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이민자가 한국사회 구성원으로서 적응・자립에 필요한 기본 소양 함양을 위한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사회 이해’ 과정의 상시 운영 방안을 제언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해 장기간의 KIIP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문헌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내용: KIIP 0-4단계는 ‘한국어와 한국문화’, 5단계는 ‘한국사회 이해’ 기본・심화이며 비자 변경과 영주・국적 취득에 중요한 과정이지만 한정된 예산으로 연 3학기 운영에 야간・주말 수업도 적어 확대 운영이 요구된다. 4단계까지는 TOPIK 등의 연계 인정이 가능하나 5단계 ‘한국사회 이해’는 다른 인정 방법이 없고 일하는 이민자・외국인도 많아 KIIP 참여에 제약이 많다. 이에 5단계 ‘한국사회 이해’의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활용한 상시 운영 방안이 필요하다.

결론 및 제언: 현행 교육 시간과 동일한 ‘한국사회 이해’ 강의 콘텐츠를 제작하여 이를 수강함으로써 과정을 수료하는 상시 운영이 이루어지면 참여 기회가 확대되어 KIIP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 함의가 있다.

This study is to suggest a permanent operation method for the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course of the KIIP of the Ministry of Justice for immigrants to cultivate basic knowledge necessary for adaptation and self-reliance as a member of Korean society. For this purpose,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long-term KIIP field experience. KIIP Levels 0-4 ar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nd Level 5 is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Basic/Advanced), which is an important process for visa change, permanent residence and nationality acquisition. However, with a limited budget, it is operated three semesters a year, and there are few evening and weekend classes, so expansion of operation is required. Until the fourth stag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OPIK, etc. However, there is no other recognition method in the 5th stage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And there are many immigrants and foreigners working, so there are many restrictions on participation in KIIP.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permanent operation plan using the online lecture contents of the 5th stage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that if the contents of the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course, which is the same as the current education time, are produced and taken and the course is completed, participation opportunities will be expanded and KIIP activation can be expecte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체육전공 대학생의 실패공포, 진로신념과 그릿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failure, career beliefs and grit for sports college students : focused on participation in problem-based learning (PBL) / 문제중심학습(PBL) 참여 중심으로 이영림, 강현욱 p. 1043-1058

SWOT 분석을 통한 소쇄원의 문화유산 경영전략 =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strategy of Soswaewon through SWOT analysis 이은정, 양정무, 윤영주 p. 1059-1072

사회복지사의 실천역량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에 관한 연구 =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on the practical competency of social worker 이재경, 박은아 p. 1073-1088

예비유아교사의 교육봉사에 대한 인식과 의미 =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and meaning of educational service 이하정 p. 1089-1099

원격근로 환경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영향요인의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f influencing factors for successful operation of remote work environment 임명성 p. 1101-1116

혐오 관련 유튜브 콘텐츠에 대한 토픽모델링 = Topic modeling of hate-related YouTube contents 임연수 p. 1117-1127

오픈마켓환경, 배송서비스품질, 신뢰가 식품구매자의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open market environment, delivery service quality, and trust on food buyers' repurchase intention 장우진, 나상균 p. 1129-1144

Counselors'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effects on counseling = 장애인에 대한 상담사의 태도와 상담에 미치는 영향 Mookyong Jeon p. 1145-1156

항공기 고유성 지각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aircraft authenticity 정은유 p. 1157-1168

중학교 무용 문화예술교육 경험가치가 수업만족과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experience value of middle school da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on class satisfaction and continuation intention 조선하, 한혜린, 문종숙 p. 1169-1180

复合文化空间中的超链接特性分析研究 =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hypertext characteristics in complex cultural space 조수영, 원영기, 윤갑근, 정기석 p. 1181-1192

초임부의 성생활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sexual life of primigravida 홍미숙, 김문정 p. 1193-1208

차현숙 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서사와 여성 문제의 극복 = Narratives of love and overcoming the woman's issue in Cha Hyun-sook's novel 황유정, 방재석 p. 1209-1218

인문치료 기반 학업상담에서 내담자의 자기수용 사례 연구 = A study on the self-acceptance of clients in humanities treatment-based learning counseling 고혜진 p. 1219-1234

유튜브를 활용한 대학 인문교양 수업의 실제 = A practice of using YouTube in college liberal arts classes 김문주, 노현선 p. 1235-1247

진로교육 경험을 가진 고등학생들의 진로교육과 진로인식에 대한 인식 분석 = Awareness analysis on career education and career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career education experience 김소라 p. 1249-1262

영상 자막에서의 인유 번역 = Translation of allusion in subtitles 김순영, 배유진 p. 1263-1277

예비유아교사 대상 부모교육 교과목 내용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의 요구 = Daycare center directors and teachers' demand regarding parent education subject content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김정원, 최소린 p. 1279-1294

학부과정 상담자의 상담역량 척도 개발 = Development of counseling competency scale for undergraduate counselors 김훈희, 조남정 p. 1295-1309

특수교육대상자 음악치료에 대한 부모인식 조사 = A survey of the parents' perception on music therapy for person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박성은, 김성희 p. 1311-1326

온라인 학습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주관적 지각 관련 연구 : A study on subjective perception of online learning support program : focusing on K-MOOC learning method contents / K-MOOC 활용 학습법 콘텐츠를 중심으로 박혜진, 차승봉 p. 1327-1338

초등학생 유튜버 담화의 다중모드 수사 전략 분석 = Analysis of multimodal rhetorical strategies of elementary student Youtubers' discourse 손희연 p. 1339-1353

대학도서관의 교육문화콘텐츠 지역연계 및 활성화 방안 = Regional connection and vitalization of educational and cultural contents in university libraries 안하은, 지윤호 p. 1355-1368

网站标志设计的多样性表现研究 = Research on diversity of portal site logo design 杨翩, 张宰旭 p. 1369-1378

원어민 영어수업에 대한 예비초등영어교사들의 인식 연구 = Pre-service elementary English teachers' perceptions on English lectures of native-English speakers 윤택남 p. 1379-1389

직장인 생애주기에 따른 직업가치관이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job values o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ife cycle of office workers 이남, 윤선아 p. 1391-1406

정동적 노동으로서의 팬 번역 : Fan translation as affective labour : a case study of the ARMY's translations of BTS song lyrics / 아미의 방탄소년단 노래 가사 번역을 중심으로 이세련 p. 1407-1422

청소년의 친구갈등과 내재화문제,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 Verify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s with friends, internalizing problem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s in adolescent 이향림, 이진향 p. 1423-1438

자발적 긱워커(Gig Worker)의 일에 대한 인식 탐색 : Exploring the perception of voluntary gig workers' work : through the perspective of actor-network theory / 행위자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이효경, 김성우, 오희정, 유영만 p. 1439-1453

하브루타 학습법과 노트작성이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Havruta learning method and note-taking on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정성란 p. 1455-1468

가덕도의 문화유산과 관광, 그리고 환경 정의 = Gadeokdo heritage tourism and environmental justice 조정민, 김선주, 우은주 p. 1469-1479

청소년 수련활동의 실태와 선호도에 따른 성과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performance of youth training activities according to preference 조진호 p. 1481-1496

대학생의 귀인 방식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업적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attribution type on academic self-regulation :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진성조, 이진실 p. 1497-1507

의대생의 성격유형(MBTI)에 따른 블렌디드 해부학 실습의 만족도와 학업성취도 연구 = A study on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blended anatomy cadaver dissection practice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 (MBTI) of medical students 하예지, 김건호, 김동원, 이경율, 임선주 p. 1509-1524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영어수준별 영어학습전략 활용 패턴 연구 = The study on patterns of English learning strategy use according to L2 proficiency through network analysis 황명환, 이희경 p. 1525-1540

이민자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사회 이해' 과정의 상시 운영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permanent operation method of Korea immigrant and integration program (KIIP)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강덕구, 이지현 p. 1541-1555

과학소설을 활용한 페미니즘 교육 = Feminism education based on science fiction 김경옥 p. 1557-1569

신체감시와 섭식절제행동 : Body surveillance and restrained eating : the mediating effects of body shame / 신체수치심의 매개효과 김문정 p. 1571-1580

가상 인플루언서에 대한 감성반응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motional response to virtual influencers 김민정 p. 1581-1591

주한 미국 공보원의 「백로」 번역 속 민주적 여성 표상 연구 = A study on the translation of "A White Heron" by the USIS and its representation of democratic women 김예진 p. 1593-1606

중·한 신조어 '-族'류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zhu(족) type Sino-Korean new words 김은희 p. 1607-1619

코로나19 상황에서 아동의 사회정서역량이 또래관계를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hildren's social emotional competence of school adjustment mediated by peer relationships during the COVID-19 김지언, 신태섭 p. 1621-1635

지각된 스트레스와 수면 간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sleep quality : sequential double mediation effects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worry / 경험회피와 걱정의 순차 이중 매개효과 김희영, 이창현 p. 1637-1652

장애인거주시설종사자의 사회적 지원이 서비스지향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service-oriented behavior of residential facility workers with disabilities :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 조직몰입/직무만족의 매개효과 남규라, 신호철 p. 1653-1668

허황후 신화와 인도-한국의 역사적 연관성 연구 = A study on the myth of Empress Heo and the historical relationship between India and Korea 바라티 우베이, 아난드 샴 꾸마르 p. 1669-1680

장애복지시설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f social workers in disability welfare facilities 김미림, 박정우 p. 1681-1696

유아교사의 놀이지도 인식, 놀이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play guidance, play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최항준, 박진송 p. 1697-1710

축제서비스품질과 지역이미지, 지역방문의도간의 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stival service quality and local image and local visiting intention : focusing on the online Masan Chrysanthemum Festival / 온라인 마산국화축제를 중심으로 박희정 p. 1711-1724

무용전공 중국유학생의 내적동기가 교수-학생 의사소통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dance major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on communication with professor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 moderating mediating effects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 한국어 능력의 조절된 매개효과 소신민, 손각중 p. 1725-1738

「자치분권 촉진 및 지원에 관한 조례」 현황 연구 : A study on the status of Ordinances on Promotion and Support of Autonomous Decentralization : centering on 17 cities and provinces across the country / 전국 17개 시도를 중심으로 송석언 p. 1739-1748

(A) study of the aesthetics of cruelty in contemporary Russian theatre = 동시대 러시아 연극에 나타난 잔혹극 미학에 대한 연구 Yang Kang p. 1749-1764

상담 사례개념화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2001-2022년) = The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on case conceptualization (2001-2022) 오예현 p. 1765-1777

한국의 가족 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affecting family values in Korea 오현경, 이윤석 p. 1779-1794

삶의 의미 척도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cale for meaning of life 윤은영, 남승규 p. 1795-1808

성인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수-학생 상호작용, 수업참여도가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teacher-learner interaction, class participation of adult-learners on the campus-life satisfaction 윤지원, 채혜경, 김혜윤 p. 1809-1820

공립박물관 소장문화재 관리 및 보존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 and improvement of preservation environment in public museum 이병훈 p. 1821-1830

지역사회 연계 서비스러닝의 효과 분석 = Analysis of the effect of community service-learning 이순덕, 전희정 p. 1831-1845

전문스포츠지도자의 승리를 위한 윤리적 갈등 경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thical conflict experience for victory of professional sports leaders 정재민, 서향리, 윤종성 p. 1847-1858

첫 출산 후 복직한 여성 사무종사자의 일·가정 양립 경험 = Experience of work-family balance by returning female office workers after first childbirth 정재우, 윤성민 p. 1859-1874

반려동물과의 애착에 따른 펫로스 증후군 경향성 : Pet loss syndrome tendency according to attachment with pets : moderating effects of adult attachment / 성인애착의 조절효과 정한아 p. 1875-1890

브라질 중산층 액티비즘의 등장과 민족정체성 변환의 역동성 : The emergence of middle-class activism and the dynamics of national identity transition in Brazil : from ethnic nationalism to civic nationalism / 종족민족주의에서 시민민족주의로 정호윤 p. 1891-1905

청소년의 가출 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associated with the impulse to run away in adolescents 조인주 p. 1907-1918

(A) study on the use of new genre public art for the reinforcement of community forces in China = 중국의 지역사회 역량강화(Community-empowerment)를 위한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 활용에 관한 연구 Guanxi Chen, Min Lee p. 1919-1933

아동의 자율성, 교사-아동 갈등관계, 학교환경과 아동의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with children's autonomy, teacher-child conflict relationship, school environment and children's happiness 채혜경 p. 1935-1947

데이터 거래를 위한 "데이터가치평가사" 직업 교육과정 기초 연구 = A basic study of the "data-valuer" vocational curriculum for data transaction 최현주, 최선일, 황정훈 p. 1949-1963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성찰 및 민주시민의식이 다문화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reflection and democratic awareness on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하주현, 이병임, 류형선 p. 1965-1977

복합의사소통 장애인을 위한 지역사회 보완대체의사소통(AAC) 마을 만들기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AAC village project for individuals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한경임, 김경미 p. 1979-1994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평생직업교육 학습성과 관계에서 대학행정지원 서비스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university administration support servi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learning performance of adult learners 고현 p. 1995-2008

코로나-19 발생 전후 농업부문 외국인 근로자의 위치성과 권력관계 변화 연구 =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positionalities and power relations of migrant workers in the agricultural sector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김수정 p. 2009-2018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의 대학 주요 성과지표가 신입생 충원율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university key performance indicators on new student recruitment rat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김윤겸, 김주석 p. 2019-2034

장애인 다문화가족의 사회복지 욕구에 관한 사례 고찰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social needs among the multicultural families with disabilities 김정은, 정여주 p. 2035-2048

가정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수행효능감, 직무열의, 창의적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job performance efficacy, job engagement and creative job performance of the home daycare centers directors 김정희, 조숙영 p. 2049-2060

상호동료 교수법을 활용한 대학의 공학계열 수업의 효과성 탐색 = Exploring the effectiveness of college engineering classes using mutual peer tutoring method 김준호, 최현준, 김누리 p. 2061-2073

러시아 북극권 정의와 '청색문화'로서의 북극권 소수민족 현황 = The definition of the Arctic circle in Russia and the status of the Arctic minority as a 'blue culture' 김태진 p. 2075-2089

참고문헌 (1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태환(2015), 『다문화사회와 한국 이민정책의 이해』, 서울: 집사재. 미소장
2 박미정·방용환(2021), “이민자를 위한 한국사회 정착·통합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다문화와 평화』, 15(2): 113-134. 미소장
3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2022), “사회통합프로그램 운영 지침”, . 미소장
4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2022),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11월호”, . 미소장
5 법무부(2020),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사회 이해 기본』, 서울: 박영story. 미소장
6 법무부(2020),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사회 이해 심화』, 서울: 박영story. 미소장
7 설규주(2022), “이민자를 위한 사회통합프로그램 교재의 한국사회문화 관련 내용 분석”, 『열린교육연구』, 30(3): 21-49. 미소장
8 설규주(2019),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사회 이해 과정 수업의 실태와 개선 방향에 대한 기초 연구”, 『다문화교육연구』, 12(3): 1-36. 미소장
9 이인혜·장미정(2022),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한 사회통합프로그램 온오프라인 교육 방안 연구”, 『한성어문학』, 46: 185-221. 미소장
10 이혜경(2018), “외국인 근로자의 사회통합프로그램 참여와 정책적 함의”, 『철학·사상·문화』,26: 213-246. 미소장
11 임동진(2019), “이민자 사회통합프로그램의 참여 요인과 교육성과 분석: 프로그램 참여자와비참여자 비교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57(4): 283-317. 미소장
12 장준영(2020), “이주민을 위한 사회통합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연구”, 『문법교육』, 38:159-204. 미소장
13 전영순·김경제(2021), “이민자를 위한 사회통합프로그램 운영의 개선 방안”, 『인문사회21』,12(1): 207-220. 미소장
14 조영태(2021), 『인구 미래 공존』, 서울: 북스톤. 미소장
15 차용호·우영옥(2021), “한국 이민정책의 문제점과 개선 과제: 국내적 정책과정과 국내·국제연계정치 반영”, 『다문화와 평화』, 15(2): 1-39. 미소장
16 황민철·문병기(2017), “체류외국인 사회통합교육 성과에 대한 실증 분석”, 『한국공공관리학보』, 31(1): 55-8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