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삶과 죽음을 잇는 불교의식 : 진관사 국행수륙재(國行水陸齋) / 허유미 1
[머리글] 1
불교 의식무 작법 2
어산어장(漁山魚丈) 동희 스님 2
진관사의 사찰 음식 3
은평한옥마을 3
은평구의 역사를 보여주는 은평역사한옥박물관 4
연신내 동네 서점 4
[저자소개] 4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일상 속으로 스며드는 국악 | 글: 문주석 | p. 8-15 |
|
보기 |
120년 만에 재현된 조선 왕조의 마지막 잔치, 임인진연 | 글: 박병성 | p. 16-19 |
|
보기 |
새 곡이 쌓이는 곳간의 문지기 :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이지혜 [인터뷰] | [인터뷰이]: 이지혜 ; 글: 송현민 | p. 22-25 |
|
보기 |
봉래의(鳳來儀) 역사를 소환하는 용의 노래, 봉황의 춤 | 글: 송준호 | p. 26-29 |
|
보기 |
민족의 노래 아리랑 | 글: 박상후 | p. 30-33 |
|
보기 |
내가 발견한 보석 | 글: 클로이 빈더럽 ; 번역: 박수인 | p. 36-39 |
|
보기 |
전통 예술을 액화하기 : 연희집단 갱의 몇 가지 질문들 | 글: 성혜인 | p. 40-43 |
|
보기 |
삶과 죽음을 잇는 불교의식 : 진관사 국행수륙재(國行水陸齋) | 글: 허유미 | p. 44-47 |
|
보기 |
국립민속국악원 30년, 그 속에서 사람을 낚다 [인터뷰] | [인터뷰이]: 조옥선, 박소영, 송은아 ; 글: 양영진 | p. 52-57 |
|
보기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