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임철우, 『봄날 1』, 문학과지성사, 2006. | 미소장 |
2 | 임철우, 『봄날 2』, 문학과지성사, 2007. | 미소장 |
3 | 임철우, 『봄날 3』, 문학과지성사, 2010. | 미소장 |
4 | 임철우, 『봄날 4』, 문학과지성사, 2007. | 미소장 |
5 | 임철우, 『봄날 5』, 문학과지성사, 2010. | 미소장 |
6 | 18사료 편찬위원회, 『5.18광주민주화운동자료총서11권』, 1998. | 미소장 |
7 | 강인철, 『5・18 광주 커뮤니타스』, 사람의무늬, 2020. | 미소장 |
8 | 김주선, 「임철우 『봄날』의 재현형식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2016. | 미소장 |
9 | 김왕배, 『감정과 사회』, 한울아카데미, 2019. | 미소장 |
10 | 신진욱, 「사회운동의 연대 형성과 프레이밍에서 도덕감정의 역할 – 5.18 광주항쟁 팸플릿에 대한 내용분석」, 『경제와사회』 2007 봄호. | 미소장 |
11 | 서영채, 『죄의식과 부끄러움』, 나무나무, 2017. | 미소장 |
12 | 유경남, 「5.18항쟁 시기 대중의 감정과 저항」, 『인문사회21』, 제13권1호,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2022. | 미소장 |
13 | 최정기, 「5.18국가폭력으로 인한 죽음과 민중항쟁 ― 5・18 당시 장례준비 의식의 의미를 중심으로」, 사회와 역사 No.131, 한국사회사학회, 2021. | 미소장 |
14 | 최정운, 『오월의 사회과학』, 오월의봄, 2012. | 미소장 |
15 | 황옥자, 「‘5.18공동체’와 감정: 절대공동체에서 ‘합리적 감정 공동체’로」, 『사회와 철학』 제41집, 사회철학연구회, 2021. | 미소장 |
16 | 랜들 콜린스, 『사회적 삶의 에너지』, 한울 아카데미, 2009. | 미소장 |
17 | 마사 누스바움, 『감정의 격동 1』, 조형준 옮김, 새물결, 2015. | 미소장 |
18 | 마사 누스바움, 『감정의 격동 2』, 조형준 옮김, 새물결, 2015. | 미소장 |
19 | 마사 누스바움, 『정치적 감정』, 박용준 옮김, 글항아리, 2019. | 미소장 |
20 | Mic power, 『정서중심 인지치료』, 최윤경 외 옮김, 학지사, 2022. | 미소장 |
21 | 브라이언 마수미, 『가상계』, 조성훈 옮김, 갈무리, 2011. | 미소장 |
22 | 애드 트로닉, 「다층적 의미 형성과 의식 이론의 이자적 확장」, 다이애나 포샤 외, 『감정의 치유력』, 노경서 외 옮김, 눈출판그룹, 2017.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