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TBL을 활용한 석사과정 예비 한국어교원 대상 한국문학교육론 수업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eaching Korean literature for master's course Korean language teachers using TBL 박준형 p. 1-12
중남미 주요 4국 현지 신문의 한류 기사 동향과 의미 = Local newspapers in four major Latin American countries trend and meaning of Korean wave articles :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시기 손상희 p. 13-30
박카스 광고를 활용한 한국 가치문화 수업 방안 : A proposal for the Korean value culture class using Bacchus ads : focusing on Chinese learners at the intermediate level / 중국인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신정아 p. 31-45
중국 내 한국학 교육의 현황과 전망 =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Korean studies education in China 이길경, 배영환 p. 47-59
스토리텔링과 대학 의사소통 교육 = Storytelling and university communication education 송주현 p. 61-69
웹툰의 단군 신화 활용 양상과 그 의미 : The use of Dangun myth and its meaning in the webtoon : focusing on the webtoon <Barojabneun Soonaebo> and <Hositamtam> / 웹툰 <바로잡는 순애보>와 <호시탐탐>을 중심으로 박성혜 p. 71-86
문화권에 따라 차별화되는 게임 번역 전략 : Game translation strategie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cultures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Korean and English translations of the culture specific items in game ‘Genshin Impact’ / 게임 ‘원신’의 문화소 한국어 및 영어 번역 비교를 중심으로 유일범, 마승혜 p. 87-98
BTS 유튜브 콘텐츠의 네트워크 효과 : Network effect of BTS YouTube contents : focusing on network analysis of YouTube contents / 유튜브 콘텐츠 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임연수 p. 99-109
과학성취도와 글로벌 역량을 예측하는 ICT의 활용 변인과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 : ICT utilization variables and gender differences in predicting science achievement and global competency by randomforest / 랜덤포레스트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 이경숙 p. 111-125
모빌리티(Mobility) 창(窓)으로 본 박지원의 「열하일기」 = Park Jiwon's 「The Jehol Diary」 through the mobility window 박명수, 김현주 p. 127-140
파울루 프레이리의 '프락시스 교육학' 탐구 = Research into Paulo Freire's ‘pedagogy of praxis’ 손종현, 공정선 p. 141-157
교양교육과정 중 기초교양 영역 학생의견조사 연구 : A study on student opinion survey in the basic liberal arts area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 focused on humanities and sciences / 인문, 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전종희 p. 159-173
대학의 온라인 수업에서 정서조절과제 적용에 대한 효과 분석 = The effects of classes on the application of emotional regulation task in online classes 김은예 p. 175-191

실시간 쌍방향 수업 참여도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lass participation on class satisfaction in real-time interactive classes : mediating effect of task value / 과제가치의 매개효과 고은선 p. 193-205
인게이지드 러닝 기반 지역사회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linkage extracurricular program based on engaged learning : focused on international students at S university / S대학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이지야, 이영진 p. 207-225
소설 속 초상화, 김동인의 「광화사」 미자나빔(mise en abyme) 연구 = A study on ‘mise en abyme’ in Dongin Kim’s Gwanghwasa 황혜영 p. 227-235
1970년대 김주영 대중소설의 '남성성' 구현양상과 의미 = Aspect and meaning of ‘masculinity’ in Kim Joo-young’s popular novels : <목마 위의 여자>, <위대한 악령>, <위험한 남자>를 중심으로 이화진 p. 237-251
한국 시의 확장성을 위한 시 창작 교육 방법 제언 = Suggestions on the method of poetry creative education for the scalability of Korean poetry 박송이 p. 253-262
김석주의 공안파(公安派)문학 연구 = Kim Seok-joo's literary study of the Gonganpa 김수현 p. 263-272
영화 <미몽>과 1936년의 경성 = “Mimong(Sweet Dream)” and Keijo in 1936 염복규 p. 273-286
해심밀경 분별유가품의 구성 체계 고찰 : The structural system of Vikalpayogaparivarto nāma ṣaṣṭamah in Saṃdhinirmocana Sūtra : focusing on 'phags pa dgong pa nges par 'grel pa'i mod'i rnam par bshad pa / 촉 로 루이갤챈의 성해심밀경해설 미륵장을 중심으로 조인숙 p. 287-299
미술가브랜드가 미술소비자의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artist brand on words of mouth of art consumers :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attachment / 브랜드 애착의 매개효과 이민하 p. 301-313

디지털미디어 시대 시노그래피(Scenography) 관점의 무대미술 전공교과목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atre art major subjects from the perspective of scenography in the digital media era : focusing on theatre props design / 소품디자인을 중심으로 김가은, 박진원 p. 315-328
베르네의 해양화에 나타난 바다의 소리풍경 연구 = A study on the soundscape of the sea appeared in Vernet's marine paintings 노시훈 p. 329-341
앨런 존스의 마네킹 작품에 나타난 페티시적 구성과 융합적 의미 = The fetishistic composition and convergent meaning in Alan Jones' mannequin works 신정재 p. 343-354
강제징용으로 시베리아 포로가 되었던 한 남성 독거노인의 생애사 재구성 = Reconstruction of the life history of an elderly man who lives alone experienced forced labor in Siberia 김서현 p. 355-370
강제송환 탈북민의 인권침해 개선방안 고찰 = A study on measures to improve human rights violations of North Korean defectors forcibly repatriated 김윤영, 양철호 p. 371-382
경기도의회와 청년세대 간 소통 활성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vitalization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Gyeonggido Assembly and the youth generation 정영인 p. 383-395
정치적인 몸 연구로서 장애미학과 신체 탐구로서의 장애예술 연구 = The study of disability aesthetics as politics bodies and disability arts as the explore of the sensible : 미적 신체로서 김환과 김현우 작가 분석을 중심으로 최창희 p. 397-410
소비자의 목표지향성, 일상적인 경험적 창조 특성, 행동의도의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nsumers' goal orientation, ordinary experiential creation characteristics, and behavioral intentions 정윤희 p. 411-419
성별에 따른 재가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 Gender differences in predictors of the use of home-help services of long-term care insurance : using Andersen’s health behavior model / 앤더슨 모형을 적용하여 장국염, 홍석호 p. 421-434
마음챙김명상을 포함한 NLP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정서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 Efficacy of NLP group counselling program including mindfulness meditation on self-report emotion and resilience 신재은 p. 435-446
조절초점 광고가 예방적 건강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regulatory focus advertising on preventive health behavior intention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Hofstead value of the receptor / 수용자의 호프스테드 가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속양, 전종우 p. 447-465
중장년 기혼 여성의 팬덤 활동에 미치는 가족의 영향 연구 = The influence of family on the fandom activities of middle-aged married women 유미래, 안성아 p. 467-481
건강보험 보장성강화를 위한 신포괄수가제가 병원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the new diagnosis related group-based system for reinforcement of health insurance coverage on hospital management performance 한수영, 윤준영 p. 483-495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파워포인트 말뭉치에 나타난 요약형 문체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summary style analysis of foreign students' Korean PowerPoint corpus 이혜경 p. 497-509
파라과이 한인 현황과 문화적응 유형 = Current status of Koreans in Paraguay and types of acculturation 구경모 p. 511-519

학문적 이론의 실용성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 조사 : A study of Kore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practicality of an academic theory : focusing on the Chomsky’s theory / 촘스키(Chomsky) 이론을 중심으로 송효원 p. 521-534
실존의 의미를 생성하는 개인의 몸 : An individual’s body that produces the meaning of existence : proposal for a different approach to The Stranger for humanities education / 인문교양교육을 위한 ‘이방인’ 다르게 접근하기 제안 서영희 p. 535-544
문화다양성 정책 관점에서의 한국연극 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trends in Korean theatre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diversity policies 황아람 p. 545-556
아이돌 캐릭터가 캐릭터 및 아이돌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idol characters on character and idol loyalty : focused on BT21 case / BT21을 중심으로 전상미, 김선영 p. 557-577
축제 서비스품질이 긍정적 감정,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festival service quality on positive emotion and favorability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emotion / 긍정적 감정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서진숙 p. 579-594
중간층의 정치이념이 취약층복지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the political ideology of the middle class on the attitude to the welfare for the vulnerable : 빈곤개인책임인식, 근로유인태도, 증세반대태도의 순차적 매개효과 김희자 p. 595-607
가드닝이 노인의 체질량지수와 골밀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gardening on changes in body mass index and bone mineral density in the elderly 양성은, 윤숙영, 김미진, 김종혁, 김정화, 박성애 p. 623-634
향토민요 <영남모노래>의 분석을 통한 문화유산적 가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through local folk song <Yeongnam rice-planting Song> analysis 김민지 p. 635-645
대학생의 학사경고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f academic probation experience : focusing on the case of university A / 지방 사립 A 대학을 중심으로 이지영 p. 647-660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관계 분석 = Analysis of longitudinal effects of college students' stress on career indecision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 이동욱 p. 661-670
창의적 협업을 기반으로 한 융복합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based on creative collaboration 하진 p. 671-687
드라마를 통해 본 청년기 자폐성 장애인의 삶 연구 : A study on the young adults life of people with autistic spectrum disability through drama : focusing on Extraordinary attorney Woo /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를 중심으로 김세령, 남세현 p. 689-708
농촌공동체 정신에 대한 무형유산적 고찰 : A study on the intangible heritage of rural community spirit : focused on the novel, H[w]ang Man-geun Said Like This / 소설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를 중심으로 강윤형 p. 709-719

영화 <드라이브 마이 카(Drive My Car)>(2021)에 구현된 소설 「드라이브 마이 카」와 희곡 「바냐 아저씨」의 조응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coordination of the novel "Drive My Car" and the play "Uncle Banya" revealed through the movie "Drive My Car"(2021) : focusing on character and narrative analysis / 캐릭터의 특성과 서사 분석을 중심으로 최영희, 이현경 p. 721-735
5.18 소재 연극에 나타난 희극성의 양상과 그 의미 : Aspects of comic representation in a play of the May 18th democratic uprising : focusing on The Champon and The Blue Days / <짬뽕>, <푸르른 날에>를 중심으로 백소연 p. 737-747
<노매드랜드>의 노마디즘과 디아스포라 = Nomadism and diaspora in ‘Nomadland’ 강옥희 p. 749-758
조선시대 국장(國葬)에 사용된 말(馬)의 성격과 의미 :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horses used for the state funeral of Joseon Dynasty : focusing on Juksan-ma and Jukan-ma, Cheongsuan-ma and Jasuan-ma / 죽산마(竹散馬)와 죽안마(竹鞍馬), 청수안마(靑繡鞍馬)와 자수안마(紫繡鞍馬)를 중심으로 엄소연 p. 759-773

공연예술 서비스 실패 유형이 서비스 회복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erforming arts service failure types on service recovery :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and emotional response compensation / 인지 및 감정반응보상의 매개효과 권혁인, 채준영 p. 775-786
미용전공 청소년 학업동기, 성장 마인드셋, 학업기대, 학업 적응 간의 관계검증 = 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motivation, growth mindset, academic expectations, and academic adaptation of beauty majors 이주영, 권기한 p. 787-799
신기술 분야 학문분류체계 제안 연구 = A study of establishing an academic classification system on new technology field 노영희, 김태훈, 곽우정 p. 801-822
현대미술에 나타난 장소성과 미술교육에서의 적용방안 연구 : A study on placeness in contemporary art and the application of art education : focused on works of Janet Cardiff and George Bures Miller‘s / 자넷 카디프와 조지 뷔어스 밀러의 작업을 중심으로 박정선 p. 823-834

광주광역시 월곡동 고려인마을 내 고려인 자영업자의 사회적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ocial network of Koryoin self-employed in Wolgok-dong, Gwangju 김향희 p. 609-622

참고문헌 (2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민남(2017). 교육은 교육방법론의 실천이다, 프레이리의 사상과 실천, 살림터. 미소장
2 김부태(2016). 파울루 프레이리 교육론의 정치적 성격, 교육철학, 60, 1-38. 미소장
3 손종현(2019). 침묵문화를 해체하는 프레이리의 교육실천론,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연구, 36, 85-123. 미소장
4 심성보(2002). 프레이리, 위대한 교육사상가들 Ⅵ, 연세대 교육철학연구회 편, 교육과학사. 미소장
5 이경숙(2017). 배움과 가르침의 변증법, 프레이리의 사상과 실천, 살림터. 미소장
6 이성우(2006). 프레이리의 변증법적 교육론, 두 가지 측면으로 바라보기,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7 이훈도(2017). 저항과 희망의 문제제기 교육, 프레이리의 사상과 실천, 살림터. 미소장
8 정유성(1994). 사람, 삶, 되살림, 한울출판사. 미소장
9 조세형(2005). 프레이리의 대화교육론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0 홍은광(2010). 파울로 프레이리, 한국 교육을 만나다, 학이시습. 미소장
11 Apple, Geoff Whitty, 長尾彰夫(2009) 편, 批判的敎育學と公敎育の再生. 정영애, 이명실, 고경임, 김미란 역(2011), 비판적 교육학과 공교육의 미래, 원미사. 미소장
12 Freire, P.(1973). Pedagogy of the Oppressed, 남경태 역(2007), 페다고지, 그린비. 미소장
13 Freire, P.(1981). Education for Critical Consciousness, 채광석 역(1985), 교육과 의식화, 중원문화. 미소장
14 Freire, P.(1994). Pedagogy of Hope, 교육문화연구회 역(2002), 희망의 교육학, 아침이슬. 미소장
15 Freire, P.(1998). Teacher as Cultural Workers–Letters to those who dare teach, 교육문화연구회 역(2000), 프레이리의 교사론, 아침이슬. 미소장
16 Freire, P. 한준상 역(2003), 교육과 정치의식: 문화, 권력, 그리고 해방, 한국학술정보. 미소장
17 Freire, P.(2007) Pedagogy of Freedom: Ethics, Democracy, and Civic Courage, 사람대사람역(2007), 자유의 교육학, 아침이슬. 미소장
18 Giroux, H, A.(1088). Teachers as Intellectuals Toward a Critical Pedagogy of Learning, 이경숙 역(2001), 교사는 지성인이다, 아침이슬. 미소장
19 Roberts, P.(2000). Education, Literacy, and Humanization, 사람대사람 역(2021), 교육,문해 그리고 인간화, 빈빈책방. 미소장
20 Shor, I.(1987). Freire for the Classroom, 사람대사람역(2015), 교실을 위한 프레이리, 도서출판 살림터. 미소장
21 Shor I & Freire P.(1987). A Pedagogy for Liberation, 김시원 역(1988), 해방을 꿈꾸는 교육, 도서출판 이웃. 미소장
22 Bernstein, P. J.(1971). Praxis and Ac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미소장
23 Freire, P.(1973). Pedagogy of the Oppressed, Harrmondsworth: Penguin. 미소장
24 Freire, P.(1993). Pedagogy of the City, New York: The Continuum Publishing Company. 미소장
25 Gadotti, M.(1996). Pedagogy of Praxis, A Dialetical Philosophy of Educ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미소장
26 Grollios. G.(2009). Paulo Freire and The Curriculum, London: Paradigm Publishers. 미소장
27 McLaren, P.(2000). Paulo Freire’s Pedagogy of Possibility, Freirean Pedagogy, Praxis, and Possibilities, New York & London: Falmer Press. 미소장
28 Roberts, p.(2000). Education, Literacy, and Humanization, Connecticut: Bergin & Garvey. 미소장
29 Taylor, P. V.(1993). The Texts of Paulo Freire,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