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원격수업에 대한 예비교원의 인식 및 교수설계 역량 =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instructional design competencies on distance education / 서순식 ; 양희원 1

요약 1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방법 및 내용 2

II. 원격수업과 교사 역량 3

1. 원격수업 3

2. 교사 역량 3

III. 연구방법 4

1. 연구대상 4

2. 측정 도구 4

3. 연구절차 및 분석방법 5

IV. 연구결과 5

1. 예비교원의 전공, 학년, 성별 분포 분석 5

2. 코로나19 이후 참여한 수업 경험 분석 6

3. 원격수업 활용에 따른 교사 역할의 중요도와 시급성 비교 10

4. 원격수업 설계를 위해 요구되는 교사 역량에 대한 준비도 및 중요도 비교 11

V. 결론 및 제언 14

1. 결론 15

2.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16

참고문헌 17

Abstract 19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초등학교 교실 수업에서 교사의 발화에 대한 의사소통적 합리성 측정 도구 개발 = Development of a communication rationality measurement tool for teacher's speech in classroom instruction 황현석, 김민정 p. 1-20

보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여성의 공격성 변화과정에 관한 종단적 사례연구 = A longitudinal case study on the process of a change in aggression of a woma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박미경, 이순자 p. 21-58

보기
다문화 교양 교과 수강자의 전공계열, 학년, 성별에 따른 다문화 감수성 차이 분석 = Analysi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ccording to majors, grade and gender of multicultural liberal arts education students 전연홍 p. 59-74

보기
청소년의 미디어를 통한 기악학습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 of learning instrumental music through media in youth 박현진, 김민정 p. 75-98

보기
교육연구에서 질적데이터 수집을 위한 온라인 도구 활용 = The use of online tools for qualitative data collection in educational research 김수진, 도재우, 권수완, 양슬기, 어정인 p. 99-119

보기
토픽모델링을 통한 학교 밖 청소년 이슈 분석 = Study of out-of-school youth issues through topic modeling 전은정 p. 121-139

보기
원격수업에 대한 예비교원의 인식 및 교수설계 역량 =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instructional design competencies on distance education 서순식, 양희원 p. 141-159

보기
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수준별 수업의 효과 = The effect of ability grouping on students’ self-efficacy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 교사의 수업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송승원, 양수진 p. 161-184

보기
원격교육에서 학교공동체의식 함양 방안 탐색 = Exploring ways to foster a sense of school community in distance education 강은영 p. 185-207

보기
질적연구방법론 수강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Self-ethnography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course experience 안종순 p. 209-236

보기

참고문헌 (1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교육부 (2020. 3. 27.). 체계적인 원격수업을 위한 운영 기준안 마련. 교육부.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lev=0&statusYN=W&s=moe&m=020402&opType=N&boardSeq=80131 미소장
2 교육부 (2020. 4. 7.). 원격수업 출결 ・평가 ・기록 가이드라인 안내. 교육부.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lev=0&statusYN=W&s=moe&m=020402&opType=N&boar dSeq=80225 미소장
3 교육부 (2020). 도전이 만든 미래 2020 원격수업 운영 사례집. 교육부, 17개 시・도교육청. 미소장
4 강승모, 임경원, 강성구, 황인선, 김주희 (2020). 코로나19 이후 중등 특수학급 특수교사의 원격수업경험이 갖는 교육적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4), 675-704. http://doi.org/10.22251/jlcci.2020.20.24.675 미소장
5 김서연, 이유진, 이보리 (2021). 원격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수업모형의 적용과 효과: 사범대 예비영어교사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8(3), 119-148. http://doi.org/10.24211/tjkte.2021.38.3.119. 미소장
6 서순식, 정영식, 양희원, 이정표, 안서헌 (2021). 온・오프라인 환경에서 기초학력 지원 및 격차 해소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7 연합뉴스 (2020. 6. 22.) 학교 원격수업 만족도 교사>학생>학부모 순 https://www.yna.co.kr/view/AKR2020 0622105500063 미소장
8 이정연, 박미희, 소미영, 안수현 (2020). 코로나19와 교육: 학교구성원의 생활과 인식을 중심으로. 경기도교육연구원. 미소장
9 이지은 (2020). 코로나 19 상황에서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풀어내기.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8(3), 183-201. http://doi.org/10.25051/jner.2020.8.3.008 미소장
10 조용훈, 노미란, 성현주, 조경화, 신지영 (2021). 원격수업 관련 교사의 경험과 실제 –O초등학교 중심으로-. 학교와 수업연구, 6(2), 225-273. http://doi.org/10.23041/jsst.2021.6.2.009 미소장
11 조은순 (2020). 포스트 코로나시대 비대면 수업을 위한 교육공학의 역할과 과제. 교육공학연구, 36(3), 693-713. http://doi.org/10.17232/KSET.36.3.693 미소장
12 조일현, 서순식, 임병춘 (2006). e-러닝과 교수 과학. 아카데미프레스. 미소장
13 허희옥, 강신천 (2023). 인공지능융합교육 설계를 위한 교사 역량.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6(2) 게재예정. 미소장
14 홍선주, 안유미, 최영인 (2019). 미래학교 교사의 교수학습 역량 모델링. 교육문화연구, 25(3), 265-288. http://doi.org/10.24159/joec.2019.25.3.365 미소장
15 Ally, M. (2019). Competency profile of the digital and online teacher in future education.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and Distributed Learning, 20(2), 303-318. https://doi.org/10.19173/irrodl.v20i2.4206 미소장
16 Moore, M. G. (1989). Editorial : Three types of interaction. The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3(2), 1-6. https://doi.org/10.1080/08923648909526659 미소장
17 Beck, I., McKeown, M. G., Sandora, C., Kucan, L., & Worthy, J. (1996). Questioning the author: A year long classroom implementation to engage students in text. Elementary School Journal, 96, 385-414. https://doi.org/10.1086/461835 미소장
18 Kim, K., Jeon, I., & Song, K. (2021).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teachers and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interest in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6(8), 13-21. https://doi.org/10.9708/jksci.2021.26.08.01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