 청소년기에 아버지의 자살 사고로 상실을경험한 중년남성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상담심리교육복지, 8(4), 45-60. |
미소장 |
4 |
김경희 (2022). 청소년기에 아버지의 자살 사고로 상실을경험한 청년의 삶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청소년학연구, 29(1), 95-120. |
미소장 |
5 |
김경희, 유지영 (2020). 청소년기에 아버지가 살해당한 성인여성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질적탐구, 6(4), 1-36. |
미소장 |
6 |
김벼리 (2012). 남편을 자살로 잃은 중년 기독인 여성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전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7 |
김벼리, 신현준, 한규석 (2013). 남편을 자살로 잃은 여성의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8(1), 191-218. |
미소장 |
8 |
김신옥 (2010). 엄마의 자살을 목격한 10세 여아의 모래놀이치료를 통한 애도. 모래놀이치료연구, 6(2), 25-65. |
미소장 |
9 |
김영미, 이윤주 (2020). 자살생존자의 트라우마 경험에 대한자전적 내러티브 연구.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 5(2), 75-98. |
미소장 |
10 |
김은주, 오화철 (2020). 상담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영성에 미치는 영향; 소명의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기독교상담학회지, 31(3), 75-97. |
미소장 |
11 |
김재순 (2019). 자살생존자의 심리적 고통과 애도에 대한자문화기술지.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2 |
김정남 (2015). 부모자살을 경험한 청소년의 외상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재활심리연구, 22(1), 183-201. |
미소장 |
13 |
김현주, 박재연 (2021). 직장인의 동료자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상담학연구, 22(6), 301-329. |
미소장 |
14 |
김혜진, 노은영, 권세원 (2015).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자살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3(4), 88-115. |
미소장 |
15 |
문선현 (2017). 자살생존자의 회복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6 |
박경자 (2020). 자살 유가족 상담자의 대리 외상 경험: 해석현상학적 분석. 상담학연구, 21(6), 121-143. |
미소장 |
17 |
박지영 (2010). 자살로 가족을 잃은 유가족의 생존경험에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사례연구. 건강보건과 사회사업, 36, 289-318. |
미소장 |
18 |
배소원 (2018). 헬스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자살에 대한 인터넷 기사의 분석과 고찰: 자살 보도 권고 기준 2.0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9 |
서청희, 이성규 (2019). 부모를 자살로 상실한 청소년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청소년연구, 30(4), 97-129. |
미소장 |
20 |
송인한 (2015). 사회적 관계 내에서 자살을 경험한 자살생존자(suicide survivors)의 정신건강 추적연구. 한국연구재단 연구보고서. |
미소장 |
21 |
윤성권, 한여울, 이승진, 이은별, 이주희, 임소정, 양은주 (2020). 자살 유가족의 애도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요약.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9(4), 571-597. |
미소장 |
22 |
윤영미 (2020). 자살유가족으로 살아낸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평택대학교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3 |
윤영미, 차명호 (2018). 자살유가족의 자전적 내러티브를 통한 상담학적 합의와 과제. 상담학연구, 19(4), 109-123. |
미소장 |
24 |
이경미, 최연실 (2015). 자살자 유가족의 애도과정 경험에관한 연구. 가족과 가족치료, 23(4), 655-686. |
미소장 |
25 |
이근무, 김진숙 (2010). 자살자 가족들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2(2), 109-134. |
미소장 |
26 |
이하나, 안순태 (2015). 자살에 대한 한국 사회의 인식: 다큐멘터리에 재현된 ‘우리’와 ‘그들’. 보건사회연구, 35(4), 309-343. |
미소장 |
27 |
장성수 (1998). 자살유가족들에 대한 교회의 돌봄.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8 |
정상혁 (2005). 우리나라 자살의 사회경제적 비용부담에 관한 연구. 서울: 국립서울병원. |
미소장 |
29 |
최선재, 안현의 (2013). 상실 경험의 의미 재구성과 심리적적응이 관계. 상담학연구, 14(1), 323-341. |
미소장 |
30 |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2021). 자살률 통계. https://kfsp-datazoom.org에서 2022년 12월 23일 인출. |
미소장 |
31 |
홍영숙 (2017). 휴학 경험을 형성하는 지방대학 남학생의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질적탐구, 3(1), 1-28. |
미소장 |
32 |
APS (2004). 자살생존자 개념. https://www.aps.org에서 2022년 5월 2일 인출. |
미소장 |
33 |
Andriessen, K., Lobb, E., Mowll, J., Dudley, M., Draper, B., & Mitchell, P. B. (2019). Help-seeking experiences of bereaved adolescents: A qualitative study. Death Studies, 43(1), 1-8. |
미소장 |
34 |
Braun, V., & Clarke, V. (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3(2), 77-101. |
미소장 |
35 |
Bruner, J. (1986). Actual minds, possible worlds. Cambridge , MA: Harva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6 |
Clandinin, D. J ., & C onne lly, F. M. ( 2004). Narrative inquiry: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CA: John wiley & sons. |
미소장 |
37 |
Cvinar, J. G. (2005). Do suicide survivors suffer social stigma: A review of the literature. Perspectives in Psychiatric Care, 41(1), 14-21. |
미소장 |
38 |
DeGroot, M., & Kollen, B. (2013). Course of bereavement over 8-10 years in first degree relatives and spouses of people who committed suicide: Longitudinal community based cohort study. BMJ, 347, f5519. |
미소장 |
39 |
Durkheim, E. (2008). Suicide: A Study in Sociology. 황보종우 역 (2019). 자살론. 서울: 청아출판사. |
미소장 |
40 |
Fine, C. (1999). No Time to say Goodbye: Surviving the suicide of a Loved One. 김운하 역 (2012). 너무 이른작별: 자살 유가족, 그 남겨진 사람들의 이야기. 서울:궁리. |
미소장 |
41 |
Grumet, R. M. (1988). Bitter milk: Women and teaching. Amherst: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
미소장 |
42 |
Hall, B. J. (2011). The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Among Israeli Jews and Arabs: A Longitudinal Cross-lagged Panel Analysis. Doctoral dissertation, Ke nt S tate University. |
미소장 |
43 |
Jamison, K. R. (2000). Night Falls Fast. 이문희 역 (2004). 자살의 이해. 서울: 뿌리와 이파리. |
미소장 |
44 |
Kolves, K., & DeLeo, D. (2018). Suicide bereavement:Piloting a longitudinal study in Australia. British Medical Journal Open, 8(1), 1-6. |
미소장 |
45 |
Li, N., & Zhang, J. (2010). Influencing factors for depression among Chinese suicide survivors. Psychiatry Research, 178(1), 97-100. |
미소장 |
46 |
Maple, M., Cerel, J., Sanford, R., Pearce, T., & Jordan, J. (2017). Is exposure to suicide beyond kin associated with risk for suicidal behavior? A systematic review of the evidence. Suicide and Life Threatening Behavior, 47(4), 461-474. |
미소장 |
47 |
Prompili, M., Lester, D., DePisa, E., DelCasale, A., Tatarelli, R., & Girardi, P. (2008). Surviving the suicides of significant others: A case study. Grisis: The Journal of Crisis Intervention and Suicide Prevention, 29(1), 45-48. |
미소장 |
48 |
Provini, C., Everett, J. R., & Pfeffer, C. R. (2000). Adults mourning suicide: Self-reported concerns about bereavement, needs for assistance, and help-seeking behavior. Death Studies, 24(1), 1-19. |
미소장 |
49 |
Rubel, R. (2004). When a Client Dies. Psychoanalytic Social Work, 11(1), 1-14. |
미소장 |
50 |
Schneider, B., Grebner, K., Schnabel, A., & Georgi, K. (2011). Is the emotional response of survivors dependent on the consequences of the suicide and the support received? Grisis, 32(4), 186-193. |
미소장 |
51 |
Shields, C., Kavanagh, M., & Russo, K. (2017). A qualitative systematic review of the bereavement process following suicide. OMEGA: Journal of Death and Dying, 74(4), 426-454. |
미소장 |
52 |
Stroebe, M., & Schut, H. (2010). The dual process model of coping with bereavement: A decade on. OMEAGA:Journal of Death and Dying, 61(4), 273-289. |
미소장 |
53 |
Stroebe, M., Schut, H., & Finkenauer, C. (2001). The traumatization of grief? A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trauma-bereavement interface. The Israel Journal of Psychiatry and Related Sciences, 38(3-4), 185-201. |
미소장 |
54 |
VandeCreek, L., Mottram, K., & DeMey, K. (2016). Religion during suicide bereavement: Literature search results and recommendations for additional studies. Journal of Psychology and Christianity, 39(2), 155-162. |
미소장 |
55 |
Zisook, S., Shear, M. K., Reynolds, C. F., Simon, N. M., Mauro, C., Skritskaya, N. A., ... Qiu, X. (2018). Treatment of complicated grief in survivors of suicide loss: A HEAL re port. Th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79(2), 17m11592.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