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다시점 디스플레이는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적절한 시점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어 시청자에게 입체적인 효과를 줄 수 있는 가장 실용적인 기술로 여겨진다. 하지만 대부분의 다시점 디스플레이는 평면 형태로서 시청자가 전방의 제한된 시야각 내에서만 입체 영상을 볼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청 영역을 360도로 확장하여 완전 시차 시차를 제공하는 구 대칭성을 가지는 볼 렌즈를 적용한 광학계로 구성된 구형 디스플레이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에서 각각의 프로젝션 렌즈는 소형 모듈화하여 어레이로 구성할 수 있으며 모듈 어레이를 볼 렌즈 주위에 구면으로 배치하여 수직, 수평 시차를 제공할 수 있다. 적용된 광학 모듈을 통해 볼 렌즈 내부 중앙에 이미지가 결상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의 시야창을 통해 선명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따라서 볼 렌즈의 구면 수차를 극복하여 넓은 시야 부피를 제공하는 360도 완전 시차 디스플레이의 실현 가능성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A multi-view display is regarded as the most practical technology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effect to a viewer because it can provide an appropriate viewpoint according to the observer's position. But, most multi-view displays with flat shapes have a disadvantage in that a viewer watches 3D images only within a limited front viewing angle. In this paper, we proposed a spherical display using a ball lens with spherical symmetry that provides perfect parallax by extending the viewing zone to 360 degrees. In the proposed system, each projection lens is designed to be packaged into a small modular array, and the module array is arranged in a spherical shape around a ball lens to provide vertical and horizontal parallax. Through the applied optical module, the imag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all lens, and 3D contents are clearly imaged with the size of about 0.65 times the diameter of the ball lens when the viewer watches them within the viewing window. Therefore, the feasibility of a 360-degree full parallax display that overcomes the spherical aberration of a ball lens and provides a wide field of view is confirmed experimentally.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J. Hong, Y. Kim, H.-J. Choi, J. Hahn, J.-H. Park, H. Kim, S.-W. Min, N. Chen, and B. Lee, "Three-dimensional display technologies of recent interest: principles, status, and issues," Appl. Opt. 50 (34), H87–H115 (2011). doi: https://doi.org/10.1364/AO.50.000H87 | 미소장 |
2 | M. S. Banks, D. M. Hoffman, J. Kim, and G. Wetzstein, "3D Display,"Annu. Rev. Vis. Sci. 2, 397–435 (2016). doi: https://doi.org/10.1146/annurev-vision-082114-035800 | 미소장 |
3 | N. A. Dodgson, "Autostereoscopic 3D display," Computer. 38 (8), 31-36 (2005). doi: https://doi.org/10.1109/MC.2005.252 | 미소장 |
4 | D. McAllister, "Stereo & 3D display technologies, display technology," in Encyclopedia of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J.P. Hornak Ed. (Wiley, US, 2002), Vol.2, pp. 1327–1344. doi: https://doi.org/10.1002/0471443395.img093 | 미소장 |
5 | W.-X. Zhao, Q.-H. Wang, A.-H. Wang, and D.-H. Li, "Autostereoscopic display based on two-layer lenticular lenses," Opt. Lett. 35 (24), 4127-4129 (2010). doi: https://doi.org/10.1364/OL.35.004127 | 미소장 |
6 | H. Kim, J. Hahn, and H-J. Choi, "Numerical investigation on the viewing angle of a lenticular three-dimensional display with a triplet lens array," Appl. Opt. 50 (11), 1534-1540 (2011). doi: https://doi.org/10.1364/AO.50.001534 | 미소장 |
7 | H. Deng, C. Chen, M. Y. He, J. J. Li, H. L. Zhang, and Q. H. Wang, "High-resolution augmented reality 3D display with use of a lenticular lens array holographic optical element," J. Opt. Soc. Am. 36 (4), 588-593 (2019). doi: https://doi.org/10.1364/JOSAA.36.000588 | 미소장 |
8 | Y. Kim, K. Hong, and B. Lee, "Recent researches based on integral imaging display method," 3D Research, 1 (1), 17-27 (2010). doi: https://doi.org/10.1007/3DRes.01(2010)2 | 미소장 |
9 | H. Hua, B. Javidi, "A 3D integral imaging optical see-through head-mounted display," Opt. Express. 22 (11), 13484-13491 (2014). doi: https://doi.org/10.1364/OE.22.013484 | 미소장 |
10 | X. Xia, Z. Zheng, X. Liu, H. Li, and C. Yan, "Omnidirectional-view three-dimensional display system based on cylindrical selectivediffusing screen," Appl. Opt. 49 (26), 4915-4920 (2010). doi: https://doi.org/10.1364/AO.49.004915 | 미소장 |
11 | T. Yendo, T. Fujii, M. Tanimoto, and M. P. Tehrani, "The Seelinder:Cylindrical 3D display viewable from 360 degrees," J. Vis. Commun. Image Represent. 21 (5-6), 586-594 (2010). doi: https://doi.org/10.1016/j.jvcir.2009.10.004 | 미소장 |
12 | G. Choi, H. Jeon, H. Kim, and J. Hahn, "Horizontal-parallax-only light-field display with cylindrical symmetry," Proc. SPIE 10556, 16-21 (2018). doi: https://doi.org/10.1117/12.2287096 | 미소장 |
13 | D. Heo, S. Lim, G. Lee, G. Choi, and J. Hahn, "Full-Parallax Multiview Generation with High-Speed Wide-Angle Dual-Axis Scanning Optics," Appl. Sci. 12 (9), 4651 (2022). doi: https://doi.org/10.3390/app1209461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