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0교시 운동프로그램에 따른 뇌기능 관련 인자 및 학습태도 요인 비교 = Effect of zero hour exercise type on brain function related factor, and learning attitude factor : focusing on middle school male students : 남자 중학생을 중심으로 강두왕, 고수한, 김도연 p. 703-716
계절에 따른 대기오염 차이가 고령자의 체구성 성분 및 순환기능, 체력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seasonal differences in air pollution on body composition, circulatory function and physical strength of the elderly 권영우, 김명수 p. 717-724

규칙적인 유산소운동이 성인비만여성들의 신체적 스트레스와 지질대사요인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regular aerobic exercise on physical stress and lipid metabolism factors in obese adult women 황숙경, 서영환 p. 725-731
근막이완 마사지요법이 대학생들의 집중도, 두뇌 활동정도 및 두뇌 스트레스 변화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myofascial release massage therapy on changes in concentration, brain activity and brain stress in college students 김건도, 한길수 p. 733-741
근피로 유발 후 보드를 이용한 스트레칭이 운동수행력, 통증 자각도, 산화적 스트레스 및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stretching with a board after exercise-induced muscle fatigue on exercise performance, pain perception, oxidative stress and fatigue substances 이지희, 이정우, 문양규, 김기정 p. 743-754
장애인 운동선수군에서 4종류의 후보유전자에 존재하는 유전자 다형성에 대한 분포 양상 = The distribitions for the genetic polymorphisms within four candidate genes in disability athletes 강병용, 이재구 p. 755-772
코그니사이즈(Cognicise)와 매트 필라테스 복합 운동이 여성 노인의 신체조성과 정신건강 지수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ognicise and mat Pilates combined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mental health index of elderly women 한승완, 전찬복 p. 773-783
포스트코로나 시대 한국 베이비부머 세대의 권장 신체활동량 달성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분석 =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achievement of the recommended physical activity level of the Korean baby boomer generation in the post-corona era 이종현, 윤용진 p. 785-797
플라잉요가 운동이 체력, 신체구성 및 스트레스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flying yoga on physical fitness, body composition and stress hormones in middle-aged women 신소야, 고영찬, 김영표 p. 799-808
한국인 투척 선수군에서 CKMM 유전자의 rs8111989(NcoI, A/G) 다형성에 대한 분포 양상 = The distribution of rs8111989(NcoI, A/G) polymorphism in CKMM gene of Korean throwers 이재구, 강병용 p. 809-817
골프 프로선수와 아마추어선수의 미들 아이언 스윙 동작에 대한 X-Factor 및 O-Factor 분석 = X-Factor and O-Factor analysis of middle iron swing actions of professional and amateur players 홍수영 p. 819-829

대학 축구선수의 좌·우 하지 햄스트링/대퇴사두근 근력비율 비대칭이 신체 정렬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left and right lower extremity hamstring/quadriceps ratio asymmetry on the body alignment of college soccer players 박동수, 천성용 p. 831-839
Ice-Hockey Backcheck에 관한 연구 = A study about ice-hockey backcheck 이창영, 고인태 p. 841-848
고강도 인터벌 운동 후 유도선수의 냉침수 회복유형이 혈중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recovery types of cold water immersion after a high-intensity intermittent performance on fatigue substances in judo athletes 안상현, 정채원 p. 849-858
국제 남자 단식 휠체어 테니스 경기력 요인 탐색 = Exploring the factors of international men's singles wheelchair tennis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2020 Tokyo Paralympics : 2020 도쿄패럴림픽을 중심으로 이호성, 김지응, 정회덕, 오태식 p. 859-867
기능적 발목관절 불안정성 축구선수의 신경근 훈련이 발목관절 기능 및 운동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neuromuscular training on ankle function and performance for collegiate soccer player with function ankle instability 런하오, 임나단, 김태규 p. 869-883
만성 발목 불안정성 유소년축구선수의 기능성 양말 착용과 테이핑 처치가 자세 안정성, 통증 척도 및 선수재활 체력요인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functional socks wearing and taping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exercise on postural stability, pain scale and physical fitness factors in youth soccer player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엄성흠, 이승재 p. 885-894
여성 노인 근감소증 진단기준(AWGS 2019)과의 비교를 통한 한국어 버전의 MSRA 질문지 타당성 검증 =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SRA questionnaire through comparison with the diagnostic criteria for female geriatric sarcopenia(AWGS 2019) 조학봉, 기영진, 김종민, 김현주 p. 895-906
여성 노인의 대사증후군 예방을 위한 적정 신체구성성분 및 체력수준의 임계값 분석 = Cut of value of the appropriate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level for the prevention of metabolic syndrome in elderly women 김태호 p. 907-916
중등학교 학생선수 인성검사 개발 및 준거설정 = Development of character testing for secondary school student athlete and standard setting 김세형 p. 917-929

초고령사회 일본의 active aging 실현을 위한 대응방안 탐색 = Exploring countermeasures to realize active aging in Japan, a super-aged society : focusing on physical health index : 신체적건강도 평가지표를 중심으로 이미숙 p. 931-942
플라이오메트릭 훈련과 축구 훈련이 대학 축구동아리 참여자의 순발력과 민첩성에 미치는 영향 = The differential effects of plyometric training and soccer training on muscular power and agility in university soccer club members 김진광, 정경열, 김태규 p. 943-951
12주간의 걷기운동이 비만 대학생의 근육량의 변화와 혈압 및 심박수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12 weeks of walking exercise on changes in muscle mass,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in obese college students 권정현 p. 953-961
8주간의 단시간 코어 안정화 운동이 여성 보육교사의 근골격계 통증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8-week short time core stabilization exercise on the musculoskeletal pain of child care teachers 박윤배, 조수지, 김상현, 김재철 p. 963-972
견관절 견봉하 감압술 후 조기 재활운동프로그램이 견관절 기능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early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on shoulder function after subacromial decompression of shoulder joint 김호진, 박지명, 이동준 p. 973-983
규칙적인 웨이트트레이닝이 비만 남성의 혈관계 변인 및 스트레스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regular weight training on vascular variables and stress hormones in obese men 장용우, 유정수 p. 985-994
남녀 대학생의 FMS ASLR 검사 점수와 발목 및 고관절의 가동성, 코어 안정성의 관계 =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MS ASLR test scores and ankle, hip mobility, core stability of healthy college students 김병곤, 임승길 p. 995-1005
역도 선수의 복합 고강도 훈련에 따른 무산소성 파워와 등속성 근 기능의 영향 분석 = Analysis of the effects of anaerobic power and isokinetic muscle function according to complex high-intensity training in weightlifters 김옥주, 정재영 p. 1007-1017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복지관 운동프로그램 참여가 초고령자의 체력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the welfare center exercise program operated by local governments on the physical strength and cognitive function of the super-aged : focusing on 24 weeks : 24주 중심으로 김경희, 이명지, 김종근 p. 1019-1027
코로나 시대의 비대면 복합운동이 여중생의 신체조성, 성장호르몬 및 세로토닌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non-face-to-face complex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growth hormone, and serotonin of middle school girls in the COVID-19 era 조민서, 오덕자 p. 1029-1037
투기종목 유형에 따른 체구성 성분과 무산소성 운동능력의 비교 연구 = Comparative study of body composition and anaerobic exercise capacity according to the type of combat sports 장인영, 유동훈 p. 1039-1046
후방 요추체간유합 재건술 후 저항운동이 여성 요통환자들의 요부근력 및 통증지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resistance exercise after posterior lumbar inter body fusion reconstruction on changes in lumbar extension strength and VAS in female patients with low back pain 김건도, 한길수 p. 1047-1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