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2022년 개정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진로교육 내용을 분석하는 데에 있었다. 이를 위하여 ‘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삼아 교육과정 문서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2년 통합교과 교육목표는 진로교육과 관련성이 높고, 일, 직업, 진로(교육)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련된 성취기준이 많았다. 다만, 진로교육의 자기 이해, 일과 직업 세계 이해 및 진로 탐색 영역에 편중되었다. 둘째, 2015년 통합교과의 진로교육 내용은 ‘우리 마을’이라는 하나의 주제로 3개의 성취기준이 제시되었지만, 2022년 통합교과의 진로교육 내용은 여러 영역에 분산하여 4개의 성취기준이 제시되었다. 셋째, 2022년 통합교과의 진로교육은 창의적 체험활동의 진로 활동과 연관성은 높았으나 그 차별성은 부족하였다. 또 통합교과의 진로교육은 일의 가치와 태도에 관한 성취기준이 부족하였다. 넷째, 2022년 통합교과 진로교육과 실과교과의 진로교육은 내용 영역의 관련성은 있지만, 성취기준 간의 연계성과 계열성이 부족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하여, 초등 통합교과의 진로교육 활성화와 초등 진로교육 체계화를 위한 방안, 그리고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윤주, 안이환(2016). 초등학교 중학년 교과서의 진로 교육 내용 분석. 초등상담연구, 15(1), 57-76. | 미소장 |
2 | 강충렬, 정광순(2009). 미래형 초등통합교육과정 개정 방향. 통합교육과정연구, 3(2), 19-41. | 미소장 |
3 | 교육과학기술부(2009).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 [별책 18호]. | 미소장 |
4 | 교육부(2015a).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 | 미소장 |
5 | 교육부(2015b).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5]. | 미소장 |
6 | 교육부(2015c).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안전한 생활 포함).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42]. | 미소장 |
7 | 교육부(2015d). 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 미소장 |
8 | 교육부(2022a).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1]. | 미소장 |
9 | 교육부(2022b).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22-33호 [별책 2]. | 미소장 |
10 | 교육부(2022c).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40]. | 미소장 |
11 | 교육부(2022d).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15]. | 미소장 |
12 | 교육부(2022e).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10]. | 미소장 |
13 | 교육인적자원부(2007). 특별활동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8-79호 [별책 18호]. | 미소장 |
14 | 김봉환, 김은희, 김효원, 문승태, 방혜진, 이지연 외(2017). 진로교육개론 (한국생애개발상담학회 진로진학상담총서 01). ㈜사회평론아카데미. | 미소장 |
15 | 김석우, 최태진(2007). 교육연구방법론. 학지사. | 미소장 |
16 | 김세영(2022). 2022 개정 초등통합교과용 도서의 개발 방향 탐구. 통합교육과정연구, 16(3), 1-23. | 미소장 |
17 | 김수민, 김재호(2021).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 6학년 교과서에 나타난 진로교육 내용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5), 57-72. | 미소장 |
18 | 김승호(1999). 제 7차 교육과정에서의 초등학교 통합교과의 성격. 초등교육연구, 13(1), 47-65. | 미소장 |
19 | 김은정(2018). 초등 실과교육에서의 교과통합 진로교육 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0), 1211-1233. | 미소장 |
20 | 노철현(2014). 2009 개정 초등 통합교과 교육내용 구성방식에 관한 비판적 고찰: 특징과 향후 과제. 한국초등교육, 25(1), 115-131. | 미소장 |
21 | 류상희(2012). 실과 교과서에 제시된 진로교육 내용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5(4), 1-21. | 미소장 |
22 | 류상희(2015). 실과 교과통합형 진로교육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실과교육연구, 21(4), 41-56. | 미소장 |
23 | 박채형(2012).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변천. 통합교육과정연구, 6(1), 195-213. | 미소장 |
24 | 윤인경, 변미혜(2013). 초등학교 교과서의 김치 관련 내용 분석과 교과 통합 진로교육 방안 연구. 직업교육연구, 32(1), 141-160. | 미소장 |
25 | 이종원, 이경진(2017). 초등통합교과의 통합에 관한 시론적 논의. 통합교육과정연구, 11(2), 27-46. | 미소장 |
26 | 이주영(2020). 초등학교 1, 2학년 통합교과 시도용 지도서에 나타난 놀이 활동 분석. 초등교육학연구, 27(2), 47-67. | 미소장 |
27 | 이지은(2019). 초등학교 통합교과 실행 개선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7(1), 223-245. | 미소장 |
28 | 이혜인, 김재호(2016). 초등학교 5, 6학년 교과서에 나타난 진로교육 내용분석. 실과교육연구, 22(1), 149-169. | 미소장 |
29 | 장석민, 한승희, 임재석, 서혜경(1985). 진로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30 | 장석민(2001). 진로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화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미소장 |
31 | 장현진(2019). 미래 직업 변화와 현장 요구에 따른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방향 및 실과교과에서의 전개 방안 탐색 연구. 실과교육연구, 25(3), 165-189. | 미소장 |
32 | 전애영, 손현동(2015).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1학년 교과서에 나타난 진로교육 관련 내용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4), 181-207. | 미소장 |
33 | 정광순(2007). 2007년 개정 초등 통합교과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교육과정연구, 25(4), 81-104. | 미소장 |
34 | 정광순(2009). 주제 중심의 초등통합교과 교육의 구현 가능성 탐색. 통합교육과정연구, 3(1), 35-58. | 미소장 |
35 | 정광순(2015). 2015 초등통합교과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일 고찰. 통합교육과정연구, 9(1), 1-18. | 미소장 |
36 | 정광순(2022). 2022 개정 초등통합교과 교육과정 1차 시안개발 연구. 2022 개정 초등통합교과 교육과정 시안개발 연구토론회 자료집. | 미소장 |
37 | 정미경(2011). 초등학교 실과 가정교육 영역에서의 진로교육방안. 실과교육연구, 17(4), 51-80. | 미소장 |
38 | 정미경, 안남규(2001). 초등실과교과에서의 진로교육 내용분석에 관한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논총, 17(3), 103-125. | 미소장 |
39 | 정철영(2011).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실과교육연구, 17(4), 1-30. | 미소장 |
40 | 조붕환(2011). 초등학교 2007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에 나타난 직업 분석. 초등교육연구, 24(1), 85-109. | 미소장 |
41 | 조붕환(2019).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형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방향. 교육논집, 56(4), 132-149. | 미소장 |
42 | 조윤주(2019). 초등 실과 교과서의 ‘진로교육’ 단원 분석–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실과교육연구, 25(2), 179-194. | 미소장 |
43 | 차배근(2004). 사회과학연구방법. 세영사. | 미소장 |
44 | Herr, E. L., Cramer, S. H., & Niles, S. G. (2013).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through the lifespan: Systematic approaches (6th ed.). Pearson. | 미소장 |
45 | Paisley, P. O., & Hubbard, G. T. (1994). Developmental school counseling programs: From theory to practice.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 미소장 |
46 | Zunker, V. G. (2006). Career counseling: A holistic approach (7th ed.). Thomson Brooks/Cole.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