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권동우⋅배혜진, 「‘쓰기 윤리’를 매개로 한 ‘디지털 리터러시 글쓰기’ 교육 과정 및 사례 연구」, 『교양교육연구』 14(1), 2020, 81-105. | 미소장 |
2 | 김종규⋅원만희, 「미래 대학 교양교육의 핵심 영역으로서 ‘다중 문해력(Multi-Literacy)’ 」, 『동서철학연구』 104, 2022, 307-330. | 미소장 |
3 | 김혜영, 「21세기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 교양기초교육으로서의 데이터 리터러시(Data Literacy) 분석」, 『교양교육연구』 14(6), 2020, 147-159. | 미소장 |
4 | 신동흔, 『살아있는 한국신화』, 한계레출판, 2014. | 미소장 |
5 | 윤예영, 「대학 교양 글쓰기와 문해력」, 『한국고전연구』 59, 2022, 119-151. | 미소장 |
6 | 이경덕, 『새롭게 만나는 한국신화』, 원더박스, 2020. | 미소장 |
7 | 이광만⋅소경자, 『그리스신화 속 꽃 스토리텔링』, 나무와문화연구소, 2021. | 미소장 |
8 | 이유미, 「디지털 시대 새로운 패러다임과 리터러시: 디지털 리터러시와 AI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교양학연구』 20, 2022, 35-60. | 미소장 |
9 | 이희용, 「대학 교양과목을 통한 미디어에 대한 수강생들의 인식: <미디어 리터러시와 창의적 소통>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5(6), 2021, 221-236. | 미소장 |
10 | 정희모, 「디지털 시대 주체 회복을 위한 대학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 『리터러시 연구』 12, 2015, 11-32. | 미소장 |
11 | 조현설, 『신화의 언어』, 한겨레출판, 2020. | 미소장 |
12 | 황상익, 『콜럼버스의 교환: 문명이 만든 질병, 질병이 만든 문명』, 을유문화사, 2014. | 미소장 |
13 | Culin, S., 『한국의 놀이』, 윤광봉 옮김, 열화당, 2003. | 미소장 |
14 | Gerste, R. D., 『질병이 바꾼 세계 역사』, 강희진 옮김, 미래의 창, 2020. | 미소장 |
15 | Hobbs, R., 『디지털⋅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학이시습, 2021.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