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제수가 자연수인 소수의 나눗셈 계산 방법의 교육에 대한 논의 = On teaching calculation methods for (decimal numbers)÷(whole numbers) / 임재훈 1
Abstract 1
Ⅰ. 서론 2
Ⅱ. 소수의 나눗셈에 대한 국내의 기존 논의 3
Ⅲ. (소수)÷(자연수)의 몫을 구하는 여러 가지 방법의 구조화 5
Ⅳ. 우리나라의 (소수)÷(자연수) 계산 방법 교육 양상의 비판적 고찰 7
1. 자연수 등분제 계산 방법 확장하기의 교육 7
2. 최소 단위소수의 개수 생각하기의 교육 8
3. 분수의 나눗셈으로 고치기의 교육 9
Ⅴ. 결론 11
REFERENCES 13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Byun, H. H. (2005). A didactical analysis of the decimal fraction concept.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변희현 (2005). 소수 개념의 교수학적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Jin, S. H., & Park, M. G. (2016). An anaylsis on the sequences and methods of multiplication and division with decimals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7(2), 55-75. 진성현, 박만구 (2016).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에서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 지도 순서 및 방법 분석. 한국초등교육, 27(2), 55-75. | 미소장 |
3 | Kang, H. G., & Byun, H. H. (2003). The hitsorical origin and significance of decimal fraction.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16(3), 69-76. 강흥규, 변희현 (2003). 소수의 역사적 기원과 의의. 한국수학사학회지, 16(3), 69-76. | 미소장 |
4 | Kang, M. B. (2021). Methods of teaching elementary mathematics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Paju: Geobooks. 강문봉 (2021).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위한 초등수학 지도방법. 파주: 지오북스. | 미소장 |
5 | Kim, B. J., & Ryu, S. R. (2011). An anaylsis of the PCK of etachers and their educational practice about division of decimal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5(3), 533-557. 김방진, 류성림 (2011). 소수 나눗셈에 대한 교사의 PCK와 실제 수업의 분석한, 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3), 533-557. | 미소장 |
6 | Kim, C. S., Jun, Y. B., & Roh, E. H. (2011). The division algorithm ofr the finite decimals. The Mathematical Education, 50(3), 311-329. 김창수, 전영배, 노은환 (2011). 유한소수에서의 나눗셈 알고리즘. 수학교육, 50(3), 311-329. | 미소장 |
7 | Kim, J. W. (2017). An action research on instruction of division of fractions and division of decimal numbers: Focused on mathematical connection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7(3), 351-373. 김정원 (2017). 수학의 내적 연결성을 강조한 5학년 분수 나눗셈과 소수 나눗셈 수업의 실행 연구.수학교육학연구, 27(3), 351-373. | 미소장 |
8 | Kwon, S. I. (2011). An analysis on the process of students’conceptual understanding in the concept-centered teaching of division with decimals. [Master’s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권상임 (2011). 소수 나눗셈의 개념적 이해를 위한 지도 및 이해 과정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9 | Lee, H. Y. (2021). Exploring the issues and improvements of the quotient and the reminder of the decimal division.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24(2), 103-114. 이화영 (2021). 소수 나눗셈의 몫과 나머지에 대한 논점과 개선 방안.초등수학교육, 24(2), 103-114. | 미소장 |
10 | Lee, Y. M., & Park, S. S. (2011). The effect of the estimation strategy on placing decimal point in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decimal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5(1), 1-18. 이연미, 박성선 (2011) 어림하기를 통한 소수점 찍기가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에 미치는 효과.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1), 1-18. | 미소장 |
11 | Ministry of Education (2015). Mathematics 5-2. Seoul: Chunjae Education. 교육부 (2015). 수학 5-2. 서울: 천재교육. | 미소장 |
12 | Ministry of Education (2019a). Mathematics 6-1. Seoul: Chunjae Education. 교육부 (2019a). 수학 6-1. 서울: 천재교육. | 미소장 |
13 | Ministry of Education (2019b). Mathematics teacher’s guidebook 6-1. Seoul: Chunjae Education. 교육부(2019b). 수학 6-1 교사용 지도서. 서울: 천재교육. | 미소장 |
14 |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1). Mathematics 5-2. Seoul: Doosan Donga.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 5-2. 서울: 두산동아. | 미소장 |
15 | Moon, B. S., & Lee, D. H. (2014). An anaylsis on the students' understanding in concept and operations of decimal fraction.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8(2), 237-255. 문범식, 이대현 (2014). 초등학생들의 소수 개념과 그 연산에 대한 이해도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2), 237-255. | 미소장 |
16 | Pang, J. S., & Kim, J. H. (2006). An anaylsis of connection between errors and prior knowledge in decimal calculations of 6th grade students. The Mathematical Education, 45(3), 275-294. 방정숙, 김재화 (2006).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소수 계산 오류와 선행지식 간의 연결 관계 분석 및 지도방안 탐색. 수학교육, 45(3), 275-294. | 미소장 |
17 | Pang, J. S., & Kim, S. J. (2007). An anaylsis on the process of conceptual understanding of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the multiplication of decimal with base-ten block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7(3), 233-251. 방정숙, 김수정 (2007). 십진블록을 활용한 소수의 나눗셈 지도에서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개념적 이해 과정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7(3), 233-251. | 미소장 |
18 | Song, K. Y., & Pang, J. S. (2008). An anaylsis of pre-servi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decimal calculation.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2(1), 1-25. 송근영, 방정숙 (2008) 소수연산에 관한 예비초등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2(1), 1-25. | 미소장 |
19 | Thanheiser, E. (2009).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ptions of multidigit whole number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0(3), 251-281.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