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이민자가 한국사회 구성원으로서 적응・자립에 필요한 기본 소양 함양을 위한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사회 이해’ 과정의 상시 운영 방안을 제언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해 장기간의 KIIP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문헌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내용: KIIP 0-4단계는 ‘한국어와 한국문화’, 5단계는 ‘한국사회 이해’ 기본・심화이며 비자 변경과 영주・국적 취득에 중요한 과정이지만 한정된 예산으로 연 3학기 운영에 야간・주말 수업도 적어 확대 운영이 요구된다. 4단계까지는 TOPIK 등의 연계 인정이 가능하나 5단계 ‘한국사회 이해’는 다른 인정 방법이 없고 일하는 이민자・외국인도 많아 KIIP 참여에 제약이 많다. 이에 5단계 ‘한국사회 이해’의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활용한 상시 운영 방안이 필요하다.
결론 및 제언: 현행 교육 시간과 동일한 ‘한국사회 이해’ 강의 콘텐츠를 제작하여 이를 수강함으로써 과정을 수료하는 상시 운영이 이루어지면 참여 기회가 확대되어 KIIP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 함의가 있다.
This study is to suggest a permanent operation method for the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course of the KIIP of the Ministry of Justice for immigrants to cultivate basic knowledge necessary for adaptation and self-reliance as a member of Korean society. For this purpose,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long-term KIIP field experience. KIIP Levels 0-4 ar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nd Level 5 is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Basic/Advanced), which is an important process for visa change, permanent residence and nationality acquisition. However, with a limited budget, it is operated three semesters a year, and there are few evening and weekend classes, so expansion of operation is required. Until the fourth stag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OPIK, etc. However, there is no other recognition method in the 5th stage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And there are many immigrants and foreigners working, so there are many restrictions on participation in KIIP.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permanent operation plan using the online lecture contents of the 5th stage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that if the contents of the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course, which is the same as the current education time, are produced and taken and the course is completed, participation opportunities will be expanded and KIIP activation can be expected.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태환(2015), 『다문화사회와 한국 이민정책의 이해』, 서울: 집사재. | 미소장 |
2 | 박미정·방용환(2021), “이민자를 위한 한국사회 정착·통합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다문화와 평화』, 15(2): 113-134. | 미소장 |
3 |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2022), “사회통합프로그램 운영 지침”, |
미소장 |
4 |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2022),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11월호”, |
미소장 |
5 | 법무부(2020),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사회 이해 기본』, 서울: 박영story. | 미소장 |
6 | 법무부(2020),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사회 이해 심화』, 서울: 박영story. | 미소장 |
7 | 설규주(2022), “이민자를 위한 사회통합프로그램 교재의 한국사회문화 관련 내용 분석”, 『열린교육연구』, 30(3): 21-49. | 미소장 |
8 | 설규주(2019),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사회 이해 과정 수업의 실태와 개선 방향에 대한 기초 연구”, 『다문화교육연구』, 12(3): 1-36. | 미소장 |
9 | 이인혜·장미정(2022),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한 사회통합프로그램 온오프라인 교육 방안 연구”, 『한성어문학』, 46: 185-221. | 미소장 |
10 | 이혜경(2018), “외국인 근로자의 사회통합프로그램 참여와 정책적 함의”, 『철학·사상·문화』,26: 213-246. | 미소장 |
11 | 임동진(2019), “이민자 사회통합프로그램의 참여 요인과 교육성과 분석: 프로그램 참여자와비참여자 비교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57(4): 283-317. | 미소장 |
12 | 장준영(2020), “이주민을 위한 사회통합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연구”, 『문법교육』, 38:159-204. | 미소장 |
13 | 전영순·김경제(2021), “이민자를 위한 사회통합프로그램 운영의 개선 방안”, 『인문사회21』,12(1): 207-220. | 미소장 |
14 | 조영태(2021), 『인구 미래 공존』, 서울: 북스톤. | 미소장 |
15 | 차용호·우영옥(2021), “한국 이민정책의 문제점과 개선 과제: 국내적 정책과정과 국내·국제연계정치 반영”, 『다문화와 평화』, 15(2): 1-39. | 미소장 |
16 | 황민철·문병기(2017), “체류외국인 사회통합교육 성과에 대한 실증 분석”, 『한국공공관리학보』, 31(1): 55-8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