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글은 우리 사회의 반(反)개신교 현상에 주목한다. 개신교와 관련하여 조그마한 소재 하나라도 던져지면 금방 온라인 공간은 화약고에 불이 붙은 듯 폭발적인 적대의 현장으로 전화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처럼 뚜렷한 갈등 현상으로서 한국 개신교에 적대하는 흐름은 이미 낯설지 않은 우리 사회의 단면이 되었고, 그것은 새로운 사회갈등의 진원으로서 바야흐로 현재진행형이다. 우리는 바로 여기에 초점을 맞춰 그 원인과 작동 메커니즘을 이론 및 역사의 차원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반개신교 현상을 종교장 내에서 발현되는 독특한 감정 아비투스의 산물로 정의하는 데서 출발하였다. 그런 다음 반개신교 현상이 왜 생겨나는지를 개념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한국 개신교를 팽창적 절대성이라는 이념형으로 규정하고, 이 팽창적 절대성을 감각적 차원과 접합된 한국인의 현대적 자아와 대비시켜 설명하였다. 그 핵심은 현대적 자아의 중핵이라고 할 수 있는 자율성, 그리고 그것을 이루는 개별적 자아 감각에 대한 팽창적 절대성의 침범이 바로 오늘날 한국사회 종교장 내 반개신교 갈등의 진원이라는 것이다.
Aggressive condemnation and denunciation of 'Protestantism' in the online space are now common. We tried to investigate the cause and mechanism of operation in terms of theory and history by paying attention to this anti-Protestant phenomenon in Korean society.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성호. 2020. 『한국기독교흑역사』. 짓다. | 미소장 |
2 | 김동춘. 2020. 『한국인의 에너지 가족주의』. 피어나. | 미소장 |
3 | 김민아. 2018. “한국 복음주의 사회운동의 분화와 개신교 뉴라이트의 등장.” 『한국기독교와 역사』48: 73-116. | 미소장 |
4 | 김성건. 2000. “한국의 보수적 개신교, 무속신앙 그리고 자본주의.” 『담론 201』3(1): 39-74. | 미소장 |
5 | 김성건. 2008. “9·11 테러 사태 이후 급부상한 한국판 기독교 시온주의에 관한 고찰.” 『현상과 인식』32(1/2): 38-58. | 미소장 |
6 | 김승호. 2021. “‘프레임’의 교육과정적 함의.” 『통합교육과정연구』15(2): 1-28. | 미소장 |
7 | 김영찬. 2006. 『근대의 불안과 모더니즘』. 소명출판. | 미소장 |
8 | 김장생. 2020. “한국의 근본주의 개신교와 동성애 혐오.” 『사회과학연구』27(특별): 99-128. | 미소장 |
9 | 김진호. 2018. “극우 개신교를 보는 청년들의 싸늘한 시선.” 『제3시대』139: 2-4. | 미소장 |
10 | 김현준. 2021. “‘성스러움의 과학’: 부르디외 종교사회학의 개념들과 방법론 고찰.” 『Asian Journal of Religion and Society』9(2): 1-47. | 미소장 |
11 | 김혜경. 2009. “박정희 체제하 “핵가족” 담론의 변화과정과 이원구조 연구: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사회와 역사』82: 169-212. | 미소장 |
12 | 박상언. 2015. “자본과 한국개신교의 친화력, 그리고 신학의 소거.” 『종교문화연구』25: 103-126. | 미소장 |
13 | 박수호. 2013. “사이버커뮤니케이션과 종교적 정체성, 그리고 사회갈등.” 『동양사회사상』27: 437-468. | 미소장 |
14 | 신경아. 2012. “서구사회 개인화 논의에 대한 여성주의적 고찰.” 『페미니즘 연구』12(1): 1-33. | 미소장 |
15 | 안소니 기든스(A. Giddens). 1991. 『포스트모더니티』. 이윤희·이현희 역. 민영사. | 미소장 |
16 | 안소니 기든스(A. Giddens). 2001. 『현대사회의 성·사랑·에로티시즘』. 배은경·황정미 역. 새물결. | 미소장 |
17 | 안소니 기든스(A. Giddens). 2010. 『현대성과 자아정체성』. 권기돈 역. 새물결. | 미소장 |
18 | 알랭 로랑(A. Laurent) 2001. 『개인주의의 역사』. 김용민 역. 한길크세주. | 미소장 |
19 | 어빙 고프만(E. Goffman). 2016. 『자아연출의 사회학』. 진수미 역. 현암사. | 미소장 |
20 | 울리히 벡(U. Beck). 1999. 『위험사회』. 새물결. | 미소장 |
21 | 윤신일·오세일. 2021. “한국 근본주의 개신교인의 ‘4대 혐오’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55(1): 39-88. | 미소장 |
22 | 이상철. 2019. “하나의 유령, 극우정치라는 유령이 한국개신교를 떠돌고 있다.”『제3시대』158: 2-9. | 미소장 |
23 | 이원규. 2002. “종교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한국교회와 근본주의.” 『종교연구』28: 29-67. | 미소장 |
24 | 이원규. 2019. 『종교사회학의 이해』. 나남. | 미소장 |
25 | 이진구. 2018. “종교권력으로서의 개신교.” 『황해문화』49-68. | 미소장 |
26 | 장수한. 2018. “한국 개신교의 성장과 근대화의 동시성(1960-1995).” 『복음과 실천』제 61집, 61-86. | 미소장 |
27 | 장형철. 2012. “혼성화 이론으로 바라본 한국 개신교의 성장과 감소: 새로운 개신교 문화담론을 향한 한 시도.” 『담론201』15(2): 135-158. | 미소장 |
28 | 장형철. 2019. “한국 개신교의 근본주의적 특성에 대한 종교 사회학적 고찰: 형성과 발전을 중심으로.” 『신학사상』184: 207-244. | 미소장 |
29 | 제프 굿윈 외(J. Goodwin et al.). 2012. 『열정적 정치: 감정과 사회운동』. 박형신·이진희 역. 한울아카데미. | 미소장 |
30 | 지그문트 바우만(Z. Bauman). 2022. 『액체현대』. 이일수 역. 필로소픽. | 미소장 |
31 | 최우영. 2006. “한국사회의 ‘근대’ 해석과 대중문화 지형의 변화: 한류를 계기로.”『담론 201』9(4): 75-103. | 미소장 |
32 | 최우영. 2009. “아프가니스탄 피랍 사태를 통해 본 한국 사회의 종교 갈등: 반개신교 담론의 기원과 해석.” 『사회와 이론』14: 313-351. | 미소장 |
33 | 피에르 부르디외(P. Bourdieu). 2006. 『구별짓기(上)(下)』. 최종철 역. 새물결. | 미소장 |
34 | 피에르 부르디외·로익 바캉(P. Bourdieu and L. Wacquant). 2015. 『성찰적 사회학으로의 초대: 부르디외 사유의 지평』. 이상길 역. 그린비. | 미소장 |
35 | 피터 버거(P. Berger). 1981. 『종교와 사회』. 이양구 역. 종로서적. | 미소장 |
36 | 홍찬숙. 2012. “한국사회의 압축적 개인화와 젠더범주의 민주주의적 함의: 1990년대를 중심으로.” 『여성과역사』17: 1-25. | 미소장 |
37 | Beck, Ulrich and Edgar Grande. 2010. “Varieties of second modernity: the cosmopolitan turn in social and political theory and research” The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61(3): 409-443. | 미소장 |
38 | Possamai-Inesedy, A. 2002. “Beck's Risk Society and Giddens' Search for Ontological Security: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Anthroposophical Society and the Assemblies of God” Australian Religion Studies Review 15(1):27-43. | 미소장 |
39 | Scheer, Monique. 2012. “Are Emotions a Kind of Practice(and is that what makes them have a history)? A Bourdieuian Approach to Understanding Emotion” History and Theory 51(2): 193-220. | 미소장 |
40 | Sin, Ray. 2009. “Emotionally Contentious Social Movements: A Tri-Variate Framework” Social Thought & Research 30: 87-116.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