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칸트의 윤리학적 수행법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Kant's ethical ascetics / 노영란 1
요약 1
Ⅰ. 머리말 1
Ⅱ. 윤리학적 수행법의 목표 2
Ⅲ. 윤리학적 수행법의 성격과 내용 7
Ⅳ. 덕과 덕교육의 관점에서 본 윤리학적 수행법의 의의 14
Ⅴ. 맺음말 22
참고문헌 24
Abstract 26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노영란(2022), “칸트 덕론에서 윤리학적 방법론의 성격과 의의: 윤리학적 교수법을 중심으로”, 『철학논총』 109(3), 201-223. | 미소장 |
2 | 노영란(2020), “도덕적 강함으로서의 덕”, 『철학』 제145집, 57-81. | 미소장 |
3 | 사카베 메구미 외(2009), 『칸트사전』, 이신철 옮김, 서울: 도서출판 b. | 미소장 |
4 | 칸트 (2018), 『교육학』, 백종현 옮김, 파주: 아카넷. | 미소장 |
5 | 칸트 (2014), 『윤리형이상학정초』, 백종현 옮김, 파주: 아카넷. | 미소장 |
6 | 칸트 (2012), 『윤리형이상학』, 백종현 옮김, 서울: 아카넷. | 미소장 |
7 | 칸트 (2011),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 백종현 옮김, 서울: 아카넷. | 미소장 |
8 | 칸트 (2005), 『실천이성비판』, 백종현 옮김, 서울: 아카넷. | 미소장 |
9 | 허미화(1996), “덕은 가르쳐질 수 있는가: 칸트와 도덕교육의 방법”, 『칸트연구』 제2집, 285-316. | 미소장 |
10 | Baxley, Ann Margaret(2010), Kant’s Theory of Virtu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11 | Cohen, Alix(2016), “The Role of Feelings in Kant’s Account of Moral Educatio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Vol.50, No.4, 511-523. | 미소장 |
12 | Engstrom, Stephen(2002), “The Inner Freedom of Virtue”, in Mark Timmons ed., Kant’s Metaphysics of Morals: Interpretative Essay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89-315. | 미소장 |
13 | Herman, Barbara(2007), Moral Literacy, Cambridge & London: Harva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14 | Louden, Robert B.(2011), Kant’s Human Being,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15 | Merritt, Melissa(2018), Kant on Reflection and Virtu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16 | Merritt, Melissa(2017), “Sublimity and Joy: Kant on the Aesthetic Constitution of Virtue”, in Mattew C. Altman ed. The Palgrave Kant Handbook, Washington: Palgrave Macmillan, 447-467. | 미소장 |
17 | Morse, Jane Fowler(1998), “Edna, Epicurus, and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hought, Vol. 32, No.3, 241-255. | 미소장 |
18 | Surprenant, Chris W.(2016), Kant and the Cultivation of Virtue, London & New York: Routledge. | 미소장 |
19 | Surprenant, Chris W.(2014), “Kant’s Contribution to Moral Education”, in Klas Roth & Chris W. Surprenant eds., Kant and Education, New York & London: Routledge. | 미소장 |
20 | Surprenant, Chris W.(2010), “Kant’s Contribution to Moral Education: the Relevance of Catechistics”, Journal of Moral Education Vol. 39, No. 2, 165-174. | 미소장 |
21 | Timmons, Mark(2021), Kant’s Doctrine of Virtue: A Guid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2 | Wood, Allen W.(2008), Kantian Ethic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 미소장 |
23 | Zabzebski, Linda Trinkaus(2016), 『마음의 덕』, 장동익 역, 서울: 씨아이알.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