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풍납토성 V: 삼표산업 사옥 신축예정부지 발굴조사 보고서』. | 미소장 |
2 | 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풍납토성 XI: 풍납동 197번지(舊 미래마을)시굴 및 발굴보사보고서』. | 미소장 |
3 | 국립중앙박물관, 1994, 『암사동 I』. | 미소장 |
4 | 국립중앙박물관,2002, 『법천리 II』. | 미소장 |
5 | 국립중앙박물관·국립춘천박물관, 2009, 『법천리 III』. | 미소장 |
6 | 권오영, 2011, 「漢城百濟의 時間的 上限과 下限」 『百濟硏究』 53. | 미소장 |
7 | 권오영,2015, 「풍납토성 축조 전야」 『풍납토성, 건국의 기틀을 다지다 - 2015 한성백제박물관 특별전시회』, 한성백제박물관. | 미소장 |
8 | 권오영·권도희·한지선, 2004, 『風納土城 IV: 慶堂地區 9號 遺構에 대한 發掘報告』, 한신大學校博物館叢書第19冊, 한신대학교박물관·현대옵셋인쇄사. | 미소장 |
9 | 김원룡·임효재·박순발, 1988, 『몽촌토성 동남지구발굴조사보고』, 서울대학교박물관. | 미소장 |
10 | 김원룡·임효재·박순발·최종택, 1989, 『夢村土城 : 西南地區發掘調査報告』, 서울大學校 博物館. | 미소장 |
11 | 김원룡·임효재·임영진, 1987, 『夢村土城東北地區發掘報告』, 서울대학교박물관. | 미소장 |
12 | 김원룡·임효재·임영진, 1989, 『石村洞 1·2號墳』, 서울大學校博物館. | 미소장 |
13 | 김은정, 2021, 「영산강유역 옹관묘의 장제와 피장자 검토」 『호남고고학보』 68. | 미소장 |
14 | 김일규, 2007, 「한성기 백제토기 편년재고」 『선사와 고대』 27. | 미소장 |
15 | 김일규,, 2014, 「웅진기 백제양식 연대시론」 『백제문화』 vol. 10, no. 50. | 미소장 |
16 | 몽촌토성발굴조사단, 1984, 『정비·복원을 위한 몽촌토성발굴조사보고서』. | 미소장 |
17 | 몽촌토성발굴조사단, 1985, 『夢村土城發掘調査報告』. | 미소장 |
18 | 박순발, 2001, 『한성백제의 탄생』, 서경. | 미소장 |
19 | 박순발, 2008, 「몽촌토성 유구의 분포와 성격」 『한성백제사 3 왕도와 방어체계』, 서울특별시 역사편찬위원회. | 미소장 |
20 | 박중균, 2022, 「몽촌토성 발굴 4주년의 성과와 과제」 『백제 왕도 한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 한성백제박물관 개관 10주년 기념 특별전시 연계 학술대회. | 미소장 |
21 | 박중균·이혁희, 2018, 「몽촌토성 북문지 일원 삼국시대 고고자료의 양상과 성격」 『백제학보』 26. 백제학회. | 미소장 |
22 | 박중균·이혁희·강현정·강혜림·홍주희·허수정·한지수, 2016, 『몽촌토성Ⅰ-2013·2014년 북문지 내측 발굴조사 보고서』, 한성백제박물관. | 미소장 |
23 | 박중균·이혁희·한기민·김서경·강서은·김은경·박지효·박한울·최재도·한지수·홍정우, 2021, 『몽촌토성 IV – 2015-2018년 북문지 일원 발굴조사: 삼국시대 1-』, 한성백제박물관. | 미소장 |
24 | 서울대학교박물관, 1986, 『석촌동 3호분 동쪽 고분군 정리 조사보고』. | 미소장 |
25 | 석촌동발굴조사단, 1987, 『석촌동 고분군 발굴조사보고』, | 미소장 |
26 | 소재윤, 2012, 「4~5세기 풍납토성의 도성 경관」 『백제학보』 8. 백제학회. | 미소장 |
27 | 신희권, 2014, 「백제 한성도읍기 도성 방어 체계 연구」 『鄕土서울』 86. | 미소장 |
28 | 유병하, 1997, 「부안 죽막동유적의 해신과 제사: 제사양상의 비교 검토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9 | 윤세영·이홍종, 1994, 『미사리 5권』, 미사리선사유적발굴조사단·경기도공영개발사업단. | 미소장 |
30 | 이동준·조인규, 2018, 『양주 태봉산 보루 III, IV – 고구려유적 태봉산 보루 3, 4차 발굴조사 보고서』, 겨레문화유산연구원. | 미소장 |
31 | 이보람, 2022, 「백제 개로왕 시기 도성의 경관 변화」 『2022년 제21회 쟁점백제사 학술회의. 한성백제의 도성과 지방성』, 한성백제박물관. | 미소장 |
32 | 이선복·양시은·김준규·조가영·이정은, 2015, 『연천 무등리 2보루』, 서울대학교박물관·연천군. | 미소장 |
33 | 이선복·조가영, 2015, 『석촌동고분군 III』, 서울대학교박물관 학술총서 21. | 미소장 |
34 | 이성준, 2017, 「한성기 백제 도성의 개발방식 연구 - 풍납동 197번지 유적(舊미래마을재건축조합부지)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고고학보』 102. | 미소장 |
35 | 이혁희, 2019, 「백제 한성기 도성지역 경관의 변화 — 마한 백제국에서 고구려 점령기까지」 『한국고고학보』111. | 미소장 |
36 | 이혁희, 2022, 「몽촌토성의 축조기술에 대한 검토」 『백제 왕도 한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 한성백제박물관 개관10주년 기념 특별전시 연계 학술대회. | 미소장 |
37 | 임영진, 1987, 『몽촌토성의 연대와 성격』, 제11회 한국고고학대회 발표문. | 미소장 |
38 | 임영진, 1993, 「백제초기 한성시대 고분에 관한 연구」 『한국고고학보』 30. | 미소장 |
39 | 임영진, 1995, 「한성백제시대 고분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0 | 임영진, 2019, 「서울 석촌동 집단토광묘의 구조와 축조배경」 『백제학보』 30. 백제학회. | 미소장 |
41 | 정치영, 2021, 「석촌동 1호분 북쪽 연접적석총의 구조와 성격」 『고고학』 Vol. 20 No. 2, 중부고고학회. | 미소장 |
42 | 정치영·윤정현·최진석·김은경·신화영·이영민·한지수·황다운, 2019, 『서울 석촌동 고분군 I - 1호분 북쪽연접적석총 1 -』 ,한성백제박물관 백제학연구소. | 미소장 |
43 | 정치영·윤정현·성기열·황다운·강다혜·허수정·홍주희·박한울, 2020, 『서울 석촌동 고분군 II - 1호분 북쪽연접적석총 2-』, 한성백제박물관 백제학연구소. | 미소장 |
44 | 정치영·윤정현·강다혜·김다영·성기열·황다운·홍주희, 2021, 『서울 석촌동 고분군 III -1호분 북쪽 연접적석총 3-』, 한성백제박물관 백제학연구소. | 미소장 |
45 | 조가영, 2012, 「석촌동 고분군의 축조 양상 검토–고분 분포를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보』 75. | 미소장 |
46 | 중앙문화재연구원 편, 2013, 『마한 백제의 분묘문화 I』, 진인진. | 미소장 |
47 | 차용걸·박중균, 2002, 『淸原 南城谷山城 試掘調査 報告書』, 충북대학교박물관. | 미소장 |
48 | 최종택, 2002, 「夢村土城 內 高句麗遺蹟 再考」 『韓國史學報』 12호. | 미소장 |
49 | 하대룡, 2022, 「화장 프로세스 모델링을 통해 본 석촌동 고분군의 화장과 그 의미」, 제 46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문. | 미소장 |
50 | 한성백제박물관·서울대학교박물관, 2013, 『몽촌토성 발굴 30주년 기념 특별전시-백제의 꿈, 왕도한산 전시도록』. | 미소장 |
51 | 한성백제박물관, 2019, 『몽촌토성 북문지 일원 발굴조사 완료 약보고서』, 한성백제박물관 백제학연구소. | 미소장 |
52 | 한성백제박물관, 2022, 『한성백제박물관 개관 10주년 기념 특별전시 - 왕도한성, 풍납동 토성과 몽촌토성 전시도록』. | 미소장 |
53 | 홍승연, 2022a, 「한성백제 왕성 운영에 관한 고고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4 | 홍승연, 2022b, 「몽촌토성 추정 분묘 유구의 성격 검토」 『한성백제박물관 개관 10주년 기념 특별전시 - 왕도한성, 풍납동 토성과 몽촌토성 전시도록』, 한성백제박물관. | 미소장 |
55 | 白井克也 1992, 「ソウル·夢村土城出土土器編年試案」 『東京大学考古学研究室研究紀要』 第11号. | 미소장 |
56 | Brown James A. 1981. The search for rank in prehistoric burials .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57 | Holiday V. T. and Gartner W. G. (2007). Methods of soil P analysis in archaeology.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4. | 미소장 |
58 | Mikołajczyk Łukasz, Ilves Kristin, May Johnny, Sveinbjarnarson Óskar Gísli, Milek Karen (2015). Use of phosphorus mapping in assessing coastal activity zones of an Icelandic multiperiod site of Vatnsfjörður.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 59(), 1–9. | 미소장 |
59 | Sarris A., Galaty M. L., Yerkes R. W., Parkinson W. A., Gyucha A., Billingsley D. M., Tate R. (2004). Geophysical prospection and soil chemistry at the Early Copper Age settlement of Vésztó-Bikeri, Southeastern Hungary , 31(7), 0–939.: | 미소장 |
60 | Saxe A. 1971. Social Dimensions of Mortuary Practices in a Mesolithic Population from Wadi Halfa, Sudan. Memoirs of the Society for American Archaeology . (25). | 미소장 |
61 | Sims J. T., Sharpley A. N., Pierzynski G. M., Westermann D. T., Cabrera M. L., Powell J. M., Daniel T. C., Withers P. J. A. (2005). Phosphorus: Agriculture and the Environment, Agronomy Monograph 46,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Madison.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