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민남(2017). 교육은 교육방법론의 실천이다, 프레이리의 사상과 실천, 살림터. | 미소장 |
2 | 김부태(2016). 파울루 프레이리 교육론의 정치적 성격, 교육철학, 60, 1-38. | 미소장 |
3 | 손종현(2019). 침묵문화를 해체하는 프레이리의 교육실천론,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연구, 36, 85-123. | 미소장 |
4 | 심성보(2002). 프레이리, 위대한 교육사상가들 Ⅵ, 연세대 교육철학연구회 편, 교육과학사. | 미소장 |
5 | 이경숙(2017). 배움과 가르침의 변증법, 프레이리의 사상과 실천, 살림터. | 미소장 |
6 | 이성우(2006). 프레이리의 변증법적 교육론, 두 가지 측면으로 바라보기,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7 | 이훈도(2017). 저항과 희망의 문제제기 교육, 프레이리의 사상과 실천, 살림터. | 미소장 |
8 | 정유성(1994). 사람, 삶, 되살림, 한울출판사. | 미소장 |
9 | 조세형(2005). 프레이리의 대화교육론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 | 홍은광(2010). 파울로 프레이리, 한국 교육을 만나다, 학이시습. | 미소장 |
11 | Apple, Geoff Whitty, 長尾彰夫(2009) 편, 批判的敎育學と公敎育の再生. 정영애, 이명실, 고경임, 김미란 역(2011), 비판적 교육학과 공교육의 미래, 원미사. | 미소장 |
12 | Freire, P.(1973). Pedagogy of the Oppressed, 남경태 역(2007), 페다고지, 그린비. | 미소장 |
13 | Freire, P.(1981). Education for Critical Consciousness, 채광석 역(1985), 교육과 의식화, 중원문화. | 미소장 |
14 | Freire, P.(1994). Pedagogy of Hope, 교육문화연구회 역(2002), 희망의 교육학, 아침이슬. | 미소장 |
15 | Freire, P.(1998). Teacher as Cultural Workers–Letters to those who dare teach, 교육문화연구회 역(2000), 프레이리의 교사론, 아침이슬. | 미소장 |
16 | Freire, P. 한준상 역(2003), 교육과 정치의식: 문화, 권력, 그리고 해방, 한국학술정보. | 미소장 |
17 | Freire, P.(2007) Pedagogy of Freedom: Ethics, Democracy, and Civic Courage, 사람대사람역(2007), 자유의 교육학, 아침이슬. | 미소장 |
18 | Giroux, H, A.(1088). Teachers as Intellectuals Toward a Critical Pedagogy of Learning, 이경숙 역(2001), 교사는 지성인이다, 아침이슬. | 미소장 |
19 | Roberts, P.(2000). Education, Literacy, and Humanization, 사람대사람 역(2021), 교육,문해 그리고 인간화, 빈빈책방. | 미소장 |
20 | Shor, I.(1987). Freire for the Classroom, 사람대사람역(2015), 교실을 위한 프레이리, 도서출판 살림터. | 미소장 |
21 | Shor I & Freire P.(1987). A Pedagogy for Liberation, 김시원 역(1988), 해방을 꿈꾸는 교육, 도서출판 이웃. | 미소장 |
22 | Bernstein, P. J.(1971). Praxis and Ac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 미소장 |
23 | Freire, P.(1973). Pedagogy of the Oppressed, Harrmondsworth: Penguin. | 미소장 |
24 | Freire, P.(1993). Pedagogy of the City, New York: The Continuum Publishing Company. | 미소장 |
25 | Gadotti, M.(1996). Pedagogy of Praxis, A Dialetical Philosophy of Educ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 미소장 |
26 | Grollios. G.(2009). Paulo Freire and The Curriculum, London: Paradigm Publishers. | 미소장 |
27 | McLaren, P.(2000). Paulo Freire’s Pedagogy of Possibility, Freirean Pedagogy, Praxis, and Possibilities, New York & London: Falmer Press. | 미소장 |
28 | Roberts, p.(2000). Education, Literacy, and Humanization, Connecticut: Bergin & Garvey. | 미소장 |
29 | Taylor, P. V.(1993). The Texts of Paulo Freire,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