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잇다 후 여성 부양에 대한 샤리아의 적용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연구방법은 코란, 코란 해설서, 논문, 저서, 파키스탄 위원회들의 보고서, 이집트 가족법의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한 문헌연구이다.
연구 내용: 이 논문의 연구내용은 이슬람 율법인 샤리아와 잇다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수니 4대 법학파의 법원을 다루었으며, 코란에서 언급하는 이슬람의 이혼과 부양에 대해 논했다. 그리고 잇다 후 여성 부양에 대한 파키스탄과 이집트의 샤리아 적용 사례를 비교분석했다.
결론 및 제언: 이집트는 이혼 여성의 부양을 사회적으로 인정하고, 보호하기 위한 법을 개정하였다. 그러나 파키스탄은 이혼 후 여성 부양에 대한 법적 조항이 없기 때문에, 여성은 여전히 재정적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 향후 이슬람 사회는 샤리아의 정신이 회복되는 방향으로 이혼 여성을 위한 부양제도를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정위(2002), 『이슬람 사전』, 서울: 학문사. | 미소장 |
2 | 김정위·김영경·이희수·황병하·손주영(2000), 『이슬람 사상의 형성과 발전과정』, 서울: 아카넷. | 미소장 |
3 | 사우디아라비아왕국 이슬람·이슬람기금·선교부(2004), 『성 꾸란 의미의 한국어번역』, 메디나: 파하드 국장 성 꾸란 출판청. | 미소장 |
4 | 엄익란(2005), “이혼에 관한 무슬림들의 인식과 실천”, 『한국이슬람학회논총』, 15(2):167-186. | 미소장 |
5 | 임병필(2015), “8개 이슬람 법학파의 특성과 이크틸라프의 원칙”, 『아랍어와 아랍문학』,19(4): 171-201. | 미소장 |
6 | 임병필(2018), “마흐르에 대한 샤리아 규범과 여성의 권리: 코란, 하디스, 법학파를 중심으로”, 『한국이슬람학회논총』, 28(3): 1-32. | 미소장 |
7 | 임병필·김종도·안승훈·유왕종·김병호·이성수(2018), 『아랍과 이슬람』, 서울: 모시는 사람들. | 미소장 |
8 | 장창민(2017), “이집트 가족법에 관한 연구-혼인과 이혼을 중심으로”, 『법학연구』, 27(4):267-298. | 미소장 |
9 | 장후세인(2013), 『이슬람』, 서울: 젠나무민북스. | 미소장 |
10 | 조희선(2004), “이슬람의 가족법, 여성권리의 시각에서 본 개혁의 가능성”, 『지중해지역연구』, 6(1): 113-149. | 미소장 |
11 | 조희선(2009), 『이슬람 여성의 이해』, 서울: 세창. | 미소장 |
12 | 최현숙(2017), “이슬람국가의 혼인과 이혼에 관한 법제”, 『법학연구』, 17(3): 153-182. | 미소장 |
13 | 하현정(2007), “이집트 가족법 변화와 여성운동 -이슬람 페미니즘의 가능성과 한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4 | 황병하(2004), 『아랍과 이슬람』, 광주: 조선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15 | Deif, F.(2004), “Divorced from Justice: Women’s Unequal Access to Divorce inEgypt”, 『Human Rights Watch』, 16(8): 168. | 미소장 |
16 | Fayyaz-ur-Rehman(2003), 『Islamic Law of Maintenance for Wives in Pakistan and Afghanistan Since 1960』, Peshawar: University of Peshawar. | 미소장 |
17 | Rahman, M. S. & H. M. Younus Sirazi(2018), “Post-Divorce Maintenance (MAA’TA)For Muslim Women in Bangladesh, Pakistan and India”, 『IOSR Journal Of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23(2): 1-10. | 미소장 |
18 | Shahid, A.(2013), “Post-divorce Maintenance For Muslim Women In Pakistan andBangladesh: A Comparative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Law, Policyand the Family』, 27(2): 197-21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