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김돈희는 근대기에 중추적 역할을 했던 서예가이다. 그는 조선미술전람회가 시작된 1922년부터 서부가 존속된 1931년까지 줄곧 심사원으로 활동하였다. 그는 조선미술전람회 서부 심사원으로는 유일하게 1회부터 10회까지 전 심사에 참여하며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이를 가능하게 했던 것은 조선총독부 중추원 촉탁직을 유지하며 권부의 그늘에 있었던 것이 큰 배경이 되었다.

지금까지 김돈희가 1910년 국권피탈 당시 체결된 〈한일병합조약〉 문서를 썼다고 전해져 그의 친일 전력으로 가장 먼저 거론되어 왔다. 그의 친일 전력 시비로 인해 근대기 서단의 대표적 서예가로서 김돈희의 면모는 그동안 거의 묻혀 왔다. 본고에서는 김돈희가 조약문을 썼다는 그간의 전언이 사실인지 살펴보았고, 나아가 근대적 미술 개념이 도입된 전람회에서의 그의 영향을 조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그 결과 김돈희가 조약문을 직접 필사했다는 기록은 어디에도 없었다. 조약문과 김돈희의 필적을 대조해보았지만 김돈희가 조약문을 썼다는 근거 역시 발견할 수 없었다. 다만 조약문 체결 당시 김돈희와 함께 대한제국 내각 문서과에서 근무했던 5인의 필적을 조사해 검토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김돈희는 조선미술전람회 심사를 통해 김돈희 계파를 형성하였다. 특히 북송 황정견에 바탕을 둔 그의 서풍은 조선미전에 입선하기 위한 하나의 모델이 되며 권력으로 작용하였다. 그 결과 김진민과 손재형 등 국내의 전문서예가는 물론, 조선총독부와 재조선 일본인 고위층 인사였던 葛城末治와 宇野宗一 등이 김돈희 계열로 두각을 나타내며 세력을 형성하였다. 이들의 세력화는 결국 서단의 획일화를 조장하는 동시에 작가들의 창작의지를 차단하며 서풍의 다양성을 막아섰고, ‘서’를 전통이라는 견고한 틀에 머물게 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나손본 『가사』의 성격과 시가사적 의미 = The characteristics and poetry-historical significance of Nassonbon's GaSa 김태웅 p. 1-27

단국대학 시절, 신동엽이 만난 고구려와 동학 : Dankook University, Goguryeo and Donghak with Shin Dong-yeop. 신동엽 연구 = 11 김응교 p. 29-54

한일 소화(笑話)의 인명(人名) 열거 방법 = A study on the method of enumerating person's names of Japanese and Korean comedic stories 금영진 p. 55-78

唐太宗의 고구려 침공과 水軍 = Emperor Taizong's failure to invade Goguryeo and the navy 徐榮敎 p. 79-102

신해혁명 이후 중국 東北地域 토지 문제를 둘러싼 갈등, 1911~1932 = Land problems and ethnic conflicts of Northeast China after the Chinese Revolution, 1911~1932 정세련 p. 103-119

한국고고학에서 철학적 개념의 검토 = A critical review of philosophical concepts in Korean archeology 공헌배 p. 121-143

조선미술전람회와 김돈희 = The Joseon Art Exhibition and Kim Donhee 유지복 p. 145-169

5세기 초 중국불교의 格義 克復과 修行論의 發展 : The 5th century Chinese Buddhism's overcoming 'Geyi(格義)' and developing cultivation theory : focusing on Seng-zhao(僧肇) / 僧肇를 中心으로 이호석 p. 171-186

동중서의 천인관계론 : Dongzhongshu's Tian-Ren relations theory : a conceptual system's decisive power in the perceptions of truth / 개념체계의 진리 인식 결정력 서영이 p. 187-201

참고문헌 (3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內閣印刷局 編, 『內閣職員錄』, 內閣印刷局, 1908. 미소장
2 조선총독부 편, 『朝鮮總督府及所屬官署職員錄』, 경성: 조선총독부, 1920. 미소장
3 중추원조사자료 「第五節 朝鮮語辭典ノ編纂」, 『朝鮮舊慣及制度調査沿革ノ調査』 第2冊, 朝鮮總督府中樞院. (https://db.history.go.kr/item/level.do?itemId=ju) 미소장
4 「韓日倂合條約」(奎23018·23019), 「覺書」(奎23159),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미소장
5 『경성일보』 미소장
6 『대한매일신보』 미소장
7 『매일신보』 미소장
8 『조선신문』 미소장
9 『조선일보』 미소장
10 『황성신문』. 미소장
11 김은호, 『書畵百年』, 중앙일보사, 1981. 미소장
12 장우성, 『畵脈人脈』, 중앙일보사, 1982. 미소장
13 성균관대학교 박물관 편, 『근묵』,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9. 미소장
14 한국미술연구소편, 『조선미술전람회 기사자료집』, 한국미술연구소, 2000. 미소장
15 홍선표, 『한국 근대미술사』, 시공사, 2009. 미소장
16 김원익, 「素筌 孫在馨 硏究」, 전남대학교 미술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1993. 미소장
17 김윤경, 「惺堂 金敦熙의 書藝硏究」, 원광대학교 미술학과 석사학위논문, 1998. 미소장
18 김정선, 「조선미술전람회 서부(書部)의 제도적 고찰」, 『한국근현대미술사학』 41,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21. 미소장
19 이가라시 고이치(五十嵐公一)(저), 이중희(역), 「조선미술전람회 창설과 書畵」, 『한국근현대미술사학』 12,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04, 347쪽. 미소장
20 이중희, 「조선미전 설립과 그 결과」, 『한국근현대미술사학』 15,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05. 미소장
21 윤대원, 「일제가 불법, 조작한 병합조약」, 『100년 전의 기억, 대한제국』, 국립고궁박물관, 2010. 미소장
22 이태진·이상찬, 『조약으로 본 한국 병합 ‒ 불법성의 증거들』, 동북아역사재단, 2010. 미소장
23 이영학, 「대한제국시기의 기록관리」, 『기록학연구』 19, 한국기록학회, 2009. 미소장
24 윤범모, 「일제 강점하의 서예와 金瑱珉」, 『동악미술사학』 9, 동악미술사학회, 2008. 미소장
25 전상모, 「전람회를 통해 본 한국 근·현대의 서예」, 『동양예술』 46, 한국동양예술학회, 2020. 미소장
26 정병호, 「일본근대문학, 예술논쟁연구(1) ‒ 『서예는 미술이 아니다』 논쟁과 근대적 예술개념의탄생」, 『일본학보』 55, 한국일본학회, 2003. 미소장
27 高橋三七 編, 『事業と鄕人』 제1집, 京城: 實業タイムス社: 大陸硏究社, 1939. 미소장
28 藤原楚水, 『圖解書道史』 제4권, 東京: 省心書房, 1975. 미소장
29 比田井鴻 編, 『朝鮮書道菁華』, 東京: 書學院後援會, 1931. 미소장
30 芸術新聞社 編, 『近代日本の書』, 東京: 芸術新聞社, 1984. 미소장
31 奥山錦洞 著, 『日本書道史』, 東京: 啓文社書店, 1927. 미소장
32 井原雲涯 編, 『鳴鶴先生叢話』, 東京: 昭文堂, 1925. 미소장
33 朝鮮實業新聞社 編, 『(朝鮮在住內地人)實業家人名辭典』, 京城: 朝鮮實業新聞社, 191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