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대중(2009). 학습생애사. 교육비평, (26), 238-255. | 미소장 |
2 | 곽삼근(2002). 생태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한국 평생교육의 발전과정 분석. 평생교육학연구, 9(2), 99-125. | 미소장 |
3 | 김종서, 김신일, 한숭희, 강대중(2014). 평생교육개론. 파주: 교육과학사. | 미소장 |
4 | 김신일(2020). 학습사회. 서울: 학이시습. | 미소장 |
5 | 김지영(2019). 여성 고령자의 평생학습 양상과 노년기 학습의 의미. 노년교육연구, 5(1), 87-112. | 미소장 |
6 | 김영순, 김진희, 강진숙, 정경희, 정소민, 조진경, 조현영, 최승은, 정지현, 오세경, 김창아, 김민규, 김기화, 임한나(2018). 질적연구의 즐거움. 서울: 창지사. | 미소장 |
7 | 김현미(2015). 융합인재 교육에서 반성적 실천역량 향상을 위한 자기평가 활동 모형 개발.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 미소장 |
8 | 루쉰(2006). 뤼쉰 평전. 서울: 북폴리오. | 미소장 |
9 | 문이슬, 박상옥(2015). 학습동아리의 성장과정에 나타난 집단역동분석. 평생학습사회, 11(1), 139-170. | 미소장 |
10 | 박성희(2004). 생애사 연구를 중심으로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원미사. | 미소장 |
11 | 박성희(2006). 평생학습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생애사 연구. 평생교육학연구, 12(3), 73-95. | 미소장 |
12 | 배경임, 김영순(2019). 이주민지원센터 재직 개신교 성직자의 타자성 형성에 관한 생애사 연구. 교육문화연구, 25(5), 1053-1073. | 미소장 |
13 | 배지현(2012). 들뢰즈 철학에서의 ‘배움’의 의미탐색.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 미소장 |
14 | 변애경, 윤창국(2017). 생애사적 접근을 통해 본 여성 노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에 나타난 경험학습의 의미 탐색. 평생학습사회, 13(3), 1-32. | 미소장 |
15 | 신재은, 박미경, 나문주(2016).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수원:경기복지재단. | 미소장 |
16 | 윤여각, 양미경, 엄태동(2007). 교육 문제연구론.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17 | 윤여각(2009). 평생교육사 성장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평생학습 마을 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평생교육학연구, 16(3), 1-30. | 미소장 |
18 | 윤여각(2021). 평생교육론의 시선. 파주: 교육과학사. | 미소장 |
19 | 이기연(2006). 성인 여성학습의 학습체험에 관한 질적 연구사례: 방송대 주부 학생 사례.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0 | 이동성(2013). 생애사 연구방법론의 이론적 배경과 분석방법에 대한 탐구. 초등교육연구, 26(2), 71-96. | 미소장 |
21 | 이지혜, 홍숙희(2002). 학습동아리 활동에 나타난 학습역동: 성인학습동아리 사례를 중심으로. 평생교육학연구, 8(1), 177-200. | 미소장 |
22 | 이희영(2005). 사회학방법론으로서의 생애사 재구성: 행위이론의 관점에서 본 이론적 의의와 방법론적 원칙. 한국사회학, 39(3), 120-148. | 미소장 |
23 | 임도영, 송시현, 김성길(2020). 여성 마을활동가의 진로정체성 형성과정에 관한 생애사 연구. Andragogy Today, 23(3), 29-51. | 미소장 |
24 | 장상호(2005). 학문과 교육(중 1).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25 | 정재희(2012). 커뮤니티의 관점에서 본 마을만들기. 건축, 56(6), 57-65. | 미소장 |
26 | 정민승(2010). 성인학습자의 이해.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27 | 지희숙(2014). 마을 만들기 사업에서 평생학습매니저의 학습활동 분석.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8 | 최영아, 고형일(2012). 성인학습의 관점에서 본 생애사의 역할: 김지혜의 케이스를 중심으로. 교육연구, 35, 119-144. | 미소장 |
29 | 최인혁, 이영학(2015). 생애사 연구에 기반을 둔 개인기록화 연구. 한국기록 관리학회지, 5(4), 49-76. | 미소장 |
30 | 하선희, 강충열(2013). 칸트의 「교육학 강의」의 해석적 연구. 초등교육학연구, 20(2), 101-116. | 미소장 |
31 | 한준상(2009). 생의 가 배움.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32 | Belenky, M. F., Clinchy, B. M., Goldberger, N. R., & Tarule, J. M. (1997). Women's ways of knowing: The development of self, voice, and mind (10th ed.), New York, NY: Basic Books. | 미소장 |
33 | Deleuze, G., & Guattari, F. (1980). Mille plateaux: Capitalisme et schizophrenie 2. paris: Minuit. 김재인 역 (2001). 천 개의 고원: 자본주의와 분열 2. 서울: 새물결. | 미소장 |
34 | Denzin, N. K. (1989). Interpretive biography. Newbury Park, CA: Sage. | 미소장 |
35 | Dewey, J. (1939). Experience and education. New York, NY: Collier Books. 강윤중 역 (2018). 존 듀이경험과 교육. 고양: 배영사. | 미소장 |
36 | Dhunpath, R. (2000). Life history methodology: Narradigm regained.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studies in education, 13(5), 543-551. | 미소장 |
37 | Doewy, J. (2002). Experience and education. New York, NY: Collier Books. 박철환 역 (2002). 경험과 교육. 서울: 믿음사. | 미소장 |
38 | Friere, P. (1972b). Pedagogy of the oppressed. UK: Penguin, Harmonds worth. | 미소장 |
39 | Hesse, H. (1919). Demian: Die geschichte von emil sinclairs jugend. Germany, Berlin, Fischer Verlag. 전영애 역 (2009). 데미안. 서울: 믿음사. | 미소장 |
40 | Kang, D. J. (2015). Conclusion: From dal segno to crescendo. in D. J. Kang. Life and learning of Korean artists and craftsmen (pp. 133-147), New York, NY: Routledge. | 미소장 |
41 | Knowles, M. S. (1984). The adult learner: A neglected species. (3rd ed.). Houston, TX: Guif. | 미소장 |
42 | Kolb, D. A. (1984).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 미소장 |
43 | Merriam, S. B. (2009).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Jossey-Bass. | 미소장 |
44 | Merriam, S. B., Caffarella, R. S., & Baumgarther, L. M. (2020). Learning in adulthood: A comprehensive guide (3rd ed.). San Francisco, CA: Jossey-Bass. 기영화 외 역 (2009). 성인학습론.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 미소장 |
45 | Mezirow, J. (1991). Transformative dimension of adult learning. San Francisco, CA: Jossey-Bass. | 미소장 |
46 | Palmer, P. J. (2017). The courage to teach: Exploring the inner landscape of a teacher's life. New York, NY: John Wiley & Son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