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 인문 교양 = Digital literacy education and liberal arts 박승억 p. 7-29

'인터넷 밈'을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방안 연구 = A study on digital literacy class methods using 'internet memes' 김병구 p. 31-62
코로나19 상황에서 대학생의 정서와 컴퓨터 사용 용이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self-efficacy on feelings and perceived ease of use on university students during Covid-19 오새내, 김효정, 조명실 p. 89-111
코로나 시대 한국 신화 속 꽃 상상력을 통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사례 연구 = The study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through the imagination of flowers in Korean mythology during the COVID-19 era : focusing on the myth liberal arts project class : 신화 교양 프로젝트 수업을 중심으로 표정옥 p. 63-85
교양 SW코딩 수업을 위한 전공계열별 교육 요구도 분석 =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by college majors for liberal arts SW coding classes : based on coding projects applying PBL : PBL을 통한 코딩 프로젝트 수행을 중심으로 구진희 p. 113-138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코칭공간 개발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etaverse-based coaching space for university extracurricular programs 윤희정 p. 139-167

자전소설의 1인칭 서술상황에 대한 재고 = The re-thinking on first-person narrative of autobiographical novel : focusing on Kim Yeon-soo’s 「Newyork Bakery」 and Gwon Yeo-seon’s 「The People of the K Family」 : 김연수 「뉴욕제과점」과 권여선 「K가의 사람들」을 중심으로 김민선 p. 169-191

참고문헌 (1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동우⋅배혜진, 「‘쓰기 윤리’를 매개로 한 ‘디지털 리터러시 글쓰기’ 교육 과정 및 사례 연구」, 『교양교육연구』 14(1), 2020, 81-105. 미소장
2 김종규⋅원만희, 「미래 대학 교양교육의 핵심 영역으로서 ‘다중 문해력(Multi-Literacy)’ 」, 『동서철학연구』 104, 2022, 307-330. 미소장
3 김혜영, 「21세기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 교양기초교육으로서의 데이터 리터러시(Data Literacy) 분석」, 『교양교육연구』 14(6), 2020, 147-159. 미소장
4 신동흔, 『살아있는 한국신화』, 한계레출판, 2014. 미소장
5 윤예영, 「대학 교양 글쓰기와 문해력」, 『한국고전연구』 59, 2022, 119-151. 미소장
6 이경덕, 『새롭게 만나는 한국신화』, 원더박스, 2020. 미소장
7 이광만⋅소경자, 『그리스신화 속 꽃 스토리텔링』, 나무와문화연구소, 2021. 미소장
8 이유미, 「디지털 시대 새로운 패러다임과 리터러시: 디지털 리터러시와 AI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교양학연구』 20, 2022, 35-60. 미소장
9 이희용, 「대학 교양과목을 통한 미디어에 대한 수강생들의 인식: <미디어 리터러시와 창의적 소통>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5(6), 2021, 221-236. 미소장
10 정희모, 「디지털 시대 주체 회복을 위한 대학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 『리터러시 연구』 12, 2015, 11-32. 미소장
11 조현설, 『신화의 언어』, 한겨레출판, 2020. 미소장
12 황상익, 『콜럼버스의 교환: 문명이 만든 질병, 질병이 만든 문명』, 을유문화사, 2014. 미소장
13 Culin, S., 『한국의 놀이』, 윤광봉 옮김, 열화당, 2003. 미소장
14 Gerste, R. D., 『질병이 바꾼 세계 역사』, 강희진 옮김, 미래의 창, 2020. 미소장
15 Hobbs, R., 『디지털⋅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학이시습, 202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